[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왔구나, 왔소이다. 왔소이다. 불쌍히 죽어 황천 갔던 배뱅이 혼신이 평양 사는 박수무당의 몸을 빌어, 입을 빌어, 오날에야 왔소이다. 우리 오마니, 오마니, 어디 갔나요. 오마니, 오마니.” 무대에서는 평양 건달이 배뱅이혼을 불러오는 굿을 하고 있다. 어제 7월 25일 저녁 7시 인천 부평의 <전통연희단 잔치마당(대표 서광일)> 소극장에서는 국가무형유산 서도소리 이수자 유상호 명창의 ‘배뱅이굿’ 공연이 오승재 고수와 이서율 해금에 맞춰 펼쳐졌다. ‘배뱅이굿’ 하면 이은관 명창이 떠오른다고 하는 사람이 많겠지만, 이은관 명창이 지난 2014년 세상을 뜬 뒤 국가무형문화유산 서도소리 배뱅이굿 전승교육사 박준영 명창과 서도소리 이수자 유상호, 박정욱 명창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특히 이은관 명창의 애제자, 유상호 명창은 인천지방을 중심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유상호는 배뱅이굿 전승교육사 박준영에게 소리를 다듬었는데, 그의 소리 실력이 예사롭지 않다는 점을 간파한 박준영은 그를 이은관 명창에게 보내주었고, 그로부터 10여 년 소리 공부에 진력하여 국가무형문화재 서도소리 <배뱅이굿>의 이수자가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배뱅이굿>은 서도(西道)지방의 대표적인 재담(才談)소리극이다. 줄거리가 있는 이야기를 서도창법으로 소리하고, 대사(臺詞)와 춤, 연기 등을 곁들여 사람들을 웃기고 울리는 형태의 연희물이기 때문이다. 이은관이 세상을 뒤 이 분야가 침체해가는 상황에서 인천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유상호 명창이 배뱅이굿 발표회를 열어 주목을 받았다. 유상호는 어린 시절부터 <꼬마 소리꾼>으로 알려졌던 재주꾼으로 감성이 풍부하고 전통을 중시하는 마음가짐이 남다른 사람이라는 주위의 평가를 받고 있다. 어린 시절, 동네에서 소리판이 벌어지기라도 하면, 꼬마 소리꾼 유상호는 단골손님처럼 불려 다니며 소리를 했다고 한다. 그것도 춤을 추며 신나게 소리를 해서 동네 어른들이 앞다투어 용돈을 쥐여줬다고 하는데, 칭찬과 함께 용돈까지 받게 되니 그 재미에 소리를 즐겁게 했다는 것이다. 이처럼 그가 소리꾼으로서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게 된 배경은 무엇보다도 어릴 적부터 아버지에게서 받은 영향이 크다. 아버지의 소리 실력은 전문 소리꾼의 수준은 아니었다고 해도, 명창들의 소리를 좋아해서 그들의 음반을 들으며, 따라 부르는 것이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