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석화 시인] 낱말 풀이 * 경리, 로반: 조그만 기업체 사장을 낮춰서 부르는 말 < 해설 > 석화의 시는 “능청스러움”에서 알 수 있다시피 감정과잉보다는 감정절제가 잘 되어 있다. 어쩌면 지극히 객관적인 담시 속에 감정적인 가치판단은 녹아있다. 시 “륙촌형”을 보자. 여기서 보다시피 우연히 “륙촌형”을 만난 반가움이나 그의 비극적 삶에 감정파문이 없을 수 없겠으나 시적 자아는 조용하고 담담하기만 하다. 감정적인 가치판단은 독자들의 몫이다. 그래서 석화의 시는 음미할 만하다. 한마디로 말하여 석화 시는 내용과 형식에 걸쳐 풍부하고 다채로운 세계를 펼쳐 보이고 있다. 그의 시는 생활을 민감하게 포용하고 시대와 더불어 호흡을 같이 하며 조선족의 실존적 삶에 예각을 맞추어 예술적 승화를 가져왔다. 특히 그는 개혁개방 초기 조선족시단의 현대시에로의 변신 및 포스트모던시대 조선족의 정체성을 비롯한 삶의 실존에 대한 조명에 있어서 독보적인 존재가 되겠다. 이로부터 적어도 그의 시는 중국조선족문학사의 한 페이지를 당당하게 장식하게 됨은 더 말할 것도 없다.(우상렬 “석화의 시세계”에서)
[우리문화신문=석화 시인] --- 《해란강문학성》, 2016년 10월 26일 < 해 설 > 석화 시는 3행의 짧은 시이나마 이미지화 및 의경창조, 그리고 상징화가 잘 되었다. “한국삼행시 -1”에서 “감 감 노란 감”을 “등잔 두 점”으로의 이미지화, “천 번 흔들려/피어난다 말거라/그럼 뽑힌다”“한국삼행시 -5”의 꽃을 은유로 끌어들여 창조한 전반 시의 상징적 카테고리도 참신하고 감칠맛이 난다. 실로 “점철성금(点鐵成金)”의 신기함이 있다. 한국은 너무 익숙하고 친절한 나라라 어쩌면 독특한 시적 영감을 주지 못한다. 그래서 시인은 인생본연의 실존을 노래하는 데로 나아간다. 그리고 우리 삶에 “한국삼행시 –5” 모난 돌이 정을 맞지 않던가. 그리고 "한국삼행시—6" 삶의 바람직한 정설과 다른 한 진실한 역설에 가슴 아프겠지. 그리고 “한국삼행시 –8” 꼬리 없는 사람이 된 인간, 꼬리 있는 동물과 어울리지 못하는 허전함의 역설로 일종 생태평형을 갈구하지 않던가. “한국삼행시 –9” 세월의 덧없음과 인생무상, 이 세모에 더 절실히 느껴지겠지. 결국 “걸어 가거라 / 이 세상 모든 길은 / 집에 가는 길” “한국삼행시 -1”을 보자.
[우리문화신문=석화 시인] 시선집 《연변》, 45쪽 * 오얏 : 자두 < 해 설 > 석화시인의 이 시는 희망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감칠맛이 나는 서정시다. 시인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예언하며 회심의 미소를 짓는다. 이 작품은 기승전결의 내적 구조를 가진 한 폭의 수채화 같은 시다. 제1연은 기(起)에 해당하는데 여기서는 칠월 장마뒤끝의 오얏이 애기엄마 젖꼭지만큼 하다는 기발한 비유로 독자들을 사로잡는다. 비유는 독창성을 전제로 하고 원칙적으로 한 번 주어지는데 그것은 시인의 특허다. 분홍바탕에 자주빛이 감도는 오얏을 애기엄마 젖꼭지에 비유한 것은 아마 석화시인이 처음이 아닌가 한다. 이게 바로 모양과 색깔의 동질성에 바탕을 둔 “이질동구(異質同構)”, 즉 이질적인 사물들 간의 비유가 성립될 수 있는 까닭이요, 형식주의 자들이 말하는 “낯설게 하기”다. 제2연에서는 기(起)를 받아 물고 꽃잎을 나비에 비유했고 오얏이 어제 오늘 다르게 굵어진다고 했다. 승(承)에 해당되는 대목이다. 쉽게 말하자면 분위기를 조성하고 능청을 떨었다. 제3연과 제4연의 첫 구절에서는 “노랗게 단물이 들었다”는 시각적 이미지와 “입술을 톡 쏘는 싱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