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2 (일)

  • 맑음동두천 -7.1℃
  • 맑음강릉 -1.0℃
  • 맑음서울 -4.7℃
  • 맑음대전 -2.9℃
  • 구름조금대구 -1.1℃
  • 맑음울산 -0.8℃
  • 흐림광주 0.9℃
  • 맑음부산 0.2℃
  • 흐림고창 0.9℃
  • 제주 5.7℃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4.0℃
  • 맑음금산 -2.5℃
  • 흐림강진군 2.3℃
  • 맑음경주시 -0.8℃
  • 맑음거제 1.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연변조선족문학창

전체기사 보기


바라만 보아도 눈물이 핑 도는 나의 갈비뼈

사랑 – 연변 20 [석화대표시 감상과 해설 52]

[우리문화신문=석화 시인] 시선집 《연변》 28쪽 < 해 설 > 석화의 "사랑 - 연변 20"은 최근 년간 조선족시단에 나타난 가장 아름답고 감동적이고 그 예술적 기교도 아주 성숙된 경지에 오른 애정시의 하나이다. 이 시의 예술적 표현에서의 가장 큰 특징은 용전과 패러디의 묘미라고 해야 할 것이다. 시 창작에서의 적절한 용전(用典, 전고의 인용)은 마치도 금반지에 다이아몬드나 귀중한 보석을 박아 넣음으로써 반지가 더욱 광채를 띠게 하고 값이 가게 하는 데에 비유할 수 있다. 남자의 갈빗대를 뽑아 여자를 만들었다는 것은 기독교 《구약성서ㆍ창세기》에 나온다. 석화시인은 이 전고(전례-典例와 고사-故事)를 억지로 가져다가 인위적으로 박아 넣은 것 같은 감을 주지 않게 아주 암시적으로 처리하였다. 하기에 이 시를 다 읽고 나서야 사람들은 이 시가 사실은 《구약성서ㆍ창세기》 인간창조의 이야기를 빌어다가 부부의 사랑을 암시적으로 표현했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된다. 전고를 인용해도 아주 자연스럽게, 그리고 아무런 작위의 흔적이 없이 처리한 기교가 대단히 돋보인다. 이 시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암시로 일관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시에서의 서정적

사과를 먹자 후회는 없다

석화대표시 감상과 해설 51

[우리문화신문=석화 시인] < 해 설 > 순결하고 진실하고 달콤하고 영원한 사랑을 위해서는 “하나의 동산”을 선뜻이 버려야 하며 가려진 모든 것을 벗어야만 한다. 시인에게 있어서 인간의 과다한 욕망은 생명의 의의와는 전혀 무관한 것으로서 반드시 “버림”의 대상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런 지성적인 추구로부터 시인은 그에 가벼운 풍자와 냉소를 던져주기도 한다. “사과를 먹자”, 이 시에서의 사과는 물론 사랑하는 사람들에 대한 상징적 이미지로 볼 수도 있겠지만 무의식 이미지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의식된 사랑세계는 벼슬과 금전과 문호 등을 사랑 조건으로 하는 “얻음”을 위한 사랑 세계와는 성격을 달리한다하겠다. “버림”의 시학은 비단 인격형성에서 뿐만 아니라 사랑 실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시인은 참사랑의 실현을 위해서는 모든 허울과 이해타산을 버려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벗어버리는”데 사랑이 있고 아름다움이 있고 진실이 있고 영원히 있다고 보았다. 시 “사과를 먹자”와 “그 모습 다 벗고 포도들은 포도주가 된다”, “잊혀지지 않는 이야기처럼”, “코스모스여-누나”, 등과 《사랑학개론》 계열 시편들은 허울 벗은 무공리성만이 참사랑

빗장을 지른 듯 닫혀 있는 아버지 입

[석화대표시 감상과 해설 50]

[우리문화신문=석화 시인] < 해 설 > 한국 독자들에게 중국 조선족 문학이 다른 지역 한국계 이주자 문학보다 낯설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간단히 말해 공용어 이외의 각 민족의 독자적인 언어, 문화를 허용해온 중국 특유의 소수민족 정책 때문이다. 연변조선족자치주에는 민족언어와 공동체의 고유문화를 가르치는 교육제도, 민족의 역사문화를 연구하는 연구기관, 민족어를 사용하는 매체(방송, 신문)와 독자적인 문단이 형성되어 있다. 앞에서 인용한 석화 시에는 중국의 동북3성 연변지역에 처음으로 이주, 정착했던 시인 자신의 조상 이야기가 들어 있으며 가족을 주제로 한 시에도 그 가족이 살아온 이야기가 등장한다. “수십 년을 하루같이 / 조밭 김 매시 듯 가꿔오신 살림살이에 / 즐겁던 일 노엽던 일 아프던 일이 / 두벌김 가라지만큼이나 많았겠지만 / 말로 해서 조 이삭 영근다더냐는 듯이 / 언제나 몸을 먼저 움직이던 아버지” 그의 시작품은 이렇게 조상들이 살아온 땅과 자연에 뿌리박고 있으며 중국 조선족 사회가 대대로 이어온 역사, 풍속, 문화를 창작의 원천으로 대하면서 이를 작품 속에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최근 해외 이주자 문학, 동포 문학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