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서는 24절기의 열한 번째로 하지와 대서 사이에 들며, 음력 6월, 양력 7월 7일~8일께가 된다. 해가 황경 105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옛 사람들은 소서 때 초후(初侯)에는 더운 바람이 불어오고, 중후(中侯)에는 귀뚜라미가 벽에 기어다니며, 말후(末侯)에는 매가 비로소 사나워진다고 하였다. 이때에는 장마전선이 우리나라에 오래 자리 잡아 습도가 높아지고, 비가 많이 온다. 하지 무렵에 모내기를 끝내고, 소서 때는 논매기를 했다. 팥, 콩, 조들도 하지 무렵에 심고, 소서 무렵에 김을 매준다. 또, 이때 퇴비 장만과 논두렁의 풀도 깎아준다.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철이므로 채소나 과일들이 풍성해지고 보리와 밀도 먹게 된다. 특히 음력 5월 단오를 전후하여 시절음식으로 즐기는 밀가루 음식은 이때 제일 맛이 나서 국수나 수제비를 즐겨 해먹는다. 채소류로는 호박이며, 생선류로는 민어가 제철이다. 민어포는 좋은 반찬이 된다. 또 민어는 회를 떠서 먹기도 하고, 매운탕도 끓여 먹는데 애호박을 송송 썰어 넣고 고추장 풀고 수제비 띄워 먹는 맛은 환상이다.-------------------------------------------------------------
하지는 24절기의 열 번째로 망종과 소서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 5월, 양력으로 6월 21일께가 된다. 해는 황도상에서 가장 북쪽인 하지점(夏至點)에 위치하게 되는데 북반구에서 밤이 가장 짧아졌지만, 낮시간은 14시간 35분으로 1년 중 가장 길다. 정오의 해 높이도 가장 높고, 해로부터 가장 많은 열을 받는다. 그리고 이 열이 쌓여서 하지 이후에는 몹시 더워진다. 북극 지방에서는 온종일 해가 지지 않으며, 남극에서는 수평선 위에 해가 나타나지 않는다. 옛 사람들은 하지 기간 중 초후(初候)에는 사슴의 뿔이 떨어지고, 중후(中候)에는 매미가 울기 시작하며, 말후(末侯)에는 여러해살이풀인 끼무릇의 덩이뿌리인 반하(半夏)의 알이 생긴다고 했다. 남부지방에서는 단오를 전후하여 시작된 모심기가 하지 이전이면 모두 끝나며, 장마가 시작되는 때이기도 하다. 강원도 지역에서는 햇감자를 캐어 쪄먹거나 갈아서 감자전을 부쳐 먹는다. 하지가 되면 모내기도 끝나가지만 가뭄이 들면 기우제(祈雨祭)를 지낸다. 예전에는 기우제를 어떻게 지냈으며, 다른 나라는 어떨까? 그리스 ·로마 신화에 보면 주신(主神)인 제우스가 비를 내린다고 믿었기 때문에 제우스의 신목(神木)인 떡갈나무 가지에
망종은 24절기의 아홉 번째로 음력 4, 5월, 양력 6월 6~7일 무렵이 된다. 소만과 하지 사이에 들며 해의 황경(黃經)이 75도일 때이다. 벼, 보리 등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芒) 곡식의 종자(種)를 뿌려야 할 적당한 때라는 뜻이다. 옛 사람들은 역시 망종 때 초후(初候)에는 사마귀가 생기고, 중후(中候)에는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말후(末候)에는 지빠귀가 울음을 멈춘다 하였다. 농사력에서는 보리베기와 모내기를 하는 시기이다. 그래서 속담에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오."라는 속담이 있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속담도 있는데 망종을 넘기면 보릿대가 꺾어지거나 부러지고 바람에도 넘어갈 염려가 있으며, 망종까지는 모두 베어야만 논에 벼를 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남쪽에서는 '발등에 오줌 싼다'고 할 만큼 한 해 가운데 가장 바쁜 때였다. 전남지방에서는 망종날을 '보리 그스름'이라 하는데 아직 남아있는 풋보리를 베어다 그스름을 해먹으면 이듬해 보리농사가 잘되어 곡물이 잘 여물며 그 해 보리밥도 달게 먹을 수 있다고 믿었다. 또 이날 보리를 밤이슬에 맞혔다가 그 다음 날 먹는 곳도 있었다. 망종이 빠른 날짜에 오는지 늦
만물이 점차 자라서 가득 차는 소만(小滿) 소만은 24절기의 여덟 번째 절기로 입하와 망종 사이에 들며, 음력 4월, 양력 5월 21일께가 된다. 해가 황경 60도의 위치에 올 때인데 만물이 점차 자라서 가득 찬다(滿)는 뜻이 있다. 이때부터 여름 기분이 나기 시작하는데 가을보리를 거두고, 이른 모내기를 하며, 밭농사의 김매기 등을 하게 된다. 옛날에는 소만때 중 초후(初候)에는 씀바귀가 뻗어 오르고, 중후(中候)에는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말후(末候)에는 보리가 익는다고 했다. 씀바귀는 꽃상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뿌리나 줄기, 잎은 이 시기에 식용으로 쓰였다. 또 이때 즐겨 시식하는 냉잇국은 시절음식으로 이름이 높다. 초후를 전후하여 죽순(竹筍)을 따다 고추장이나 양념에 살짝 묻혀 먹는다. 보리는 말후를 중심으로 익어 밀과 더불어 여름철 주식을 대표한다. 온 천지가 푸르름으로 뒤덮였지만 대나무만큼은 푸른빛을 잃고 누렇게 변한다. 이는 새롭게 탄생하는 죽순에 자기의 영양분을 공급해주었기 때문이다. 마치 어미가 자기 몸을 돌보지 않고 어린 자식에게 정성을 다하여 키우는 것과 같다 하겠다. 봄의 누래진 대나무를 가리켜 대나무 가을 곧 '죽추(竹秋)라 한다.
