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서 세한도 구해 낸 손재형의 소전미술관에 가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남도 여행 3일째, 진도 숙소에 도착한 시각은 저녁 5시 반 무렵이었다.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한반도 최서남단의 가장 전망 좋은 곳 세방낙조(細方落照)’의 해넘이를 보기 위해 집을 떠날 때부터 일부러 숙소를 세방낙조 쪽으로 정했건만 삼별초의 항쟁터인 진도 용장성(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을 둘러보고 출발할 무렵부터 하늘에 비구름이 잔뜩 끼어 틀렸구나 싶었는데 역시 노을 감상은 허사였다. 실망감에 늦은 저녁을 먹고 숙소에서 하릴없이 지도를 펴고 이튿날 갈 곳을 물색하다 눈에 띈 곳이 ‘소전미술관’이었다. 소전(素荃)이라면 추사 김정희 선생의 <세한도>를 일본인에게서 되찾아온 손재형(孫在馨, 1903~1981) 선생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던가? 선생이 진도 출신이라는 것을 처음 알았고 진도에 소전미술관이 있다는 것도 이제야 알았다. 다음 날 아침 찾아갈 소전미술관의 정보를 얻고자 노트북을 켜고 ‘소전미술관’을 검색해보았다. 하지만 소전미술관 자체 누리집이 없어 진도군청(https://www.jindo.go.kr) 누리집에 들어가서 찾아보니 반갑게 소전미술관이 나온다. 그러나 주소와 전화번호가 전부로 소전미술관이 언제 개관을 했는지, 휴관일은 언제이며 문 여는 시간과 닫는 시간 등의 정보가 전혀 없었다. 가까스로 네이버 길찾기에서 아침 9시에 개관한다는 정보를 알고 날이 새기를 기다려 일찌감치 숙소에서 나와 8시 40분쯤 소전미술관에 도착했다. 그러나 이날은 공교롭게도 제4회 <전남 국제 수묵 비엔날레 ‘문명의 이웃들’>(8.30-10.31)이 진행되는 관계로 개관 시간이 10시부터였다. 이러한 사실도 한참이나 굳게 잠긴 미술관 앞에서 서성이다가 관계자로부터 들었다. 평소에는 9시부터지만 이번 비엔날레를 위해 통째로 미술관을 대관해준 관계로 이 기간 동안은 10시부터 개관한다는 말을 듣고 순간 관람을 포기하고 상경할까 망설였다. '이런 사실을 사전에 알 수 있었다면 숙소로부터 나오면서 천천히 바다 구경이라도 하면서 왔을 것을...'이라는 생각이 들자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개관 시간인 10시까지 1시간여를 기다려야 하는 것이 너무나도 무료했지만 소전 손재형 선생의 전시 작품을 보고 싶은 유혹에 묵묵히 기다려야만 했다. 내가 손재형이란 이름 석 자를 알게 된 것은 <도쿄 공습으로 재가 될 뻔한 추사 세한도>(2011.4.13.) 라는 글을 우리문화신문에 기고할 때였으니 지금으로부터 14년 전 이야기다. “1945년 1월 도쿄의 한 병실을 두 달째 끈질기게 드나드는 조선인이 있었다. 서예가 손재형 씨다. 병실에 누워 있는 사람은 66살의 후지츠카 치카시 (藤塚隣, 1879-1948) 씨로 일제강점기 때 조선 경성제국대학 교수 출신 추사 연구가다. 손재형 씨가 병실을 드나든 것은 다름 아닌 김정희의 <세한도>를 받아내려는 것이었다. 어째서 <세한도>는 도쿄의 한 병실에 누워 있는 후지츠카 손에 들어간 것일까? 국보 180호인 세한도의 운명이 일각에 놓였던 그 순간이 영화의 한 장면을 보는 것처럼 양손에 땀을 쥐게 한다. 그도 그럴 것이 세한도를 받아 낸 3개월 뒤 후지츠카 자택에 있는 '조선에서 수집한 물건을 보관한 보물 창고'는 미군의 도쿄대공습으로 거의 불타버리고 말았기 때문이다. 후지츠카 씨는 동경제국대학 중국 철학과를 졸업한 이래 47살 때인 1926년 조선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부임한다. 이후 14년 동안을 조선에서 교수직에 있으면서 추사연구에 몰두하는데 조선에 부임하기 전 그는 북경에 1년 동안 체류한다. 전공인 중국철학 자료 수집을 위해서였다. 그러나 그의 운명은 북경에서 바뀌었다. 그는 중국인들이 추사 김정희의 학문세계를 높이 사고 있음을 발견하고 추사라는 인물 연구에 관심을 두게 된다. 말하자면 경성제국대학 교수 부임이 추사 연구의 더 없는 기회로 활용된 것이다. 그 뒤 후지츠카 씨는 조선에서 추사에 대한 많은 자료를 수집하여 일본으로 귀국했다. 손재형 씨는 후지츠카 씨가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그가 입원해 있는 병실을 하루도 거르지 않고 찾아갔는데 이를 본 후지츠카 씨는 "나는 조선의 문화재를 사랑하는 당신의 진정한 마음에 감탄했다. 우리는 추사 선생을 스승으로 존경하는 동문(同門)이다” 라고 하면서 손재형 씨에게 세한도를 무상으로 건네주었다는 전언은 유명한 이야기다. 후지츠카 씨는 평소 그의 아들 후지츠카 아키나오 (藤塚明直, 1912-2006)에게 세한도 말고도 ‘조선의 유물은 본국으로 돌아가야 한다.’라고 유언했다. 