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어제 11월 7일 저녁 7시 강북문화예술회관에서는 전통 악기인 양금(Yanggeum)을 중심으로 한 국제 음악 잔치 '2024 세계양금축제 in 서울' 페막공연이 열렸다. 이 공연은 세계 각 나라의 양금 연주자들이 함께한 그야말로 잔치라고 해야만 했다. 맨 처음 중국 영변양금앙상블의 ‘해란강별에 풍년이 왔네’ 공연부터 펼쳐지고, 이후 덜시머로 연주한 셀리 웨이트헤드의 ‘라디우’, 역시 덜시머로 연주한 카렌 애쉬브룩의 ‘고엽’, 하크브레트로 연주한 요하네스 푸흐스의 ‘요델 전통곡과 왈츠’, 산투르로 연주한 메흐디 시아다트 ‘다스가 마후르’, 역시 산투르로 연주한 모호센 미라이 칼데 칸디의 ‘멀리서 지켜보세요’, 침발롬으로 연주한 빅토리아 헤렌차르의 ‘트란실바니아 분위기’가 이어졌다. 이는 여러 나라의 연주자들이 각자의 고유한 양금을 들고나와 자기들만의 공연을 해낸 것이다. 이어서 마사코 오코시의 피아노와 협연한 준토 사키무라의 참발로 협주곡 ‘헝가리안 랩소디 2번’ 연주는 색다른 맛을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뒤이은 윤은화 작곡 ‘흔들리는 숲’을 진미림의 가야금과 이창현의 장구 반주에 맞춰 윤은화ㆍ임은별ㆍ박주화ㆍ김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어제 11월 3일 저녁 7시 30분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는 전통 악기인 양금(Yanggeum)을 중심으로 한 국제 음악 잔치로 세계 각 나라의 연주자들이 모여 전통과 현대의 선율을 선보인 '2024 세계양금축제 in 서울' 개막공연이 열렸다. 양금은 원래 중동과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기원한 현악기로, 여러 나라를 거치며 그 형태와 연주 방식이 다채롭게 변형되었다. 특히 유럽에서는 헝가리의 '침발롬(cimbalom)'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졌고, 영미권에서는 덜시머(dulcimer) 중국에서는 양친(揚琴) 등으로 불리며 각 나라의 민속음악과 결합하며 독특한 음악적 색채를 더해왔다. 한국의 양금은 조선시대에 도입되어 국악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해 왔으며, 전통적인 12현 양금에서 발전하여 현재는 더 다양한 음역을 소화할 수 있는 개량형 악기로도 사용되고 있다. 현대에 이르러 양금은 동서양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며 전통과 현대의 음악을 아우르는 악기로 자리 잡았다. 개막식의 시작은 세계양금협회(Cimbalom World Association) 빅토리아 헤렌차르(Viktória Herencsár) 회장의 인사말이었다. 그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는 11월 3일부터 8일까지 서울에서 열리는 '2024 세계양금축제 in 서울'은 전통 악기인 양금(Yanggeum)을 중심으로 한 국제 음악 잔치로, 세계 각 나라의 연주자들이 모여 전통과 현대의 선율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축제는 강북구와 강북문화재단이 협력하여 함께 여는 행사로, 지역 문화 발전과 국제 교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양금의 역사와 세계적 확산 양금은 원래 중동과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기원한 현악기로, 여러 나라를 거치며 그 형태와 연주 방식이 다채롭게 변형되었다. 특히 유럽에서는 헝가리의 '침발롬'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졌고, 각국의 민속음악과 결합하며 독특한 음악적 색채를 더해왔다. 한국의 양금은 조선시대에 도입되어 국악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해 왔으며, 전통적인 12현 양금에서 발전하여 현재는 더 다양한 음역을 소화할 수 있는 개량형 악기로도 사용되고 있다. 현대에 이르러 양금은 동서양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며 전통과 현대의 음악을 아우르는 악기로 자리 잡았다. 세계양금협회(Cimbalom World Assoc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은화의 거동봐라 가느다란 양금채를 양손에 번뜻 들고, 워따 이놈 양금아 줄이있어 현악기오, 때려놓으니 타악기라 멜로디 리듬 하나되어 음들이 퍼지나니 속삭이듯 작은소리, 표효하듯 강.한.소리 화려한 테크닉에 양금이 춤을 추네. 장구 꽹과리 장단을 맞춰, 가야금 태평소 생황 불며 양금의 영역을 확장하는, 그 이름 윤은화라 7월 17일 저녁 7시 30분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는 여우락 페스티벌 가운데 윤은화의 <페이브(PAVE)> 공연이 펼쳐지는 가운데 진행자로 나선 소리꾼 서진실이 윤은화를 대상으로 해서 판소리로 부른 대목이다. 진행자로 소리꾼을 고른 것은 탁월했다. 바로 소리의 사설이 윤은화를 그대로 얘기해주고 있음이 아니던가? ‘여우락 페스티벌’은 올해로 15회를 맞이한 국립극장의 대표적 프로그램의 하나다. ‘가장 빛나는 우리 음악의 관측’을 주제로 원ㆍ선ㆍ점 세 가지 주제 아래 23일 동안 우리 음악을 대표하는 예술가 12인의 독보적인 예술세계를 집중 조명하는 프로그램이다. 