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은 9월 27일(금) 낮 1시 30분부터 국립국악원 예인마루 세미나실에서 <국악정책세미나: 창작음악의 오늘과 내일>을 연다.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은 전통음악의 전승을 통한 창작 국악의 개발과 현 시대의 음악적 요구를 반영한 공연을 위해 2004년 창단되었다. 이번 세미나는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창단 20돌을 맞아 창작악단의 역할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자리다. 또한 국악관현악단의 창작 현황과 의미, 나아가 창작음악의 역사와 현재, 미래를 조망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모두 3부로 구성되는 세미나 1부는 ‘국립국악원의 창작음악, 과거에서 미래로’라는 주제발표로 구성된다. 국립국악원 김명석 국악연구실장의 ‘국립국악원 창작음악의 역사와 의미’, 윤중강 평론가의‘공연 기획을 통해 보는 창작음악’,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송현석 기획실장의 ‘창작악단 창단 20년 운영을 통해서 보는 성과와 전망’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2부에서는‘국악관현악단을 중심으로 한 창작의 주체, 매개, 활용 양상’을 고찰한다. KBS 국악관현악단 박상후 지휘자의 ‘지휘자로 보는 국악창작’에 이어 한양대학교 임혜정 교수는 ‘매체로 보는 국악창작’, 국민대학교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행 김명석) 창작악단(예술감독 권성택)은 올해 정기공연으로 전통의 선율과 몸짓이 국악관현악으로 재창조되는 전통의 재발견 시리즈, 다섯 번째 무대를 오는 26일(목)과 27일(금)에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연다. 2021년에 시작한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전통의 재발견’ 시리즈는 현재 전승되고 있는 대표적인 악곡을 바탕으로 새롭게 작곡한 작품을 선보이는 무대로 지난 3년 동안 열일곱 작품을 선보인 바 있다. 이번 무대에서는 보허자, 처용무, 시나위, 경기소리로 창작된 협주곡 4작품을 초연한다. 이번 공연을 위해 국악계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양승환, 장태평, 임준희, 김성국, 4명의 작곡가에게 작품을 위촉했다. 창작악단의 국악관현악에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이 협연하는, 국립국악원 4개 악단이 모두 한 무대에서 서는 점이 특별하다. 여기에 경기소리 이춘희 명창과 피리 최경만 명인의 협연 무대도 더해진다. 양승환 작곡의 ‘허공을 걷는 자’에는 정악단 박진희, 이동영 정가 단원이, 장태평 작곡의 ‘처용’과 김성국 작곡의 ‘섞임’에는 국립국악원 무용단 단원 7명과 민속악단 기악 단원 7명이 협연한다. 이러한 규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은 오는 9월 24일(화)부터 26일(목)까지 사흘 동안 풍류사랑방에서 <일이관지(一以貫之)> ‘이색악기전(異色樂器展)’ 무대를 선보인다. <일이관지(一以貫之)>는 예술로 이치를 꿰뚫은 우리 시대 예인들의 예술세계를 보여주는 연속 기획 공연으로 이번 9월 무대를 시작으로 하반기(9, 10, 11월) 공연을 이어간다. 이번 무대는 ‘이색악기전(異色樂器展)’이라는 제목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양금, 퉁소, 생황, 비파, 철현금, 단소를 주인공으로 한 이 시대 연주자를 조명한다. 이 악기들은 전통 악기의 분류에는 속해있어도 우리가 익히 아는 거문고, 가야금, 해금, 피리, 대금, 아쟁과 같이 상대적으로 독주에 널리 사용되는 악기는 아니지만 현재 국악계에서 그 영역을 꾸준히 넓히는 악기로 꼽힌다. 이번 공연에서는 이 악기들이 연주하는 전통 작품과 전통을 기반으로 한 창작 작품을 동시에 선보이며 여섯 악기의 음색과 주법 등 악기 고유의 특징이 돋보일 수 있는 ‘주연 악기’로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무대로 꾸며진다. 9월 24일(화) 첫 무대는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전명선 부수석과 민속악단 김충환 지도단원이 선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김명석)과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소장 권점수)는 오는 9월 25일(수)부터 28일(토)까지 저년 7시에 덕수궁 정관헌에서 기획공연 ’덕수궁 야연(夜宴)‘을 선보인다. ‘덕수궁 야연(夜宴)’은 태황제 고종 앞에서 펼쳤던 우리의 선율을 주제로 한 낭만과 감동이 있는 무대를 관객들에게 선사할 예정이다. 