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안동립 기자] [여행 2일 차] (2일 차 이동 거리: 총 660km, 포장 250km 비포장 408km) 9월 19일 17시에 초이발산시를 출발하여 경치 좋은 산기슭에서 야영하려고 출발하였다. 한 시간쯤 달려왔는데. 저리거 씨가 차량에 기름을 가득 채운다는 것을 잊고 출발하여, 다시 초이발산시로 돌아와 기름을 채우고 할힌골 솜으로 출발하니 벌써 해가 진다. 초이발산시에서 자고 내일 가자고 하니 100km라도 더 가서 야영하자고 하여 야간 운행을 한다. 고도가 780m에서 600m로 내려가는 지형이 200여 킬로 이어지더니, 다시 780m로 고도가 올리는데 평원이 늪지대처럼 갈대류의 식생으로 빼곡히 자라 텐트 칠 자리가 없다. 할힌골 솜까지 비포장도로 340km인데, 강이 없는 평원이라 척박하여 할힌골 솜까지 마을이 없는 이유를 알겠다. 가는 길에 유전 펌프를 볼 수 있었다. 밤하늘의 화려한 별빛 쇼를 보면서 칠흑 같은 비포장도로를 달려 9월 20일 새벽 3시 할힌골 솜에 도착하였다. 10시간 동안 야간 운전으로 초원을 건너왔다. 실제 거리 340km인데 중간에 마을이나 도시가 하나도 없다. 중간에 여러 번 길을 헤매고 돌고 돌아가는 길이 무지
[우리문화신문=안동립 기자] 인원: 안동립, 오문수, 저리거(안내), (이동 거리: 3,300km) 답사 일정: 2022년 9월 18일(일) ~ 9월 27일(화) [9박 10박] 고(옛)조선유적답사회는 2022년 가을 답사로 유목민의 나라 몽골(Mongolia)로 찾아갔다. 그곳에는 수만 년 대자연의 역사를 간직한 거칠고 황량한 땅, 고비사막이 있다. 울퉁불퉁한 비포장도로 흙먼지 속에서도 거침없이 달리며, 광활한 대지와 자연의 감동, 별과 은하수가 쏟아지는 몽골의 독특하고도 아름다운 모습을 만나러 동몽골로 떠났다. 그곳에서 답사자는 우리 민족의 기원 ‘코리 석상’을 만나게 될 것이다. <편집자 말> [1, 2일 차 20220918~19일] 1일 차 이동 거리 430km 지난 6월에 남고비 답사에 이어 9월 동몽골 보이르호 지역 답사하러 몽골에 왔다. 이번 여행이 몽골 9차 답사이다. 저리거 사장과 3개월 만에 만나니 반갑다. 11시 20분 칭기즈칸 공항에서 동몽골 가는 길로 접어드니 2차선 좁은 도로에 차량이 많아 약간 정체다. 도로 주변 가로수에 노란 물이 들기 시작하고 주변에 건물이 늘어나 답사 올
[우리문화신문=안동립 기자] 카라코룸에서 울란바토르로 돌아가는 날이다. 이 단장이 탁본 뜰 곳에 데려다 달라하였지만 일정상 갈 수 없어서 다음 답사 때 탁본을 할 것을 권하였다. 끝없는 평원을 달리며 사방이 탁 트인 초원과 사막의 멋진 풍광이 차창을 스쳤다. 풍광이 좋은 장소에서 적당히 쉬면서 가야 한다. 대평원을 달리다 보니 지형의 변화가 없어 졸음운전이 걱정되지만 수도권 주변의 차량 정체가 심하기 때문에 부지런히 가야 한다. 5시 이전에 울란바토르에 도착 하였다. 시내 한식당에서 저녁을 먹고 보야지 호텔에 들어와 거울을 보니 수염도 깍지 못하고 입술이 터지고 목이 쉬어 몰골이 엉망이었다. 긴 여정을 마치고 울란바토르에 돌아오니 긴장이 풀려 침대에 눕자마자 쓰러져 잤다. 