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에는 신라의 3죽(三竹)이 대나무로 만들어진 세 종류의 악기, 즉 대금(大), 중금(中), 소금(小)이라는 이야기와『삼국사기』에 실려 있는 만파식적(萬波息笛) 이야기를 하였다. 산 위의 있던 대나무 한 그루를 베어다가 적을 만들어 불었는데 가뭄에는 단비가 내리고, 장마는 그치며, 바람이 잘 뿐만이 아니라 전쟁 시에 이를 불면 적병이 물러가고, 전염병이 돌 때에 이를 불면 괴질이 사라져 이를 국보로 삼았다는 이야기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이 대금의 재료는 쌍골죽(雙骨竹)을 제일로 치는데, 그 이유는 살이 두텁고 단단하기 때문에 소리가 맑고 알차며 수명 또한 오래가기 때문이라는 점도 강조하였다. 대금은 몸체에 뚫려 있는 음공을 손가락으로 열고 막고 하면서 가락을 만들어 나가는 옆으로 부는 관악기이다. 이러한 음공을 다른 이름으로는 지공(指孔)이라고도 부르는데, 모두 6공이 있다. 이는 중금이나 소금도 동일하다. 그런데, 대금이 중금이나 소금과 결정적으로 다른 점이 있다면 그것은 취구(吹口), 즉 입김을 넣어 소리를 내는 부분과 첫째 지공 중간에 청공(淸孔)이 하나
지난 시간에는 한문으로 된 7언, 또는 5언으로 된 시에 고저를 넣어 부르는 노래가 곧 시창이라는 점을 이야기하면서 판소리 춘향가 중 이도령이 어사(御使)가 된 후에, 거지 행세를 하면서 변 사또의 잔치석상에서 부르던 7언 절구의 유명한 시(詩)를 읽었다. 이러한 시 한수는 암기해 두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금준(金樽)미주(美酒)는 천인(千人)혈(血)이오, 옥반(玉盤)가효(佳肴)는 만성(萬姓)고(膏)라. 촉루(燭淚)낙시(落時)에 민루(民淚)락(落)이요, 가성(歌聲)고처(高處)에 원성(怨聲)고(高)라. 7언의 한문시를 노래하던 계층은 아무래도 글공부를 좋아하던 지식인 계층이라고 보아야 한다. 그들은 어려운 한문시를 외우고, 쓰고, 읽고, 이해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시에 고저를 붙여 읽는 독서성(讀書聲)을 익혔을 것이고, 여기에서 더 음악적으로 발전된 형태가 시창(율창)이라 하겠다. 벽파 이창배의 한국가창대계에는 경포대(鏡浦臺), 만경대(萬景臺), 촉석루(矗石樓), 만류무민(挽柳武愍), 영풍(詠風), 신추(新秋), 관산융마(關山戎
지난 달 9월 하순, 서울 삼성동 소재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에서는 <송서 율창의 재조명> 이라는 주제하에 전국국악학 학술대회를 가진바 있다. 그런데 때를 맞추어 이 달 하순(10월, 29일-월요일 오후 4시)에는 여류 명창인 박윤정 씨가 송서만을 모아서 발표회를 연다고 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글로 그에게 격려와 함께 축사의 뜻을 전하고 한다. 속풀이 독자들께는 송서와 율창에 관하여 복습하는 차원에서 일독을 권하고자 한다. 박윤정 명창이 또 송서(誦書)를 발표한다고 한다. 송서(誦書)만을 레퍼터리로 하는 다섯 번째의 발표회이다. 어렵다는 이유로, 재미가 없다는 이유로, 또는 인기가 없어 돈벌이가 안 된다는 까닭으로 대부분의 경서도 소리꾼들이 외면하는 송서에 해마다 도전장을 내고 있는 박윤정(본명;박영화)의 무대는 그 어떤 발표회보다도 그의 집념을 알게 하는 값진 땀의 대가라는 점에서 큰 손뼉으로 축하해 주고 싶다. 지날 달 이 자리에서는“송서란 무엇이고, 시창(詩唱)이나 율창(律唱)이란 어떤 형태의 노래인가”, “왜 우리가 이 분야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바르게 지켜가지 않으면 안 되는가”하는 점을 중심으로 전국 국악학 학술대회가 열려 학계 및
