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편종과 편경의 유일한 제작자, 김현곤이 이 길에 들어선 과정을 소개하였다. <연악사>에 입사한 후, 각종 악기의 구조와 발음원리, 재료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왕직아악부 출신의 이병우(李炳祐) 명인을 만나게 되면서 국악기의 종류와 특성, 기초이론에 눈을 뜨게 되었다는 이야기, 이병우(1908~1971)는 국립국악원 전신이었던 이왕직아악부 제1기생 9명 가운데 한 사람으로 피리, 단소, 양금 연주가 뛰어났으며 양악기를 잘 다루어 고려교향악단에 입단했다는 이야기, 이병우의 집안은 전통음악의 명가라는 이야기를 했다. 또 김현곤은 편종, 편경을 제작하면서 중국, 일본을 비롯하여 세계의 여러 타악기 공방들을 탐방했고, 제작기법을 터득하며 지금도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다는 이야기, 베트남의 궁중음악인 나냑(雅樂)이 2003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음에도 베트남의 편종, 편경 제작은 그 전승이 단절되어 있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그래서 2010년, 베트남 후에유적 보전센터에서는 한국으로 복원 요청을 해 와 김현곤 명인이 초청된 바 있었다. 그는 수개월간 그 곳에 파견되어 베트남식 편종과 편경을 완벽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우리음악사에서 황금기라고 말하는 세종 세조시대의 음악적 사건들을 알아보았다. 요약하면 아악의 정리, 편종과 편경과 같은 악기의 제작, 조회와 회례, 제례의 음악 제정,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와 여민락(與民樂), 정대업(定大業)과 보태평(保太平)과 같은 대악의 창작, 그리고 정간(井間)악보 및 오음약보(五音略譜)의 창안과 악보집 간행, 등이 주 내용이다. 또한 세종임금의 음감이 뛰어났다는 이야기와 함께 나라에 변란이 생기면 우물에 편경을 숨겨놓을 정도로 귀중하게 다루었다는 이야기, 세종 이후에도 편경의 제작은 간간히 있었으나 1969년 이후에는 남갑진과 김현곤이 함께 해 오다가 현재는 김현곤 1인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편종이나 편경을 제작하기 위한 기술복원의 다양한 정보나 각종 기록은 김현곤 명인의 잠재된 능력을 일깨우기 시작한 것이다. 그는 스스로 제작한 편종과 편경을 1980년대 초부터 국립국악원을 비롯하여 각 대학 국악과나 또는 전문 연주단체에 보급하기 시작하였다. 개인의 제작이 불가능하다는 이전의 통설을 깨고 국내 유일의 편종과 편경의 제작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명인이 된 것이다. 과연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편경을 소홀히 다루거나 잘 못해서 깨뜨리게 되면, 곤장 백대의 중벌이 내려진다는 이야기와 함께 조선조 세종 이전에 국내에서는 편경을 만들지 못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그래서 와경(瓦磬)으로 대체하여 썼지만 와경은 울림이 짧고 맑지 못해서 경돌처럼 매끄럽고 고운 소리를 낼 수 없었다는 점, 세종 7년(1425), 경기도 수원 남쪽의 남양에서 경석이 발견되어 편경을 제작하였다는 이야기, 편경은 춥거나 덥거나 기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에 여러 악기의 조율시, 표준악기로 삼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를 했다. 중국은 12매나 32매의 편경도 있고, 크기에 따라 높낮이를 결정하지만 우리는 16매 모두가 크기가 같고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결정된다는 이야기, 경석 발견 뒤 5년 동안 편경 33틀을 제작하였고 여기에 130여명의 장인들이 참여하였다는 이야기, 현대에 와서는 김현곤 명인이 편종이나 편경을 혼자 제작하고 있으며 그 배경도 단절된 제작기술을 복원시킬 수 있도록 갖가지 정보와 기록이 밑받침 되었기에 가능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편종과 편경의 제작이 우리 음악사에서 얼마나 중요한 사건이었나 하는 점을 살펴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편종과 편경의 외형 모습이 비슷해 보이지만, 편종은 목사자, 편경은 백아(白鵝), 곧 흰거위를 받침대로 쓰는데 그 이유는 편종 소리는 웅장하고, 편경은 청아한 것을 상징하기 때문이란 점, 또한 편종의 틀이 용머리인데 비하여 편경은 봉황의 머리를 조각해서 쓴다는 점, 편경은 경석 끝부분인 고(鼓)를 가볍게 쳐야 맑은 소리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얘기했다. 