귀국 날 아침 일찍 울란바토르 시내 관광을 하기 위하여 수흐바타르 광장으로 갔다. 정부청사 건물 가운데는 세계를 정복하였던 칭기즈칸의 동상이 광장을 내려다보고 있다. 맑고 청명한 하늘과 많은 사람이 광장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었다. 덥지만 상쾌하였다. 정부청사 지하에 있는 화랑에 들어가 구경하고 국립역사박물관, 복드칸 왕궁, 간등사, 이태준기념관에서 참배하고 바쁘게 시내 관광을 하
[우리문화신문=안동립 기자] 게르에서 나와 호수를 바라보니 강렬한 햇살이 비춰 하늘과 호수의 색이 코발트 불루로 눈이 시리도록 아름답다. 시간이 있으면 호수 주변 휴양 게르에 며칠간 쉬고 싶은 곳이다. 아쉽지만 아침을 먹고 길을 나섰다. (*테르한차강노르 White lake 호수는 화산 활동에 의하여 생긴 자연호수로, 길이 16km 폭 4~10km로 경관이 매우 아름다운 천상 호수이다.) 호수 주변 관광으로 작은 용암굴(탄생 굴)과 인근 호르고 화산을 찾아 두 시간 정도 트레킹을 하였다. 이 화산은 사화산으로 해발 2,240m, 분화구 지름 200m, 깊이 100m로 화산이 지금이라도 폭발할 것 같아 장관을 이룬다. 타리하트 마을까지 나오는 길에 돌이 많아 몸살이 날 정도로 온몸을 흔들어 댄다. 포장길로 나와 30km 달려 도로변에 있는 촐루트 협곡에 갔다. 대평원에서 강물에 의한 협곡이 생기는 과정이 한눈에 보인다. 지형학 사전을 보는 것 같았다. 일부 회원들이 서둘러 가자고 성화다. 장거리 운행 시 답사 대장은 모두의 안전을 위하여 서두르지 말아야 하며, 운전사들의 충분한 휴식을 위하여 운전사들이 대장의 눈치를 보지 않게 경관이 좋은 곳에서 차
[우리문화신문=안동립 기자] 답사 기간이 길어지니 오늘이 며칠, 몇 시인지 시간관념이 희미해졌다. 해 뜨면 일어나고 해지면 자리를 깔고 잠을 자니 자연 그대로의 삶을 사니 즐겁고 행복한 나날이었다. 텐트에 비치는 햇살에 눈을 뜨니 모두 일어나 분주하게 아침준비를 한다. 굶주린 독수리가 무리를 지어 우리 야영장 주변을 맴돌았다. 사람은 사람대로 동물은 동물대로 자기의 위치에서 살아가니 초원의 시간은 평화롭게 흘러갔다. 주변 정리를 깨끗이 하고 출발하였다. 30여 분 달려 텔멍까지 가니 포장길이 나타났다. 4년 사이에 도로포장 공사를 했다니 깜짝 놀랐다. 몇 년 안에 울리아스타이시까지 포장이 될 것 같다. 이 구간에 제일 큰 대형 돌무지무덤(적석총)과 사슴돌 비석을 답사하고 토손쳉걸 마을 강가에서 점심을 먹는데, 4호차 운전사인 자야 씨의 고향 마을로 옛 친구가 우연히 강가에 나왔다가 반가워했다. 몽골의 고갯길은 눈이 많이 오는 겨울에 결빙을 막기 위하여 비포장으로 두어 사고를 방지한다고 한다. 생활의 슬기로움인 것 같다. 솔롱고티얀 고개를 넘어 한가이 산맥 북쪽 평원으로 내려왔는데 도로 오른쪽 멀리에 작은 비석이 하나 보여 차를 세우고 조사를
