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 우리말 사랑을 실천한 정방폭포 화장실 정방폭포에 들렀습니다. 이곳 화장실 표시는 한글로 먼저 화장실이라 크게 쓰고 그 아래에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도 써놓았습니다. 한국의 자존심을 살리면서도 외국인을 배려한 모습이 그만입니다. 그리고 여성을 상징하는 그림은 해녀를, 남성을 상징하는 그림은 돌하르방을 친근하게 그려 웃음을 짓게 만듭니다. 우리말 사랑을 실천한 정방폭포 관광지 칭찬합니다. ▲ 사대주의에 찌든 중문관광단지 간판 그런데 정방폭포와 멀지 않은 중문단지 길거리의 중문단지임을 알리는 간판에는 한글은 없이 한자로 커다랗게 써놓고는 그 아래엔 영어를 써놓아 눈살을 찌푸리게 합니다. 한자와 영어를 써놓은 게 잘못이 아니라 분명한 한국 땅에 한글이 없는 간판을 달다니 어디 나사가 빠지지 않고서는 이럴 수 없습니다. 외국인이 오히려 혀를 차지 않을까요?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영어로 도배한 광고를 하면서 품격과 가치에 감동하다.라고 외칩니다. 사대주의에 다름 아닌 것에 무슨 품격과 감동을 말하나요? 광고에 한글이라곤 이 헛구호와 브라이어라는 상품 이름뿐입니다. 그리곤 알 수 없는 영어 특히 필기체 영어가 광고 주인이 되었습니다. 영어로 광고해야만 상품이 잘 팔리나요? 제발 우리말 짓밟는다는 광고를 하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문화일보의 한 칼럼의 제목을 보니 鯤이 大鵬으로 장자, 자유의 메타포라고 해놨습니다. 그리곤 멋쩍었는지 鯤 아래에는 곤:큰물고기, 大鵬 아래에는 대붕:큰새라고 토를 달았습니다. 신문은 일반 독자가 읽는 것으로 심오한 철학을 펼치는 마당이 아닙니다. 신문 기사는 제목만 보고도 대충 내용을 짐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인데 이렇게 어려운 철학 용어를 남발하면 어떻게 하란 말인가요? 그리고 한자를 먼저 크게 쓰는 버릇은 참 기가 막힙니다. 언론이 앞장서서 우리말 짓밟기를 일삼으니 걱정이 큽니다.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한 교회에서 행사를 한다고 펼침막을 걸었는데 원 플러스 The 러브라네요. 교회도 할인점을 닮아 원 플러스에 동참했나요? 게다가 The 러브라고 영어와 영어의 한글화한 글자까지 어이가 없습니다. 저렇게 하면 신도들이 몰려오나요? 한국에 기독교가 처음 들어왔을 때는 토착화를 위해 한글로 전도를 하려고 애썼는데 이제 오만해졌는지 아니면 사대주의에 찌들었는지 영어 쓰기에 골몰하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제발 교회가 우리말을 짓밟는 모습이 아니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버스정류장에 예쁜 디자인의 전시회 포스터가 붙었습니다. 그러나 이 포스터는 대부분 한글로 쓰이긴 했지만 함께 하는, 살아있는과 토씨를 빼고는 우리말은 없습니다. 특히 멘디니 展이라고 하여 전시회 이름 뒤에 한자로 展을 붙인 것은 왜인가요? 또 전시회 이름 아래엔 THE POETRY OF DESIGN이라는 영어도 붙여 놓았습니다. 굳이 뒤치자면(번역) 디자인의 시인가요? 맨 위에는 전방위적 크리에이터란 한자말과 외래어를 붙인 복합어도 등장시킵니다. 잘난 채에 다름 아닙니다. 제발 우리말 사랑하는 포스터를 만들 수는 없나요?