시창이 시(詩)를 노래하는 것은 일반 다른 노래와 차이가 없으나 시의 형태가 한문으로 된 시, 그것도 대부분 7언으로 짜인 한문시에 고저를 넣어 부르는 노래라는 점에서 한문과 가깝지 않은 사람들은 고개를 옆으로 젓게 마련이다. 초장, 중장, 종장으로 짜인 3장형식의 정형시나 또는 틀을 벗어난 엇시조, 자유시에 등에 음의 고저와 장단을 얹어 부르는 시조나 가곡과는 달리, 7언이나 5언으로 된 한문시를 노랫말로 삼는다는 점에서 접근이 용이치 않은 것이다. 7언, 혹은 5언의 영향을 받아서일까? 우리가 기억하는 동요나 창가류에서도 7언과 5언으로 짝을 이루고 있는 시형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면, “푸른하늘은하수-하얀쪽배에, 계수나무한나무-토끼한마리,” 등의 노래나 “학교종이땡땡땡,- 어서모이자, 선생님이우리를- 기다리신다.”와 같은 노래들이 7,5조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여하튼 시창은 한글의 노랫말을 부르는 것이 아니라, 한문시를 노랫말로 하여 고저를 살려가며 부르는 노래이다. 그 대표적인 노래가 높은 청으로 속소리를 내어 가며 실같이 고운 목소리로 뽑아내는 서도
국악속풀이 77에서는 송서(誦書)에 관한 이야기와 함께 서울 경기지방에 전해오는 삼설기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송서란 글방에서 읽는 식과는 달리 멋을 넣어서 읽는 것으로 가령, 고문(古文)이나 옛 소설과 같은 글을 읽을 때에 높낮이를 조화롭게 연결하며 구성지게 낭송하는 것을 말한다. “우 근진소지의단은 의신의 평생 소원이”로 시작되는 송서 삼설기(三說記)는 경기민요의 묵계월(본명; 이경옥)명창이 1930년대 중반, 그의 스승 이문원으로부터 배워서 간직해 오던 유명한 소리조인데, 이것이 그의 제자들인 유창이나 박윤정 등을 통해 지금까지 전창되고 있는 점은 참으로 다행한 일이라고 강조하였다. 또한 묵계월이 전한 삼설기는 경기소리에 나타나는 음의 배열이나 창법 등이 유사하다는 점, 그러나 일정한 장단이 없어서 선율선의 단락, 즉 프레이즈(phrase)가 호흡의 단위가 된다는 점도 특징이라고 하였다. 또한 삼설기의 사설내용은 과욕금물, 욕심이 지나치면 오히려 화를 입게 된다는 평범한 진리를 매우 재미있게 묘사한 글이어서 사설의 내용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듣게 된다면 또 하나의 전통적인 음률로 우리에게 다가오는 소리임을 강조하였다. 이번에는 ≪한국가창대계≫에서
지난 시간에 송서와 율창에 관하여 소개를 하였다. 송서(誦書)란 고문(古文)이나 옛 소설과 같은 글을 읽을 때에 높낮이를 조화롭게 연결하며 구성지게 낭송하는 것을 말하고, 시창이란 한시(漢詩)를 긴 가락에 올려 부르는 노래를 말한다고 소개하였다. 한마디로 송서란 글을 읽는 것인데 글방에서 읽는 식과는 달리 멋을 넣어서 읽는 것이고 시창은 글을 읊되 청(淸)을 붙여서 읽는 것을 말한다. 민요계의 거장 이창배 선생의 ≪한국가창대계≫는 송서와 시창을 별개의 장르로 설정하고 송서에는 다음과 같은 6곡을 원문과 함께 해설을 곁들여 소개하고 있다. 1)“어젯밤 부던 바람 금성이 완연하다”로 시작하는 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2)“우 근진소지의단은 의신의 평생 소원이”의 삼설기(三說記), 3)“임술지추 칠월 기망에 소자여객으로”으로 시작하는 전적벽부(前赤壁賦), 4) 후(後)적벽부(赤壁賦), 5)“굴원이 기방에 유어강담하고 행음택반 할 새”로 시작하는 어부사(漁父辭), 6)“부 천지자는 만물지역려요, 광음자는 백대지과객이라”로 시작하고 있는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 序) 등이다. 이 중에서 삼설기는 경기민요의 묵계월(본명; 이경옥)명창이 1930년대 중반, 그의 스승
