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와 (재)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김태훈, 이하 공진원)은 공예문화산업 증진을 위하여 지역 공예가의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2023년 공예창작지원센터의 신규대상지 공모를 추진한다. 공예창작지원센터 사업은 공예기술 또는 소재산업이 집적된 곳을 뽑아 생산, 전시, 판매, 체험 기능을 갖춘 융합형 공간을 조성 운영 지원하는 사업으로, 현재 전국 6개(경기, 전남, 진주, 아산, 정읍, 서울) 공예창작지원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신규대상지 공모 신청은 ‘공예창작지원센터 조성 및 운영’이 가능한 지방자치단체와 수행기관(문화ㆍ예술 관련 공공기관, 비영리법인 또는 단체)이 함께 신청하여야 하며, 접수 기간은 다음 달인 2월 20일부터 28일까지다. 1차 연도 공예창작지원센터 조성과 시범 사업 운영을 위한 지원금은 국비 5억 원 이내 신청할 수 있으며 선정된 대상지는 해마다 평가를 거쳐 국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2023년 신규대상지는 1차 서류심사, 2차 발표 및 현장심사를 거쳐 3월 말에 마지막으로 뽑을 예정이다. 공진원은 온라인 공모설명회를 마련하여, 공모 사업의 운영 방향과 세부 내용을 소개할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종대)은 설 연휴를 맞이하여 1월 21일(토)부터 1월 24일(화)까지(1. 22.(일) 설날 휴관) 3일 동안 ‘계묘년 설맞이 한마당’ 행사를 연다. 이번 행사는 우리 겨레의 전통 명절인 설 세시행사 운영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도심에서 접하기 힘든 세시풍속의 의미와 즐거움을 전달하고자 기획된 행사다. 국립민속박물관 본관, 어린이박물관, 파주관에서 다양한 행사가 펼쳐진다. □ 재미있는 설맞이! 신나게 놀고 즐겨보기 설날에는 윷놀이만큼 즐거운 놀이가 없다. 국가무형문화재 제149호인 윷놀이는 정월초부터 정월대보름까지 많이 즐겼던 민속놀이로 삼국시대 이전부터 행해졌다고 한다. 설날 연휴에 식구와 친지들이 모이면 했던 윷놀이는 오랜 세월 동안 지속적으로 전승ㆍ유지되어 우리 겨레의 정체성과 값어치를 담은 대표적인 놀이문화로 자리잡았다. 코로나를 이겨내고 오래간만에 대면으로 진행하는 설맞이 한마당에서 가족이나 친구 등 2인이 짝을 이루어 큼직하게 만든 윷을 던지며 일상에서의 즐거움을 되찾기 위해 마련하였다. 또한, 윷점으로 신년의 운세를 알아보는 재미있는 행사에도 참여해보길 바란다. 파주관에서도 새해 운세를 점쳐보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1965년 11월, 기우뚱 기울어져 무너질 위험에 처한 오층석탑의 수리가 시작되었습니다. 석탑을 완전히 해체하여 수리하는 과정에서 탑 안에 모셔진 사리장엄구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바로 지금부터 살펴볼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입니다. ‘사리’를 담는 용기, 사리장엄구 ‘사리(舍利)’는 인도에서 몸이나 뼈, 유골 등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사리라(śarīra)’라는 말이 중국으로 전해질 때 소리 나는 대로 한자로 옮겨 적으면서 생긴 단어입니다. 처음에는 석가모니의 주검을 화장하고 남은 유골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점차 개념이 넓어져 고승의 유골이나 석가모니의 말씀까지도 포괄하게 되었습니다. 인도에서 불교를 처음 세운 석가모니가 돌아가신 뒤 그의 주검을 화장하고 나온 사리를 안치하려고 만든 건축물이 바로 ‘탑’의 시작입니다. 또한 성스러운 사리를 탑 안에 안치하기 위해 아름답게 장식해서 만든 용기가 바로 ‘사리장엄구’입니다. 넓은 의미에서는 사리를 직접 담는 사리기뿐 아니라 사리를 공양하는 의식과 관련된 물건, 그리고 사리에 바치는 각종 공양품 등 많은 것을 포괄하는 말입니다. 왕궁에서 절로, 익산 왕궁리 유적 이야기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관복을 단정하게 차려입고 두 손을 모은 조선시대 벼슬아치의 초상화입니다. 이 초상화의 주인공은 허목(許穆, 1595~1682)이라는 분입니다. 허목의 본관은 양천(陽川)이며, 자는 문보(文甫) 또는 화보(和甫), 호는 미수(眉叟)입니다. 눈썹이 길게 늘어져서 스스로 ‘미수’라는 호를 지어 불렀다고 합니다. 벼슬은 우의정까지 올랐으며, 시호(諡號: 죽은 뒤 업적을 추앙하여 붙이는 이름)는 문정(文正)입니다. 그는 당시 학계의 큰 어른이었고 정치인으로서는 남인의 영수(領袖)로서 깊이 추앙받았습니다. 