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맑은 여름날, 하늘에 둥실 떠 있던 하얀 '쌘구름(뭉게구름)'이 어느새 무섭게 솟아오릅니다. 뭉게뭉게 피어오르던 솜 뭉치가 하늘을 찌를 듯이 커다란 뫼(산)가 되고, 볕을 받아 하얗게 빛나던 꼭대기와 달리 그 밑바닥은 시커먼 잿빛으로 물이 들지요. 이윽고 흙냄새를 실은 찬바람이 불어오면, 우리는 곧 천둥 번개와 함께 무서운 '소나기'가 쏟아지리란 것을 알아챕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매우 커다라면서도 무서운 구름, '쌘비구름'입니다.
'쌘비구름'이라는 이름은 참으로 씩씩하고 알기 쉽습니다. 우리가 앞서 배운, 솜 뭉치처럼 차곡차곡 '쌓인 구름'을 뜻하는 '쌘구름(적운)'에 '비'가 더해진 이름이지요. 곧, '쌘구름'이 하늘 높이 어마어마하게 솟아올라 드디어 '비'를 머금게 된 구름, '비를 품은 쌘구름'이라는 뜻입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적운보다 낮게 뜨는 수직운. 위는 산 모양으로 솟고 아래는 비를 머금는다. 물방울과 빙정(氷晶)을 포함하고 있어 우박, 소나기, 천둥 따위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표준국어대사전》
수직으로 발달한 웅대하고 짙은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를 모아보면, '쌘비구름'은 하늘에 뜬 구름 중 가장 크고 높이 솟아오른 구름입니다. 그 모습이 꼭 커다란 뫼(산)와 같고, 그 속에는 물방울뿐 아니라 얼음 알갱이까지 품고 있어 맑은 날의 '쌘구름(뭉게구름)'과는 달리 천둥, 번개, 우박을 거느린 아주 세찬 소나기를 쏟아붓는, 힘이 아주 센 구름이지요.
'쌘비구름'은 그 됨됨(성격)만큼이나 여러 가지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나기구름 : 우리가 가장 흔하게 부르는 이름입니다. '소나기'를 몰고 오는 구름이라는 뜻이지요.
적란운(積亂雲) : 갈말(학술용어)로 쓰는 한자말입니다. '쌓을 적(積)' 자에 '어지러울 란(亂)' 자를 씁니다. '쌘구름'처럼 '쌓여서(積)' 만들어지되, 그 속이 '어지럽고(亂)' 사나울 만큼 힘이 세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쌘비구름'이라는 우리 토박이말이 그 뜻을 얼마나 멋지게 담아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뇌운(雷雲) : '우레 뇌(雷)' 자를 써서 '천둥(우레)을 품은 구름'이라는 뜻으로도 부릅니다.
'쌘비구름'은 한여름 뒤낮(오후), 갑작스럽게 바뀌는 날씨를 알려줄 때 가장 잘 어울리는 말입니다.
아까까진 '쌘구름'이더니, 저기 꼭대기가 봉우리처럼 솟아오른 것 좀 봐! 쌘비구름으로 바뀌었어!
하늘에 쌘비구름이 몰려오는 걸 보니, 얼른 집으로 들어가야겠어요."
저렇게 뫼(산)처럼 크고 밑이 까만 구름이 '소나기구름', 다른 이름으로 '쌘비구름'이라고 해. 아주 힘이 센 구름이란다.
그저 '먹구름'이나 '비구름'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크고 힘이 넘치는 구름. 하얀 '쌘구름'이 자라나 검은 '쌘비구름'이 되는 하늘의 낯빛(표정)을 바라보며, "저 무서운 소나기구름을 '쌘비구름'이라고도 한대요" 하고 이 씩씩한 우리말 이름을 꼭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