또 외부 침략이나 내란, 또는 관리소홀 등으로 파손되면 스스로 제작이 어려워 명(明)나라로부터 사오다가 조선조 세종 때부터는 국내에서 직접 편종과 편경을 제작, 사용해 왔다는 점, 또한 편종은 주종소(鑄鐘所)를 설치하여 국내 생산이 가능했다는 점, 그러나 편경의 경우에는 그 재료인 단단한 옥석을 구하는 일이 어려웠다는 점 등을 이야기 하였다. 조선조 세종 이전에 국내에서 편경을 제작하였다는 기록은 없다. 아마도 그 까닭은 편경의 재료인 경석을 찾지 못했기 때문에 중국에 가서 직접 사 온 것으로 짐작되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에서 구해오는 과정도 여의치 못할 경우, 기와를 구워서 만든 와경(瓦磬)으로 대신했다고 한다. 이때 편경의 귀중함을 나타내는 단적인 말이 전해온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중국에서 들여온 편종과 편경이 12율(음)형태와 16율(음)형태의 두 가지였으나 후대에 12율 형태는 없어지고, 16율 형태가 남게 되었다는 이야기, 상하 2단 틀에다 8개씩 16개의 종이나 경을 음높이의 순서대로 매달아 놓았으며 중국의 편종은 크기에 따라 음높이가 결정되는 것에 반하여, 한국의 편종은 공간을 에워싸고 있는 두께에 의해 음정의 구별이 생긴다는 이야기, 편종이나 편경에서 제일 낮은 음이 황종(黃鐘)이고, 위치는 오른쪽 아랫단에 걸려 있으며 그로부터 왼쪽으로 반음씩 높은 종이 걸리게 된다는 이야기를 했다. 편종을 연주할 때에는 아랫부분 가운데에 돌출된 수(隧)를 정확하게 쳐야 특유의 음색을 얻을 수 있다는 이야기, 예전 악사들은 눈을 감고 쳐도 16개 종의 수 부분을 정확하게 쳤다는 이야기, 얼핏 보면 편종과 편경은 비슷하게 보이지만, 편종은 목사자를 받침대로 쓰는데 견주어 편경은 백아(白鵝), 곧 흰거위를 받침대로 쓴다. 이는 편종 소리가 웅장하기 때문이고, 편경은 그 소리가 청아한 것을 상징하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관심 있게 보지 않으면 쉽게 발견하기 어려운 또 다른 점들이 있다. 예를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부터는 궁중음악의 상징인 편종과 편경에 관한 이야기와 함께 김현곤 명인이 이같은 유율타악기(有律打樂器)를 순전히 개인의 힘으로 제작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편종이나 편경은 쇠나, 돌, 어느 한 재료로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음정이 정확해야 하고, 음색이 뛰어나야 하는 악기라는 점에서 제작의 난이도가 높고, 작업공정이 까다로운 악기라는 이야기, 그래서 과거 조선조에서도 개인이 만들었다는 기록은 없다는 이야기를 했다. 이어서 유율타악기란 바로 선율타악기이고, 타악기는 누구든 치면 소리는 울리게 되어 있으나 가락을 옮기는 숙련된 음(音)을 얻기 위해서는 부단한 연습과정이 따른다는 이야기, 편종은 크기가 일정한 종 16개를 2단 틀 위에 엮었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고, 편경이란 ㄱ 자 모양의 돌을 16개 엮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이야기, 국악기를 만드는 재료에는 8음(八音)이 있는데, 금(金), 석(石), 사(絲), 죽(竹), 포(匏), 토(土), 혁(革), 목(木)이란 이야기, 이 악기들은 고려 예종 11년(1116년), 중국 송(宋)나라에서 들어왔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당시 송나라에 고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재담꾼, 김진무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80년대 초부터 대학에서 탈춤반 활동을 하다가 북청사자 놀이의 일원이 되었고, 주로 점받치(의원)역할을 해 왔다는 이야기, 의원은 서울서 초빙된 전문인이고 지식인이기에 서울의 언어를 구사했는데, 생중계를 하던 해설자는“함경도 사투리가 어려워서 표준어를 구사한 것이 흠”이라는 평가를 했다는 이야기를 했다. 