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황성운)은 오는 11월 28일(금) 아침 10시, 국립국악원 국악누리동 대회의실에서 ‘제7회 국악사전 월례 토론회’를 연다.
각 분야 표제어의 음고 관련 서술체계 정밀 검토
이번 토론회는 민요, 산조, 판소리, 가곡, 영산회상 등 음고 관련 서술이 필요한 다양한 올림말(표제어) 전반을 대상으로, 국악사전 내 음고(音高) 개념의 적용 방식과 서술체계의 일관성을 심층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통해 각 분야 올림말의 음악적 특징을 구체적이고 표준화된 방식으로 기술하기 위한 방향을 찾을 예정이다.

발제는 최헌 부산대학교 명예교수가 맡아, 국악의 분야별 음고 서술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국악사전에서의 기술 방향을 제시한다.
이어지는 토론에는 권도희 경북대학교 교수, 김혜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최선아 서울대학교 강사가 참여해 분야별 음악적 특징 서술의 일관성과 학문적 관점에서의 보완 방안을 중심으로 의견을 나눈다. 좌장은 송혜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수가 맡아 논의를 이끈다. 이번 토론회는 아침 10시부터 저녁 5시까지 진행되며, 각 분야의 음고 관련 서술체계를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표제어 간 기술 방식의 일관성을 검토하는 시간으로 마련된다. 이를 통해 향후 국악사전 편찬에 필요한 구체적 개선 방향을 도출할 예정이다.
학계와 함께하는 공개 토론으로 국악사전 완성도 높여
국립국악원은 올해 총 여덟 차례의 월례 토론회를 통해 국악사전이 그동안 충분히 다루지 못했던 쟁점들을 학계와 함께 공개적으로 논의한다. 지난 5월부터 이어진 토론회에서는 표제어 분류와 이름, 고문헌·고악보, 종목·작품과 복식 관련 표제어, 율학, 춤·장단, 연희 분야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올림말 선정 기준과 서술 방향을 세밀하게 조정해왔다.
이번 일곱 번째 토론회는 앞선 논의의 성과를 바탕으로 음고 관련 서술체계의 학문적 타당성과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다. 국악사전 편찬의 연구적 기반을 강화하고, 표제어 정비를 통해 사전의 완성도를 한층 높일 계획이다.
국악사전(www.gugak.go.kr/ency)은 한국 전통음악과 전통춤에 관한 정확하고 상세한 이해를 제공하며, 다양한 매체를 통해 한국 전통음악과 전통춤 실체의 아름다움을 전달하는 국악분야 전문 백과사전이다. 현재까지 제1차 ‘궁중ㆍ풍류’ 편, 제2차 ‘민속’ 편, 제3차 ‘국악사·이론’ 편에 해당하는 도합 1,767건 올림말과 7,800여 점 복합매체(multi-media)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제7회 국악사전 월례 토론회’는 오는 11월 28일(금) 아침 10시에 국립국악원 국악누리동 대회의실에서 열리며,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향후 토론회 일정은 국립국악원(www.gugak.go.kr) 누리집과 국악사전(www.gugak.go.kr/ency)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