평생 몸가짐이 고결하여 세속을 벗어난 기품이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허목의 모습을 담은 이 초상화는 살아 있을 때 그려진 본을 토대로 옮겨 그린 이모본(移模本)입니다. 82살 노학자를 실감 나게 담아낸 조선 후기 초상화의 수작 <허목 초상>의 화폭 위쪽에 쓰인 발문에서 보물로 지정된 이 초상화의 제작 동기를 알 수 있습니다. 1794년(정조 18) 정조는 채제공(蔡濟恭:1720~1799)에게 허목의 초상화 제작을 사림(士林)들과 논의하도록 명합니다. 이에 체재공은 그해 7월 은거당(恩居堂: 숙종이 허목에게 하사한 집)에서 허목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종대)은 민속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온라인 콘텐츠로 구현한 조사연구 온라인 콘텐츠 『장승솟대조사대작전』과 『삼척맹방리상엿집』을 공개한다. 이번에 공개하는 온라인 콘텐츠는 어렵고 딱딱하여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민속조사 내용을 비교적 알기 쉽게 정리하고 사진, 동영상 자료 등을 덧붙여서 제작한 멀티미디어 온라인 콘텐츠다. □ 1980년대부터 전국의 장승과 솟대 조사한 현장민속조사의 고전 온라인 콘텐츠로 재해석 이번에 우리가 공개하는 「장승ㆍ솟대조사 대작전 –한국민속의 시원, 장승과 솟대를 탐구하다.」는 국립민속박물관의 선배 연구자들이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전국의 장승과 솟대를 조사한 결과를 대중적으로 재해석한 온라인 콘텐츠다. 한국의 장승과 솟대는 마을 공동체 문화의 상징이다. 한국 농촌 마을의 입구에는 지금도 장승과 솟대를 세우고 매년 제사를 지낸다. 장승과 솟대는 마을의 경제적 번영과 구성원들의 안녕을 지켜주는 수호신이다. 예전보다는 장승과 솟대 문화가 많이 사라지기는 했으나 현재도 매년 마을 구성원들이 장승을 깎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 있다. □ 열악한 환경 속에서 발로 뛰어 조사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2023년 새해가 밝았다. 새해가 되면 많은 사람이 여러 가지 신년 계획을 세운다. 대표적인 것이 건강에 관한 목표다. 그렇지만 바쁜 생활 속에서 자기 건강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기는 쉽지 않다. 스포츠센터에 다니거나 개인 훈련을 받으면 큰 도움이 되겠지만 그런 서비스는 번거롭고 상당한 비용이 든다. 그런데 적은 노력으로 가능한 쉬운 방법이 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것이다. 알고 보면 우리가 쓰는 슬기말틀(스마트폰), 슬기시계(스마트워치) 등에는 운동과 건강을 체크하고 동기부여 해줄 수 있는 앱이 숨어 있다. 내 슬기말틀과 슬기시계에 건강 관련 앱은 어떤 것이 있고, 어떻게 설정하면 되는지 방법을 알아보자. 1. 갤럭시폰 - 삼성 헬스 삼성 헬스는 삼성전자 제품에 탑재된 맞춤형 건강관리 앱이다. 안드로이드 5.0 이상의 모든 갤럭시 슬기말틀, 삼성 기어 시리즈, 갤럭시 워치를 지원한다. 아이폰에서도 앱스토어에서 내려받아 설치하면 쓸 수 있다. 삼성 헬스 앱을 실행하면 대시보드에 걸음 수, 체중/체성분, 혈중 산소, 음식(칼로리), 수면시간 등이 표시된다. 만일 다이어트에 가장 관심이 있다면 여기서 체중/체성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검은 토끼가 온다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계묘년] 새날의 시작’이라는 주제로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담(談) 2023년 1월호를 펴냈다. 2023년은 간지 상 계묘년(癸卯年), 토끼의 해로 세간에서는 검은 토끼의 해라 불린다. 계묘년의 계(癸)는 물[水]을 뜻하는데, 이는 오행 가운데 검은색에 해당한다. 묘(卯)는 토끼로 봄의 지극한 양기(陽氣)를 받아 무성히 자라나기 시작하는 나무[木]의 모습을 상징한다. 이번 호에서는 새로운 해를 맞이하는 기대로 가득했던 조선시대의 모습을 담았다. <수궁가> 속 토끼가 이어주는 과거와 현재 <한국 문화코드로서의 토끼 상징>에서는 전통시대 토끼가 갖는 의미를 이야기한다. 토끼는 다산과 풍요, 부활을 상징하는데 특히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는 “달의 정령”으로 도교적 신선 사상과 직결된다. 문화코드로서 동물상징에 관해 연구해 온 김이은 박사는 토끼의 간 이야기로 유명한 <수궁가>를 통해 문화적 맥락을 살핀다. 우화 형식은 풍자와 유머를 표현할 수 있는 장치였고, 판소리라는 스토리텔링으로 적용되었다. 