[우리문화신문=안동립 기자] 며칠째 이어지는 비포장 길과 건조한 날씨 척박한 환경에 모두 피곤해 하였다. 필자도 목이 쉬고 입술이 터져 엉망이지만 오늘도 만만치 않은 길을 나섰다. 울리아스타이시는 훈족 우현왕의 옛도읍으로, 첩첩산중 사막에 위치하여 접근조차 하기 어려운 곳이다. 숙소 앞에 있는 시립박물관에서 이 지역에 살았던 유목민의 삶과 역사를 배우고, 어텅겅텡게르산(4,021m Otgontenger uul) 가는 길에 있는 다얀산(2,750m) 천제단을 찾아서 출발하였다. 만년설에서 내려오는 계곡물의 수량이 많아, 하천 주변으로 게르와 양 떼가 그림처럼 펼쳐져 있었다. 천제단의 위치는 산상 호수 2개의 가운데 산 꼭대기에 있는데 이정표가 없어 위쪽 호수까지 가서 주민에게 물어보니, 아래쪽 호수 뒤쪽으로 진입하여야 한다고 알려줬다. 다양산 꼭대기로 오르는 길 아래에 차를 세우고 바라보니 제주도 오름처럼 식생 한계선으로 가까이 보이지만 2시간 정도 산행을 하여야 오를 수 있는 큰 산이다. 발아래는 솜다리 꽃(에델바이스)과 이름 모를 꽃이 만발하였다. 가까워 보이는 산이지만 천천히 올라야 했다. 여러 곳에 성혈(선사시대 유적에서 확인되는 바위에
[우리문화신문=안동립 기자] 아침에 일어나니 햇살이 강렬하게 비춰 상쾌한 아침이었다. 일부 답사단이 새벽에 등산을 하였고 나머지 대원은 여유 있게 출발 채비를 하였다. 알타이산이 거대하게 펼쳐진 하삭트하르항 산이 아름답게 펼쳐진 한 폭의 그림 같은 언덕 게르에서 야크를 키우며 살아가는 집을 찾았다. 4년 전에 방문하였는데 살던 할아버지는 앞에 보이는 게르에서 살고, 아들 내외가 살고 있었다. 게르에 방문하니 아기 둘과 아주머니가 있다. 아주머니는 어름(야크 젖 치즈)과 빵을 대접하면서 수태차를 끓이는 작고 협소한 게르에 2~30여 명이 들어가 풍성한 대접을 받았다. 연속 3일째 이어지는 비포장길로 어려움이 예상되었다. 타이시르까지 가는 길은 지도상에 나타나지 않아 걱정하였는데, 막상 진입하니 길이 희미하고 험하지만 통과하기에는 무난하였다. 가는 길에 자우항강 줄기가 가늘게 나타났다. 이 강은 한가이산 서부에서 발원하여 울리아스타이를 거처 몽골 서부 저지대 하이어가스 호수(둘레 240km)로 흘러든다. 강의 유로 연장 540km나 되는 큰 강인데, 가뭄으로 가는 물줄기를 형성하면서 흐렸다. 쉴루스테로 가는 길은 타이시르에서 65km로 고비사막을 벗어
[우리문화신문=안동립 기자] 알타이시는 몽골 서부를 잇는 기점으로 작고 아담한 오아시스 도시이다. 어젯밤은 근사한 호텔(EHTYM HOTEL 7048-3364)이 있어 하룻밤을 편안하게 쉬었다. 간단하지만 조식을 먹고 알타이 시내를 걸어서 박물관으로 가는데 햇볕이 따가웠다. 거리에 스키타이 양식의 대표적인 동물무늬가 새겨진 청동 말 동상(BC 3~7세기)이 알타이시의 상징으로 설치되어 있다. 알타이박물관 전시물은 4년 전과 동일한 것 같았다. 방명록을 보니 2014년 8월 4일 필자의 이름이 나와 있었다. 2018년 6월 21일 또 방명록을 쓰니 감회가 새로웠다. 알타이 시장에 들러 구경하고 알타이산맥의 지맥인 하삭트하르항산(3,579m) 마더 마운틴으로 출발하였다. 큰 산을 끼고 도는 길이라 거리가 75km밖에 안되지만 무척 험하여 시간이 오래 걸렸다. 가는 길 주변에 4~50 여기의 돌무지무덤(적석총)이 흩어져 있는데 그 가운데 몇 개는 줄자로 크기를 재고 기록을 하였다. 어렵게 산 입구에 들어서니 우리 차가 고개를 넘지 못하였다. 4년 전에도 차를 밀어서 고개를 넘었는데 이번에도 똑같이 밀어서 고개를 넘었다. 험한 산이라 어쩔 수 없다.