입하는 24절기 일곱 번째로 음력은 4월에 들고, 양력은 5월 5~6일경이며, 곡우와 소만 사이에 있다. 해의 황경(黃經)이 45도 때인데 입하는 '여름(夏)에 든다(入)'는 뜻인데 초여름 날씨를 보인다. 절기로 보면 여름은 입하(立夏)에서부터 시작하여 입추(立秋) 전까지이다. 옛사람들은 입하 때 중 초후(初候)에는 청개구리가 울고, 중후(中候)에는 지렁이가 땅에서 나오며, 말후(末候)에는 쥐참외(王瓜)가 나온다고 하였다. 이맘때면 곡우 때 마련한 못자리도 자리를 잡아 농사일이 좀 더 바빠진다. 푸르름이 온통 산과 강을 뒤덮어 여름이 다가온 것을 알리는 절기이다. 서울 송파지역에서는 세시풍습의 하나로 쑥무리를 절식(節食)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녹차는 곡우 전에 딴 우전차, 세작을 최상품으로 치지만, 차의 성인 초의(艸衣)선사는 '우리의 차(茶)는 곡우 전후보다는 입하(立夏) 전후가 가장 좋다'고 하였다. 우전차는 신선하고 향이 맑기는 하지만 우리에겐 완숙하면서 깊은 여름차가 더 잘 맞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 전통차는 덖음차로서 된장찌개와 숭늉의 깊고, 구수하며, 담백한 맛을 닮은 차를 만드는데 여름차가 더욱 가깝다는 뜻일 것이다. 우전차를 우대하는
24절기의 여섯째. 봄의 마지막 절기로, 음력으로는 삼월에 들었으며, 양력으로 4월 20, 21일, 해의 황도(黃道)가 30도일 때이다. 청명과 입하(立夏) 사이에 들며 봄비(雨)가 내려 백곡(穀)을 기름지게 한다 하여 붙여진 말이다. 그래서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는 말이 있다. 옛날에는 곡우 무렵에 못자리할 준비로 볍씨를 담그는데 볍씨를 담은 가마니는 솔가지로 덮어둔다. 밖에 나가 부정한 일을 당했거나 부정한 것을 본 사람은 잡 앞에 와서 불을 놓아 악귀를 몰아낸 다음에 집안에 들어오고, 들어와서도 볍씨를 볼 수 없게 하였다. 만일 부정한 사람이 볍씨를 보게 되면 싹이 트지 않고 농사를 망치게 된다는 믿음이 있었다. 곡우 무렵엔 나무에 물이 많이 오른다. 곡우 물은 주로 산 다래, 자작나무, 박달나무 등에 상처 내서 흘러내리는 수액이다. 몸에 좋다고 해서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 등에서는 깊은 산 속으로 곡우물을 마시러 가는 풍속이 있다. 경칩의 고로쇠 물은 여자 물이라 해서 남자에게 좋고, 곡우물은 남자 물이어서 여자들에게 더 좋다고 한다. 자작나무 수액인 거자수는 특히 지리산 밑 구례 등지에서 많이 나며 그곳에서는 곡우 때 약수제까지 지낸
청명(淸明)은 24절기의 다섯째이고, 음력 3월 절기이며, 양력 4월 5, 6일경이 되는데 춘분과 곡우 사이에 있다. 또 해의 황도(黃道)가 15도에 있을 때이며 한식의 하루 전날이거나 같은 날일 수도 있다.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라는 속담이 생긴 것은 청명과 한식(寒食)은 겹치거나 하루 차이이기 때문이다.옛 사람은 청명 보름 동안 중 초후는 오동나무의 꽃이 피기 시작하고, 중후는 들쥐 대신 종달새가 나타나며, 말후는 무지개가 처음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이날 省墓(성묘)를 간다. 옛날에는 한 해에 네 번, 그러니까 봄에는 淸明(청명), 여름에는 中元(중원(음 7월 15일), 가을에는 한가위, 겨울에는 동지에 성묘를 했다. 봄 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며, 논 밭둑을 손질하는 가래질을 품앗이로 한다. ≪동국세시기≫의 기록에 의하면 청명(淸明)날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친다. 임금은 이 불을 정승, 판서, 문무백관 3백60 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준다. 이를 사화(賜火)라 했다. 수령들은 한식(寒食)날에 다시 이 불을 백성에게 나누어주는데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한식(寒
