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맑음동두천 6.1℃
  • 구름조금강릉 8.4℃
  • 맑음서울 8.7℃
  • 맑음대전 8.4℃
  • 맑음대구 8.3℃
  • 맑음울산 6.9℃
  • 맑음광주 9.4℃
  • 맑음부산 8.3℃
  • 맑음고창 3.1℃
  • 맑음제주 9.6℃
  • 맑음강화 2.3℃
  • 맑음보은 4.5℃
  • 맑음금산 6.1℃
  • 맑음강진군 5.1℃
  • 맑음경주시 3.7℃
  • 맑음거제 6.5℃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 넓게 보기

대한제국 황실 인물ㆍ궁궐 이야기 담은 책자 펴내

국립고궁박물관, 《고종, 순종, 그리고 황실 여성들》과 《국역 궁궐지-헌종 연간: 경복궁·창덕궁》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정용재)은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 인물의 삶을 관련 유물과 함께 조명한 연구서 《고종, 순종, 그리고 황실 여성들》과 《궁궐지(宮闕志)》를 한글로 뒤친 국역서 《국역 궁궐지-헌종 연간: 경복궁·창덕궁》을 펴냈다.

 

이번에 펴낸 왕실ㆍ황실유물 연구총서 제2책 《고종, 순종, 그리고 황실 여성들》은 2022년 펴낸 《이화문(李花紋)》에 이어 두 번째로 선보이는 연구 성과물이다.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 일제강점기를 거친 격변의 시대를 살아간 고종과 순종 황제, 그리고 그들의 후비(황후와 후궁)의 삶을 시대적 흐름 속에서 관련 유물과 함께 조명한다.

* 고종(재위 1863~1907): 조선 제26대 국왕이자 대한제국 초대(初代) 황제

* 순종(재위 1907~1910): 대한제국 제2대 황제

* 고종의 후비(后妃): 명성황후, 순헌황귀비 엄씨, 귀인들

* 순종의 후비: 순명황후, 순정황후

 

 

 

이번 책은 고종과 순종, 그리고 황실 여성들의 공적ㆍ의례적 존재로서의 삶과 개인으로서의 모습을 다양한 유물과 자료를 바탕으로 종합적으로 담아내었다. 특히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의궤 등 문헌사료, 회화, 사진, 어보와 어책, 현판, 복식, 공예 등 총 370여 건의 도판과 해설을 수록하고 있으며, 인물별 주요 사건을 정리하여 폭넓은 연구 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고종과 순종 인물사에 대한 논고와 시기별ㆍ주체별로 다양하게 촬영ㆍ제작된 왕실ㆍ황실의 사진들을 분류한 논고 두 편을 수록하여, 향후 관련 콘텐츠 제작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문헌국역총서 제13-1책 《국역 궁궐지-헌종 연간: 경복궁ㆍ창덕궁》은 2023년 펴낸 《국역 궁궐지-숙종ㆍ고종 연간》에 이어 헌종 연간(1834~1849년)에 펴낸 것으로 추정되는 《궁궐지》를 한글로 뒤친 책이다. 헌종 연간 《궁궐지》는 숙종 연간에 처음 펴낸 《궁궐지》를 보완하여 19세기 초반까지 궁궐에 나타난 여러 변화상을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선 후기 궁궐의 모습을 가장 상세히 전하는 자료로 평가되며, 그 중요성으로 인해 1950년대와 1990년대에도 번역서를 펴낸 바 있다.

 

 

 

이번에는 모두 5책으로 구성된 《궁궐지》 가운데 경복궁과 창덕궁을 다룬 1ㆍ2책의 번역서를 먼저 공개하는 것이다. 원문의 오류를 바로잡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본(本)을 대조하고 관련 자료를 확인하였으며, 더 풍부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기존 연구 성과를 반영한 주석을 추가하였다. 나머지 3ㆍ4ㆍ5책(창경궁, 경희궁, 경성 편)은 올해 말 제13-2책으로 펴낸 예정이며, 19세기 궁궐의 모습을 생생히 그려볼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책자는 국공립 도서관과 연구기관 등에 나눠줄 예정이며,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www.gogung.go.kr)에서도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