이번 공연은 고종이 즐겨 듣던 경기잡가 ‘적벽가’, 서도민요 ‘몽금포타령’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악ㆍ가ㆍ무를 포함한 정악과 민속악의 다양한 작품으로 멋과 흥을 더한 품격 있는 무대를 선보인다. 공연의 첫 무대는 국립국악원 정악단이 ‘천년만세’와 ‘수룡음’을 연주한다. ‘천년만세’는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수룡음’은 물에서 노니는 용의 노래를 뜻한다. 이어서 국립국악원 무용단이 버드나무 가지에서 노래하는 꾀꼬리의 자태를 표현한 궁중정재 ‘춘앵전’(9월 25~26일)과 거문고산조와 어우러져 정중동(靜中動)의 멋을 느낄 수 있는 ‘산조춤’(9월 27~28일)을 선보인다. 또한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이 적벽대전에서 패한 조조가 관우에게 목숨을 비는 장면을 노래하는 경기잡가 ‘적벽가’와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김명석)이 주최하는 제18회 온나라 전통춤 경연대회 본선 경연 및 시상식이 9월 10일(화)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열렸다. 영예의 최우수상인 대통령상은 승무를 춘 노하늘(26살,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과정) 씨가, 금상인 국무총리상은 태평무를 춘 김민정(31살, 한국예술종합학교 졸업) 씨가 받았다. 최우수상 수상자인 노하늘 씨는 “예상 못 한 수상에 실감이 나지 않는다”라며 “온나라 전통춤 경연대회 최우수상의 자리에 설 수 있게 해준 스승님과 부모님, 친구들에게 감사하다”라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김명석 국립국악원장 직무대리는 “전통춤 경연대회는 궁중춤을 포함해 우리 전통춤의 보존과 함께 인재를 배출해 온 등용문으로 자리 잡아 왔다”라고 말하며, “올해 7월 「국악진흥법」시행과 내년 첫 ‘국악의 날’을 앞두고, 많은 인재가 열의를 갖고 이번 경연대회에 참가해 주셔서 감사하다”라고 말했다. 한편, 온나라 전통춤 경연대회는 전통춤 인재 발굴을 위해 1981년 국악경연대회 ‘무용부문’으로 시작해 2006년 독립했으며, 경연과제로 민속춤과 함께 유일하게 궁중춤을 경연하고 있다. 올해 경연대회에는 모두 40명이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김명석)은 각 지역의 공연장으로 찾아가 국립국악원 및 지역 3개 분원(민속, 남도, 부산)의 우수 공연을 선보이는 2025년도 ‘국악을 국민 속으로’ 사업의 신청 접수를 오는 9월 30일(월)부터 10월 8일(화)까지 진행한다. 국립국악원의 ‘국악을 국민 속으로’ 사업은 2009년부터 지역 간 균형적인 문화 발전과 문화 격차 해소를 위해 국립국악원 연주단이 전국의 문화 소외 지역 등을 직접 찾아가 공연을 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20개 지역에서 국립국악원의 6개 대표 공연 작품이 전국 20개 지역에서 큰 호평을 받은 바 있다. 국립국악원은 내년에도 고품질 공연의 지속적인 지역 확산을 위해 올해 선보였던 우수 작품 등을 포함해 2025년도 ‘국악을 국민 속으로’의 소개 작품을 확대한다. 국립국악원은 정악단의 ‘필운대 풍류’, 무용단의 ‘상선약수’, 민속악단의 ‘경셩유행가-판을 나온 소리’, ‘연희[人]-판’, 창작악단의 ‘국악관현악-축제’, '국악실내악-환상기행‘ 등을 마련하고 각 예술단체들이 모두 출연해 한 무대를 꾸미는 ’세계가 인정한 우리 음악과 춤‘을 비롯해 지역 3개 국악원의 대표작품 까지도 포함해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오는 14일 아침 10시부터 서울 남산골한옥마을에서 2024 크라운해태와 함께하는 서울시민을 위한 한가위 한음회가 열린다. 한가위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명절로, 가족과 이웃이 함께 모여 감사와 기쁨을 나누는 소중한 시간이다. 한가위의 풍요로운 정서를 가무악(歌舞樂) 공연과 다양한 체험마당 활동을 통해 세대 사이 소통과 화합을 도모하고, 서울시민들이 전통문화의 깊이를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됐다. 