최근 한국관광공사의 한국 홍보영상 '필 더 리듬 오브 코리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텟미엣(Htet Myat). 미얀마 말로 ‘밝은 사람’라는 뜻의 이 이름은, 미얀마 한 작은 마을의 노인이 한국인 신진호에게 지어 준 이름이다. 십 년여 동안 해마다 수차례 미얀마를 방문해 그곳 사람들의 삶과 사연들을 사진에 담아온 사진가 신진호. KIST에서 뇌과학을 연구한 과학자이자 신학대학에서 성서신학을 전공한 신학도, 외교부 소속 국제구호단체 ‘타이니씨드’(tiny-seed.org)의 활동가 등 그를 가리키는 여러 수식어들에 이국의 이름 하나가 더해진 것이다. 웃을 때면 얼굴이 온전히 환해지는 그의 모습에서거나 혹은 그의 명민함에서, 노인이 영어로는 ‘똑똑한 사람(Bright Person)’이라 번역되는 그 이름 뜻을 빌었으리라. “과학자로서, 그리고 종교인으로서, 저에게 빛은 참 특별합니다. 빛의 이중성을 이해하게 되면서, 그런 빛을 담는 도구로서의 카메라와 결과물로서의 사진이 또한 저에게 큰 의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물리학을 공부하던 학생시절, 이른 아침 창밖으로 보이는 태양과 그 빛으로 인해 변하는 하늘의 모습이 너무나 아름다워 처음 카메라를 들었다. 초기에는 컬러 필름으로 하늘, 구름, 빛을 찍다가 자가 현상과 인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지구의 기온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이산화탄소의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꼽히며, 정보통신(IT) 기술의 발달 역시 지구 온난화와 무관하지 않다. 특히 데이터센터는 일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엄청난 양의 전력을 소모하며 이산화탄소를 방출해 지구 온난화에 일조하고 있다. 그래서 많은 대형 정보통신 기업이 친환경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데 머리를 싸매고 있다. 정보통신 업계의 친환경 데이터센터 사례를 소개한다. 현재 전세계 모든 데이터의 90%는 2015년 이후에 생산됐다.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2016년 하루에 생산된 데이터는 약 440억GB였지만, 2025년에 10배가 넘는 4,640억GB일 것으로 예측했다. 이 수치는 하루 단위이며, 1년 단위로 계산하면 약 170제타바이트(ZB, 10의 21제곱)가 된다. 이는 2015년의 10제타바이트에 비해 17배 늘어난 수준이다. 이 같은 데이터 트래픽의 급증으로 전세계 데이터센터 수는 2016년 1,252개에서 2021년 1,851개로 최근 5년간 약 50% 늘어났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815개)이 가장 많은 수의 데이터센터를 차지하고 있으며, 영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이 국학자료 속 한문을 디지털 텍스트화하는 문자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ader) 프로그램인 “고도서 한자 인식”을 28일, 기관 누리집을 통해 대중에게 공개하였다. 이로써 막대한 분량의 국학자료의 디지털화 작업에 본격적인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한국국학진흥원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국학자료 관리 방법의 획기적인 전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장기 프로젝트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국학자료 자동번역 프로그램 개발에 착수했다. 이번에 공개한 고도서 한자 인식 프로그램은 국학자료 속의 한자를 디지털 글자(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로, 한문 인식률의 정확성은 약 90% 이상에 달한다. 인공지능 기술 활용 문자인식, 국학자료 디지털화 속도 30배 앞당겨 국학자료는 한문으로 적혀있으므로 일반인은 접근하기 어려운 높은 벽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국학자료의 활용을 위해서는 디지털 텍스트화와 한글 번역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지만, 여기엔 막대한 예산과 긴 시간이 필요하다. 현재 방대한 분량의 국학자료를 디지털화 그리고 뒤치는(번역하는) 작업은 ‘스캐닝ㆍ촬영→텍스트 입력→전문 번역’이라는 20년 전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