또 사자놀이의 예능을 배우면서도 박동신, 지관용, 양소운, 김금화, 장용수, 김경복 등 서도의 명인명창들 소리를 흉내내어 그쪽 소리나 사투리도 매끄럽게 구사하고 있다는 이야기, 넋두리 춤이나 애원성 노래는 인정을 받을 정도로 잘 부른다는 이야기, 앞으로 정례적인 발표회와 함께 옛 자료를 통한 복원작업이나 연구발표, 전승자 양성, 교재발간, 작품발표회, 등으로 퉁소음악의 영역이 확대되기를 바란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부터는 궁중음악의 상징적인 악기로 인식되고 있는 편종(編鐘)과 편경(編磬)과 같은 유율타악기(有律打樂器)의 이야기와 함께 궁중음악에 쓰이는 다양한 악기들을 제작해 오고 있는 공예분야 무형문화재 김현곤 명인의 이야기를 소개해 보도록 한다. 공예분야는 나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퉁소 명수들의 음악놀이와 관련한 이야기를 하였는데, 함경남도 광천은 마을마다 즐겨 불 정도로 보편적이고 일반화 되어 있었던 악기가 바로 퉁소였다는 이야기, 마을을 대표하는 최고의 퉁소잽이들이 모여 겨루기 마당이 열리면, 멀리 다른 지방까지 가서 명인들을 초빙해 온다는 이야기를 했다. 두만강 넘어 연변 조선족 사회는 퉁소에 대한 애정이 각별하여 자체적으로 <퉁소예술절>을 개최할 정도라는 이야기, 함경도의 옛 명수들은 신아우를 잘 불었는데, 그 선율이 활달하고 전투적이어서 용사들의 우렁찬 개선가와도 같이 들린다는 이야기, 사자놀이는 퉁소음악에 맞추어 가가호호 방문하며 액운을 쫒아내고, 가정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한다는 이야기, 김진무의 점받치 역할은 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재담꾼, 김진무에 관한 이야기를 조금 더 해보기로 한다. 그는 80년대 초부터 원래 대학의 탈춤반 활동을 하던 탈꾼이었다. 당시 모 대학 축제장에서 신나게 탈춤을 추었는데, 이를 지켜 본 북청사자 놀이의 원로 보유자의 눈에 들어 본격적으로 이 길에 들어서게 되었다고 한다. 그 인연으로 80년대 중반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함경남도 광천마을의 마당놀이 이야기를 하였다. 마을 한 복판에 달집을 세우고, 달맞이 준비를 하며 풍물패, 퉁소꾼들과 함께 마을 별 춤과 노래, 무동춤과 칼춤 등의 원율놀이가 벌어진다는 이야기, 원래 이 지역의 칼춤은 미소년 2명이 여자 옷차림을 하고, 양손에 칼목이 꺾이는 칼을 쥐고 춤을 추며 반주음악은 퉁소잽이 약간명과 북잽이가 <영산회상>으로 반주한다는 점을 얘기했다. 칼춤의 민활성이나 용감성, 전투적 기백으로 보아 타지방과는 비교가 된다는 점, 여타의 다른 무용수들도 긴 손수건을 들고 장삼을 늘인 손목을 상하좌우로 피거나 젖히고 돌리기도 하는 손목 동작이 주가 되는 춤이라는 점, 이러한 춤사위는 함경도 지방 사람들의 용감한 성격에 어울리는 진취적인 형태라는 점 등을 이야기 하였다. 이번 주에는 셋째 마당, 퉁소 명수들의 음악놀이 관련 이야기가 되겠다. 함경도 지역의 축제마당에는 어김없이 퉁소가 등장한다. 특히 명절 때가 되면 마을마다 퉁소를 즐겨 불 정도로 이 악기가 일반화 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각 마을을 대표하는 최고의 퉁소잽이들이 모여 겨루기 마당이 열리는가 하면, 오락적이고 즉흥적인 음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퉁소신아우 보존회> 회원들이 남산 국악당 무대에서 재현한 정월 대보름 공연, 곧 함경도 광천지방의 마당놀이 관련 이야기를 하였다. 함경남도 도민회장은 “실향민들의 전통문화가 분단이후 지금까지도 면면히 이어지고 있어서 다행이며 퉁소는 집안과 마을 마당에서 놀이형태로 이어졌는데, 이러한 전통이 남한 땅에서 전승, 보존된다는 것은 실향민들의 강인한 정신과 조상님들의 숨결이 같이 한다는 의미”라고 했다. 전국에서는 정월대보름에 달을 향하여 가족, 이웃, 마을의 평안을 빌며 주민의 화합을 도모하는 풍습이 전해오는데, 이러한 행사에는 고유의 노래, 음악, 춤, 연희가 중심이라는 이야기, 광천지방의 마당놀이 역시 주민들에 의해 연희되어 왔으며, 이를 ‘마당률’ 또는 ‘음률 논다’고 불렀다는 이야기, 퉁소신아우 보존회는 불놀이-원율-퉁소-사자마당, 등 네 마당으로 구분하여 연행하였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각 마당별 내용들을 간단히 소개하는 이야기로 이어간다. 제1마당은 서막 형식으로 불놀이 마당이다. 지나간 해를 보내고 새해 농사를 준비하면서 온 동네 주민들이 모여 마을의 축제를 준비하는 마당이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