서울 남산골한옥마을 곳곳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한국음악 공연 (▲개막식 길놀이 ▲이천살과 함께하는 우리 노래 한마당 ▲(사)국가무형유산 봉산탈춤 보존회 ▲연희마당 (사) 강릉농악 보존회 ▲한가위 청년 한음회 (서울예술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동락연희단) ▲한가위 한음 명인전 ▲대동놀이의 프로그램)이 예정되어 있으며 이어 한가위의 풍성함을 느낄 수 있는 (▲규방공예 ▲한가위 민속놀이 체험 ▲버나 사물놀이 체험 ▲봉산탈춤 체험 ▲미니 가야금 만들기 ▲ 무료 손글씨(캘리그라피) 작품 써주기 같은 여러 체험마당이 준비되어 있어 관객들에게 다채로운 즐거움을 선사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행사는 서울 남산골한옥마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직무대리 김명석)이 주최하는 ‘2024 제13회 국악동요 부르기 한마당’이 8월 31일(토) 저녁 4시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열렸다. ‘제13회 국악동요 부르기 한마당’은 국립국악원이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하며 국악방송사와 공동으로 제작하는 국악동요 경연대회로, 국립국악원이 지난 30여 년간 지속해서 발굴해 온 400여 곡의 창작 국악동요를 널리 보급하려는 취지의 행사다. 올해는 7월 모두 80개 팀(176명)의 참가자 접수를 시작으로 영상 심사와 실연 심사를 거친 최종 12개 팀(단체 7팀, 개인 5팀)이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의 관현악 연주에 맞추어 본선에서 실력을 겨뤘다. 본선 참가팀들은 대상(1팀), 최우수상(1팀), 우수상(1팀), 장려상(8팀), 인기상(1팀)까지 모두 수상의 영예를 누렸다. 이번 대회는 조우종 아나운서와 국악을 세계에 알리고 있는 야심찬 소리꾼 장서윤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영화 ‘광대: 소리꾼’에 출연한 판소리 이봉근, 소리꽃 가객단의 축하공연과 어린이 청소년 국악단 ‘풍물천지 아리솔’, 유소년 전통무용예술단 ‘화동정재 예술단’의 특별공연이 더해지며 풍성한 무대를 만들었다. 김명석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주아랍에미리트 한국문화원(원장 이용희)은 8월 30일 금요일, 아부다비 한국문화원에서 가야금 연주자이자 인기 콘텐츠 크리에이터인 ‘야금야금 – 오현지’와 한국 전통 무용가 ‘조다희’를 초청하여 <K-Lover’s Night> 행사를 성황리에 열었다. 이번 특별행사는 주재국 K-컬처 전파에 앞장서고 있는 한류동아리 회원 30여 명을 초대하여, 한국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가자들은 한국의 전통 가야금 연주와 살풀이, 소고춤 등 다채로운 공연을 즐겼다. 특히, 현지 관객을 위해 특별히 준비된 UAE 국가 ‘Ishy Biladi’와 한국의 전통민요 ‘아리랑’이 가야금으로 연주되며, 두 나라의 문화가 하나로 어우러지는 뜻깊은 무대가 펼쳐졌다. 이 공연은 참가자들의 마음을 하나로 묶는 감동의 순간이었다. 공연 뒤 참가자들은 함께 한식을 즐기고, 공연자들과 사진을 찍으며, 한국 전통공연을 통해 더욱 가까워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국문화원 관계자는 “가야금을 처음 접하는 현지인들이 한국 가야금 연주를 듣고 한국문화에 대한 친밀감을 더욱 느끼게 되었다”라며, “앞으로도 한-UAE 양국이 다양한 문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이 다가오는 한가위 명절을 맞이해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특별한 한가위 공연 ‘휘영청 둥근 달’을 9월 17일(화) 저녁 7시 30분, 국립국악원 연희마당에서 선보인다. 이번 ‘휘영청 둥근 달’ 공연은 한국의 궁중음악과 민속음악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무대로 우리의 대표 명절 한가위에 담긴 의미를 전달하고 다채로운 국악의 매력을 선사할 예정이다. 국립국악원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그리고 재담꾼(정준태 외 2명)이 출연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고 소통하는 풍성한 한가위의 밤을 장식한다. 위엄 있고 웅장한 대취타의 울림과 만복을 기원하는 길놀이, 신명 나는 민요연곡과 강강술래, 판굿으로 한가위 밤 가득 밝히는 ‘휘영청 둥근 달’ 공연의 첫 무대는 국립국악원 정악단이 궁중의 행진음악인 ‘대취타’로 웅장하게 문을 열고, 뒤이어 민속악단이 길놀이로 관객들의 만복을 기원하며 본격적인 공연의 시작을 알린다. 이어서 풍년을 기뻐하는 뜻을 담은 궁중음악 ‘경풍년’이 한가위 명절의 기쁨과 풍성함을 관객들과 함께 나눌 예정이다. 경풍년에 이어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은 한국의 정서를 담은 경ㆍ서도 민요 2곡과 남도민요 2곡을 노래해 흥겨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