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1905년 5월 22일 자 <황성신문>에는 이런 광고가 실려 있다. “지난 음력 4월 13일 아홉시 반에 여종 하나가 도망하여 아직까지 돌아오지 않아서 사방을 찾아다녔으나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없는 까닭에 광고하노라. 그 여종의 차림은, 닳아서 구멍이 난 푸른 베옷을 걸치고 푸른 신발을 신었는데 말을 잘하며 나이는 14세라. 얼굴은 희고 흉터가 없으며 왼쪽 눈언저리에 검은 사마귀가 하나 있고 청나라 화장분을 발랐다. 혹시 이런 계집아이를 본 군자가 계시면 통기하여 주시기를 바라노라. 보상은 한화 20원이며 에누리 없이 드릴 것이라. 한성 대안문 앞 안창호 알림.” 말 잘하고 얼굴이 희며 눈언저리에 검은 사마귀가 하나 있는 이 ‘계집아이’는 끝내 도주에 성공했을까? 아니면 잡히고 말았을까? 어떤 삶을 살다 갔을까? 궁금하지만 기록이 없다. 1909년 5월 16일 자 <대한매일신보>에는 ‘이제 그만 갈라섭시다’라는 개인 광고가 실렸다. 갈무리하여 옮긴다. “본인은 최환석 씨의 손녀인데 열세 살에 김춘식 씨의 아들과 혼인하여 지금 4년이 되었는데, 시어머니가 누명을 씌워 모함하고자 하는 고로 견딜 수가 없어 본가로
[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김영조 선생이 펴낸 《한국문화 이야기》는 봄 가뭄에 내리는 단비와 같은 책이다. 우리의 뿌리인 전통문화가 먼 나라 이문화처럼 생소하고 어렵게만 느껴지는 데에는 우리 문화에 대한 글과 책이 너무 어렵다는 점도 크게 작용하지 않나 생각된다. 이 책의 지은이는 그 점에서 이정표를 세웠다. 쉽고 산뜻하여 잘 읽힌다. 자칫하면 고리타분하게 느껴질 수 있는 내용을 이렇게 쓸 수도 있구나 하고 감탄한다. 게다가 장황하지 않고 군더더기가 없다. 지은이는 특히 우리 글 우리 말을 되살려 쓰는 데 공을 그윽이 들였다. 외래어 오남용으로 우리 글 우리말이 누더기가 되어버린 우울한 시대를 이 책은 작고 맑은 소리로 일깨운다. 또한 일본에서 들어온 한자말을 우리말로 바꿔쓰자는 제안도 신선하다. 이를테면 ‘문학’ 대신 ‘말꽃’을 쓰자고 한다. “서양 사람들이 리터러처(literature)라고 하는 것을 일본 사람들이 ‘문학’이라 뒤쳐(번역)쓰고 있는 것을 우리가 그대로 가져와서 쓰고 있습니다. 문학은 글월 ‘문(文)’ 자 뒤에 배울 학(學)’ 자를 붙인 말인데 예술을 뜻하는 말에 왜 배울 ‘학(學)’ 자를 붙였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말꽃’은 새로 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