[우리말 쓴소리단소리] 내가 자주 지나다니는 곳에는 한 작은 호텔이 있습니다. 그동안 무심코 지나쳤었는데 어느 날 호텔 앞에 세워진 선간판에 보니 한글은 한 자도 없고 온통 영어뿐이었습니다. 선간판 옆 벽에 붙어있는 또 다른 간판 역시 한글 몇 글자를 빼고 모두 영어투성이였습니다. 나는 순간 이 작은 호텔에는 미국인만 오나보다.라고 생각했는데 며칠을 지나다니면서 드나드는 손님을 보니 거의가 서양인이 아닌 중국인들이었습니다. 외국인들도 투숙하는 호텔이니 영어로 안내하는 것을 나무랄 수는 없겠지요. 하지만, 한국에 있는 호텔이 간판에 한글 한 자가 없는 것을 어떻게 봐야 할까요? 한글이 세계 으뜸 글자라고 자랑하는 한국인들이 정작 자기 나라 글자를 푸대접 하는 것을 보고 외국인들은 비아냥거리지 않을까요?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 한글은 작게 쓰고 한자를 크게 써놓은 동화면세점 간판 광화문 네거리에 교보문고 대각선 건너편에는 눈이 띄는 큰 건물이 하나 있는데 바로 동화면세점입니다. 그런데 건물 맨 꼭대기에 한자로 東和免稅店이라고 크게 써놓고는 그 아래에 작은 글씨로 한글을 써놓았습니다. 물론 면세점의 소비자가 중국인들이 많다는 건 이해가 가지만 아무리 그렇더라도 한자와 같은 크기의 한글 글씨를 위에 써 붙이고 그 아래에 한자글씨를 넣으면 안 되나요? 몇 년 전 중국 조선족자치주 연변에 갔을 때 보니까 그곳은 중국인데도 우리 동포들이 민족적 자존심으로 간판에 한글을 꼭 먼저 써놓았습니다. 간판 하나도 민족자존심의 우리말 사랑이 담겼으면 좋겠습니다. ▲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에 가면 모든 간판을 한글로 먼저 써놓았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한 고속도로 휴게소에 들어서니 주전부리, 구이구이라고 우리말로 간판을 단 가게가 있었습니다. 주번부리는 사전에 맛이나 재미, 심심풀이로 먹는 음식이라고 풀이하고 있으며, 구이구이는 오징어구이처럼 주전부리의 하나지만 구워서 만든 것을 말하겠지요. 오래간만에 우리말을 살려서 쓴 간판을 보니 기분이 상쾌했습니다. 간판에 영어를 쓰는 것이 예사인 요즘 이렇게 우리말을 살려서 간판을 만드는 가게는 칭찬을 받아야 합니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지하철 1호선을 타러 지하철역에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그곳에 있는 비상전화는 영어범벅이었습니다. 무슨 일이 생기면 옆에서 보고 뛰어와야 하는데 옆에는 SOS INFORMATION만 보이고 바로 앞에 가봐야 비상전화라고 쓰였습니다. 영어를 썼다고 나무라는 것이 아닙니다. 이 전화를 쓸 사람 대부분이 한국 사람인데 한글은 푸대접하고 옆에서 볼 때 영어만 보이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영어를 모르는 할머니나 아이들은 이 전화 쓸 자격도 없나요? 지난 2006년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에서 2006년 우리말 지킴이와 훼방꾼을 뽑았을 때 회사 이름을 서울지하철공사 대신 서울메트로로 바꾸고 비상전화를 SOS INFORMATION라고 쓴 서울메트로도 훼방꾼에 뽑힌 적이 있는데 아직도 정신을 못 차렸습니다. 일반 사기업도 아니고 공기업이 우리말을 짓밟는 모습이 참 안타깝습니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한 고속도로 휴게소에 가니 新대구부산고속도로(주)에서 붙인 참한 길 공모전 포스터가 붙어있습니다. 그런데 그저 참한 길이라 하면 좋을 것을 참 옆 괄호 속에 charm이란 영어를 넣어 놓았습니다. 물론 charm에는 매력이란 뜻이 들어있기는 하지만 그림씨(형용사)가 아니고 이름씨(명사)입니다. 따라서 굳이 매력적인 길이란 뜻으로 쓰려면 a road of charm이라고 써야 하는데 문법도 안 맞는 영어를 이렇게 남발하는 까닭이 어디 있을까요? 사대주의일까요 아니면 어쭙잖은 잘난 채일까요? 더구나 이 회사는 회사 이름 앞에 新이란 한자까지 붙인 무모한 용기를 부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