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몇 해 전에 우리나라에서 요구한 대장경(大藏經) 인쇄판을 귀국에서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절과 신사(神祠)에 비치해 둘 것이 없습니다. 이제 귀국의 사신이 돌아가는 배에 부탁하여 한 질을 청구하오니, 반드시 7천 권을 모두 갖춘 인쇄본으로 부쳐 오면 백마(백마를 잡아 그 피를 마시어 맹세한 것)의 지난 일을 금오(金烏) 해가 돋는 곳에서 거듭 보게 되겠습니다. 이웃나라의 변하지 않는 서약이 어떤 일이 이와 같겠습니까.“
위는 《세종실록》 102권, 세종 25년(1443년) 11월 18일 기록으로 일본이 우리나라에 대장경을 보내달라고 요청했음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의 국보인 《팔만대장경》은 목판본이 6,815권으로 모두 8만 1,258매이며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과 속장경(續藏經)은 몽골의 침입 때 불타버린 뒤 1236년(고종 23) 만들기 시작하여 1251년 9월에 완성되었습니다. 이는 현존하는 세계의 대장경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일 뿐만 아니라 체재와 내용도 가장 완벽한 것으로 오자(誤字)와 탈자(脫字)가 거의 없기로 유명합니다.
팔만대장경은 고려 우왕 14년(1388) 포로 250명을 돌려보내 주면서 처음 달라고 한 것을 시작으로 조선 효종 때까지 무려 83회나 대장경을 달라고 했습니다. 그때 가져갔던 대장경들은 지금 교토 남선사, 도쿄의 증상사 등 일본의 많은 절에 소장돼 있지요. 한때 조선 조정에서는 다 내주었는데도 또 달라고 하면 어쩌하나 하는 생각에 종이를 가져오면 찍어주겠다고 했지만, 일본이 가져온 종이는 질이 낮아서 찍을 수가 없었다고 합니다. 대장경을 찍을 기술도 없던 일본은 이렇게 수없이 달라고 해 대장경을 가지게 될 수 있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