국악기 이야기를 하다가 잠시 옆길로 들어서서 오늘은 송서(誦書)율창(律唱)에 관한 이야기를 잠시 해 보도록 하겠다. 2012년 9월 25(화) 13;00부터 서울 삼성동 소재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에서는 이름도 낯설은 “송서(誦書)율창(律唱)의 재조명”이라는 주제로 전국학술대회가 열린다. 송서(誦書)란 무엇이고 율창(律唱)이란 무엇인가? 송서란 주로 고문(古文)이나 옛 소설과 같은 글을 읽을 때에 밋밋하게 읽는 것이 아니라, 높낮이를 조화롭게 연결하며 구성지게 낭송하는 것을 말한다. 조선시대 말엽까지도 글공부하던 선비들은 책을 읽을 때, 고저를 살려 노래하듯 책을 읽었기에 옆에서 듣던 사람도 재미있게 들을 수 있었고, 본인도 글 읽는 것이 싫증나지 않아 계속 읽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율창, 혹은 시창이란 말은 한시(漢詩)를 긴 가락에 올려 부르는 노래를 말한다. 여기 율창의 율(律)은 음(音)이다. 곧 율려(律呂)이다. 율려는 음의 높고 낮은 고저를 구별하는 음이다. 서양음악의 12반음이 있듯이, 전통국악에도 황(黃), 태(太) 중(仲)등 12음이 쓰이는데, 이를 12율려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시창이란 말은 시(詩)를 노래한다는 말이기에 일반
한국의 전통악기들 중에서 입으로 불어 소리 내는 악기를 흔히‘피리’또는‘퉁소’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부르는 것은 잘못 전해오는 명칭인 것이다. 모차르트의 유명한 오페라 중 최후의 작품으로 알려진 마적(魔笛)을 우리말로는 요술피리라고 번역하고 있다. 적(笛)을 피리로 풀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동양에서는 휘파람을 구적(口笛), 입피리라는 말도 쓴다. 그러나 우리음악에서 말하는 적, 예를 들면 만파식적(萬波息笛)과 같은 악기는 취악기이지만 종적(縱笛)이 아니라 횡적(橫笛),즉 가로 부는 취악기를 의미한다. 피리는 반드시 소리를 유발하는 혀(舌), 또는 서를 관에 꽂아서 세로로 부는 관악기를 뜻한다. 그러므로 입으로 부는 악기를 모두 피리요 퉁소라고 구분 없이 부르는 것은 마치 서양의 관악기를 금관악기든 목관악기든 모두 나팔이라 통칭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전통음악에서의 피리는 대나무 관대, 즉 죽관(竹管)에 8개의 구멍을 뚫고‘겹혀(double reed)’흔히‘서’라고 하는 리드를 꽂아 부는 악기를 말함이다. 피리처럼 겹혀를 쓰는 서양 관악기에는 오보에(ob
우리나라에 현재까지 전해지는 국악기는 약 60여종에 달한다. 이렇게 전해지고 있는 수많은 악기가운데는 음악 연주용이 아닌 의식에 필요한 의물(儀物)에 가까운 것도 있고, 사용법을 잃고 보관되어 있는 악기들도 포함되며,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과 같은 음악에 상징적으로 편성되는 악기들도 상당수 있다. 따라서 이런 종류의 악기들을 제외하면 약 20여종의 악기가 오늘날까지 활발하게 쓰이고 있는 셈이다. 이 국악기를 분류하는 방법으로는 전통적으로 해 오던 계통에 따른 분류와 재료에 따른 분류가 있고 현대의 분류법에 따라 연주법(演奏法)에 의한 분류방법, 민족음악학적인 분류법 등 네 가지 방법에 의하여 구분하고 있다. 첫째의 분류방법은 음악의 계통에 따라 구분하는 분류이다. 음악의 계통이라 함은 과거 우리 음악의 갈래를 의미하는 말로 중국 고대의 아악(雅樂)인가, 중국의 속악인 당악(唐樂)인가, 한국땅에서 생성된 향악(鄕樂)인가 하는 분류에 따라 그 악기가 어느 계통의 음악에 편성되어 쓰였는가 하는 즉, 용도에 따른 분류방법이다. ≪악학궤범(樂學軌範)≫의 분류에서는 향부악기로 거문고, 가야금, 향비파, 대금, 향피리, 소관자, 풀피리 등 7종이 있고 당부악기에는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