그렇다 해도 아들이 팔아먹으면 그만이다. 그러나 아들은 아버지의 유언을 잘 지켰다. 아들은 아버지의 유언대로 2006년 2월 자신이 모은 영화 관련 자료와 아버지가 모은 추사 친필 글씨 26점, 추사와 관련된 서화류 70여 점 등 1만여 점을 과천시에 기증하면서 현금 200만 엔까지 추사연구에 보태라고 보냈다. 그리고 아들은 아버지의 유물을 모두 기증한 뒤 그해 94살로 숨을 거둔다. 세한도가 일본인의 개인 소장품으로 조선땅을 떠난 것은 유감이지만 무탈하게 조선으로 돌아온 것은 다행이다. 그 숨은 공로자는 손재형 씨이며 후지츠카 부자의 고운 마음씨도 일조를 했다. ” 당시의 글 내용은 이러했다. 그 뒤 과천시 소재 추사박물관에서는 후지츠카 치카시의 아들 후지츠카 아키나오의 기증품을 받아서 2006년 9월 <추사글씨 귀향전 – 후지츠카 기증 추사자료전>이 열렸고 기자 역시 이 전시회를 둘러보고 깊은 감동을 받은 적이 있다. 당시 세한도를 기증한 일본인 부자(父子)에 대한 추사박물관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과천시에서는 추사 김정희 선생의 삶과 학예를 조명하기 위해 2006년 추사 서거 150주년을 기념하는 국제학술대회를 기획하였다. 이를 위해 과천시는 과천문화원 산하 추사연구회를 중심으로 추사 연구자 후지츠카 치카시(藤塚鄰, 1879~1948)의 아들 후지츠카 아키나오(藤塚明直, 1912~2006, 94살) 선생에게 연락하였고, 이에 아키나오 선생은 선친이 수집한 추사 자료를 과천시에 기증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해 2월 모든 자료가 기증되었고, 9월 <추사글씨 귀향전 – 후지츠카 기증 추사자료전>이 열렸다. 이 기증은 해외 소재 우리문화재의 환수를 이끈 모범적인 사례다.” 1시간여 소전미술관 전시실 문이 열리길 무료하게 기다리다 만난 소전 선생의 작품들은 처음 실물을 보는 것이라 더욱 관심있게 살펴보았다. 서예라든가 그림에 문외한이긴 해도 눈에 들어온 소전 선생의 묵향(墨香) 짙은 글씨와 수묵화 앞에서 나는 오래도록 눈을 떼지 못했다. 특히 "벽파진 푸른바다여 너는 영광스런 역사를 가졌도다. 민족의 성웅 충무공이 가장 외롭고 어려운 고비에 고작 빛나고 우뚝한 공을 세우시고자 여기더니라. 옥에서 풀려나와 삼도수군통제사의 무거운 짐을 다시 지고서 병든 몸을 이끌고 남은 12척을 겨우 거두어 ..."로 시작되는 <충무공 벽파진 전첩비(忠武公 碧波津 戰捷碑, 이은상 글, 손재형 글씨, 1956년 탁본, 실물은 진도군 고군면 벽파진 소재> 작품 앞에서는 고개가 수그러들었다. 한 자 한 자 심혈을 기울인 흔적이 역력했기 때문이다. “장년기에 들어 소전의 글씨는 더욱 원숙해졌다. 자획과 구성에 무리가 없고 문기가 넘치는 그의 글씨는 보는 이의 저항감을 전혀 일으키지 않는데 특색이 있으며, 중국적인 스타일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독특한 서체를 확립한 이른바 소전체라 불리는 서체를 만들어 냈다. 특히, 극치를 이룬 것은 1956년 진도군 고군면 벽파진에서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국·한문 혼용비인 이충무공전첩 비문 등이다.” -‘한국 서예의 거장 소전 손재형’(진도군 소전미술관 홍보물)- 소전체의 극치를 이룬 작품을 직접 눈으로 감상(탁본)한 것은 행운이었다. 그러나 소전미술관 1, 2층 전부를 제4회 <전남 국제 수묵 비엔날레 ‘문명의 이웃들’>(8.30-10.31) 전시를 위해 대관해주는 바람에 일부밖에 볼 수 없어 아쉬웠다. 다음 기회를 이용하라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훗날을 기약하며 아쉬운 마음으로 소전미술관을 나왔다. 한가지 진도군에 부탁하고 싶은 것이 있다. 진도군이 소전미술관을 설립하여 운영하는 이상 진도군 누리집 문화관광 란에 있는 ‘소전미술관’ 부분을 보충해 주었으면 한다. 전화번호와 주소만 적혀 있는 누리집은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큰 도움이 안 된다. 현장(소전미술관)에 가니까 진도군에서 만든 1장짜리 홍보물이 있던데 그 내용이라도 실어 준다면 큰 도움이 될 듯싶다. 해남을 거쳐 진도에 들어서니 곳곳에 보물섬(珍島)이라는 홍보물이 눈에 띄던데 '진도의 진짜 보물은 소전 손재형 같은 훌륭한 예술가의 존재를 알리는 일에서 비롯되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제4회 <전남 국제 수묵 비엔날레 ‘문명의 이웃들’】 안내 *전시 장소: 목포시, 진도군, 해남군 등 전남 일원 - (비엔날레전시) 목포·진도·해남 6개소 / (특별전시) 도립미술관 / (기념전) 7개시·군 11개소 * 전시기간: 8월30일부터 10월 31일까지 *문의: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 061-280-58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