춘분은 봄절기의 가운데로 해의 중심이 춘분점 위에 왔을 때이며, 음력 2월, 양력 3월 21일 전후이다. 해는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추고 지구 위에서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 이 날은 밤낮의 길이가 같지만, 실제로는 태양이 진 후에도 얼마간은 빛이 남아 있기 때문에 낮이 좀 더 길게 느껴진다. 경칩과 청명의 보름 중간이 바로 춘분이다. 춘분점은 해가 남쪽에서 북쪽을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이다. 춘분을 즈음하여 농가에서는 농사준비에 바쁘다. 특히, 농사의 시작인 논이나 밭을 첫번째 가는 초경(初耕)을 엄숙하게 행하여야만 한 해 동안 걱정 없이 풍족하게 지낼 수 있다고 믿는다. 또 이때를 전후하여 철 이른 화초는 파종을 한다. 그리고 아울러 화단의 흙을 일구어 며칠 남지 않은 寒食(한식)을 위하여 씨 뿌릴 준비를 한다. 또 음력 2월 중에는 바람이 많이 분다. “2월 바람에 김치독 깨진다”,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죽는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2월 바람은 동짓달 바람처럼 매섭고 차다. 이는 바람의 신인 풍신(風神)이 샘이 나서 꽃을 피우지 못하게 바람을 불게 하기 때문이라 한다. 그래서 ‘꽃샘’이라고 한다. 한편, 이때에는 고기잡이를 나가지 않고 먼 길 가는
경칩은 음력으로는 2월 절기이며, 24절기의 셋째이다. 양력 3월 6일경으로 해의 황경이 345도이고, 우수(雨水)와 춘분 사이에 있다. 봄이 되어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난다고 하여 계칩(啓蟄)이라고도 하는데, 풀과 나무에 물이 오르고, 겨울잠을 자던 동물, 벌레들도 잠에서 깨어나 꿈틀거리기 시작한다는 뜻에서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경칩에는 개구리 알을 먹으면 허리 아픈 데 좋고 몸에 좋다고 해서 이날 개구리 알 찾기가 혈안이 되기도 한다. 지방에 따라선 도룡뇽 알을 건져 먹기도 한다. 단풍나무나 고로쇠나무에서 나오는 즙을 마시면 위병이나 성병에 효과가 있다고 해서 약으로 먹는 지방도 있다.흙일(토역:土役)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해서 이날 담벽을 바르거나 담장을 쌓는다. 경칩 때 벽을 바르면 빈대가 없어진다고 해서 일부러 흙벽을 바르는 지방도 있다고 한다. 빈대가 심한 집에서는 물에 재를 타서 그릇에 담아 방 네 귀퉁이에 놓아두면 빈대가 없어진다는 속설이 전한다. 경칩날에 보리 싹의 자람을 보아 그해 농사가 풍년이 들 것인지 점치기도 한다.옛날에는 경칩날 젊은 남녀들이 서로 사랑을 확인하는 징표로써 은행씨앗을 선물로 주고받으며, 은밀히 은행을 나누어 먹는
환한 봄바람이 분다 하늘은 끝내 응고된 기다림을 풀어 급강하하는 꿈으로 환원하다.이 구절은 자작 시 '봄이 흐르는 비'의 일부이다. 어쩌면 기다리고 기다리던 봄은 봄비와 함께 꿈을 가지고 오는지도 모른다. 그 봄비가 겨우내 얼었던 얼음장을 녹이고, 새봄을 단장하는 예술가인지도 모른다. 그래서인지 봄비를 기다려 본다. 봄가뭄이 우수엔 봄비가 오셨으면 좋겠다. 벌써 저 산모퉁이에는 마파람(남풍:南風)이 향긋한 봄내음을 안고 달려오고 있을까? 동네 아이들은 양지쪽에 앉아 햇볕을 쪼이며, 목을 빼고 봄을 기다린다. 봄의 절기인 우수, 경칩의 의미와 그 세시풍속을 알아보자. 우수는 입춘과 경칩 사이에 있는 두 번째의 절기이다. 해가 황경 330°에 올 때이며, 양력 2월 19일이나 20일에 온다. 옛사람은 우수 15일간을 3후(三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다 놓고, 중후(中候)에는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말후(末候)에는 풀과 나무에 싹이 튼다고 하였다. 흔히 양력 3월에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리지만 예로부터 '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고 할 만큼 이맘때 날씨가 많이 풀리고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시기로서 새싹이 난다. 봄에 잎과 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