[우리문화신문=안동립 기자] 어제 밤은 초원에서 야영하였더니 기분이 좋았다. 모두 일찍 일어나 분주하게 아침을 먹고 떠날 준비를 하였다. 이번 답사에서는 이동식 화장실 텐트를 설치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었다. 출발 전 미팅에서 어제와 같은 실수를 하지 않으려고 운전사들에게 선두 차를 앞질러가지 말라고 하였다. 빨리 가다가 사막에서 헤어지면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있으므로 선두 차를 따라올 것을 강조하였다. 오늘 달려야 할 고비사막은 115km는 포장도로이고 285km는 비포장 구간으로 몽골의 진수인 고비사막을 즐길 수 있는 멋진 곳이다. 이 길은 칭기즈칸의 서역 정벌 길로 동서 교류의 장이며 문화의 이동로이다. 바얀홍고르 시내를 벗어나니 바로 비포장도로가 나왔다. 멀리서 대형 컨테이너 차량이 고비사막을 뚫고 먼지를 풀풀 날리며 달려오는 모습을 보니 고비에 진입하기도 전에 질렸다. 바로 옆에는 도로포장 공사를 하고 있었다. 4년 전에 왔을 때 알타이시 부근에만 포장이 되었는데 고비사막 연결도로가 수년 내로 포장이 완료될 것 같았다. 이 지역은 고비알타이 사막으로 여러 개의 저지대 호수가 있는데 우리 답사단은 그 가운데 제일 큰 버엉차강노르(Buun
[우리문화신문=안동립 기자] 새벽 한기에 잠을 깨 게르에서 나오니 햇살이 눈부시게 비치고 상쾌하였다. 차량별로 아침을 먹고 바얀홍고르로 출발하였다. 오늘부터 가는 길은 건조하고 메마른 고비사막으로 들어가는 힘든 고행길이다. 구름과 하늘이 맞닿는 끝없이 펼쳐진 대평원에 포장과 비포장도로가 이어지는데, 더위 속에서 먼지를 뚫고 길이 없는 사막 한가운데를 달리는 험한 길이었다. 예년에 견주면 오랜 가뭄으로 강은 말라 있고, 도로 주변의 초지는 말라붙어 사막처럼 먼지만 풀풀 날리는 곳에서 풀을 뜯는 양과 말이 바짝 말라 갈비뼈가 보여 안타까웠다. 그래도 가끔 저지대 습지 지역을 지날 때 민들레와 이름 모를 꽃이 양탄자처럼 낮게 피어 장관을 이뤘다. 끝없는 평원을 달리다 보면 하늘과 땅이 하나로 보이며, 둘러보는 사방 모두가 그림처럼 아름다웠다. 아르웨이헤에르시에서 시장을 보고 다시 사막으로 달렸다. 주변에 가끔 적석총이 보이나 뚜렷하지 않아 지나치는데, 하이르항돌랑을 지나는데 오른쪽 언덕에 적석판석묘가 여러 개 보여 잠시 둘러보고, 샤르팅죠 판석묘(E45˚54´59˝, N101˚39´18˝, h1939m)를 찾기 위하여 이일걸 단장에게 위치를 알려주고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