그 가운데 확연히 두드러지는 공연이 윤은화의 <페이브(PAVE)>다. 진행자 서진실은 “양금은 국악기 가운데에서 유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는 7월 17일 저녁 7시 30분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는 여우락 페스티벌 가운데 윤은화의 <페이브(PAVE)> 공연이 펼쳐진다. 전통음악에서부터 현대음악과 전자음악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 온 세계적인 양금연주자 윤은화. 오직 양금을 향한 열망으로 불모지와 같은 길을 닦으며 아름다운 길을 만들어냈다. <페이브(PAVE)>는 지금까지 닦아낸 눈부신 길을 동행해 보는 자리다. 힘 있는 양금과 다양한 악기들의 협연으로 놀랍도록 열정 가득한 연주를 몸소 느껴볼 수 있을 공연이다. 연주자 윤은화는 양금 제작자, 작곡가, 교육가로 활동하며 국내는 물론 세계로 양금을 알리는 데 크게 이바지하고 있는 세계적인 양금 연주가다. 세계양금협회의 한국지부 회장인 그녀는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개량하여 만든 국내 유일의 전자양금으로 루핑기법(리듬을 반복하는 기법)을 선보였다. 더불어 한국 전통음악과 현대음악의 균형 및 조화를 지향하고, 장르에 국한하지 않는 음악을 만들어내고 있다. 현재 단국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 등에서 후학을 양성하 고 있으며, 한국양금협회 회장, 국제양금예술연합회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지난 5월 3일 아침 9시 49분. 중국의 해변도시 칭다오(靑島)의 지모(即墨)체육관에서 독특한 기네스북 도전이 펼쳐졌다. 도전 종목은 '최대 규모 세계 양금 연주'다. 기네스69년 역사의 세계적인 도전에서 '양금' 관련 기록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도전자 대표는 류웨닝(刘月宁) 중앙음악원 교수와 중국 악기 협회 양금 예술 전문위원회다. 425명의 도전자가 모인 이 현장에는 한국ㆍ이란ㆍ중국ㆍ유럽(동유럽ㆍ서유럽)ㆍ인도ㆍ말레이시아ㆍ싱가포르ㆍ일본ㆍ홍콩ㆍ마카오ㆍ대만 등 12개국이 참여하였다. 도전곡은 중국의 유명 작곡가 류하오(劉灏)가 작곡한 신곡 '양금성송화합(扬琴聲颂和合)'이다. 각 나라의 양금연주자들은 청년 지휘자 마수(馬帅)의 지휘 아래 5분 20초 동안 연주하였다. 기네스북 인증관은 즉석에서 "도전 성공"을 선언하고 류웨닝(刘月宁) 교수에게 인증서를 수여했다. 이번 도전에 한국이 참여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한국 양금 협회의 윤은화 회장을 선두로 5명의 연주자가 함께하였다. 기네스 도전 일정 말고도 세계 양금 축제 개막 공연과 윤은화 회장의 학술토론회가 진행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제1회 세계양금 대회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어제(12월 8일) 저녁 7시 30분 서울 홍대 근처 ‘가온스테이지’에서는 <철의 원소 기호 ‘Fe’>라는 이름을 단 세계양금협회 한국지부 회장 윤은화의 4번째 공연이 열렸다. 이번 공연은 2023 예술창작활동지원사업 선정 프로젝트로 주최ㆍ주관 윤은화, 기획 설현주(국설당 대표), 서울특별시ㆍ서울문화재단의 후원으로 제작되었다. 피아노의 먼 친척뻘이며, 국악기 가운데 유일하게 쇠줄을 쓰는 악기 양금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공연이다. 객석을 가득 메운 것은 물론 서서 보는 사람들까지 제법 있었고, 연인끼리 또는 아이들과 함께 온 가족이 출동하여 공연은 관객들의 흥분으로 시작되었다. 공연은 먼저 윤은화가 작곡한 ‘오로라’로 윤은화는 양금과 운라를 함께 연주한다. 취타대를 더욱 화려하게 해주는 ‘운라’는 보통 공연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악기인데 이날 공연에서 새로운 시도로 화려한 날개를 다는 것이다. 양금처럼 철로 만든 악기 운라와 양금을 함께 연주하며 두 악기의 대화를 표현하는 모습이 대단하다는 느낌이 들게 한다. 두 번째 곡은 윤은화는 항아리(Udu) 드럼의 정주리, 핸드팬의 조현과 함께 ‘안개의 유희(Pla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양금연주자 윤은화가 12월 7일 정규 2집 음반 ‘윤은화-양금, <Fe>’를 발매함과 동시에 다음날인 12월 8일 저녁 7시 30분 서울 홍대 근처 가온스테이지에서 독주회를 연다. 윤은화의 정규 2집 앨범은 철(Fe)을 소재로 사용한 악기로 연주한 작품집이다. 비, 바람, 숲 등 자연에서 받은 다양한 영감을 토대로 곡을 창작하였으며 전통양금부터 개량양금(크로매틱 12반음계적양금), 전자양금, 운라, 핸드팬(몸체가 진동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 항아리드럼(Udu드럼), 징 등 악기를 써서 연주했다. 이번 음반에서는 양금이 독주 악기로써 더 많이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시도를 보여주는 작품들로 구성되었다. ‘Fe’ 앨범에서는 핸드팬을 뺀 나머지 모든 악기를 윤은화가 직접 녹음하였다. 음반 수록곡은 먼저 윤은화 작곡, 윤은화 연주 ‘갈색여름(Brown Summe)’, 윤은화 작곡, 윤은화 양금ㆍ글로켄슈필ㆍ타악 연주의 ‘족장들의 춤(Dance of the chieftains)’, 윤은화 작곡, 윤은화 연주의 ‘실크로드(Silk Road)’, 윤은화 작곡, 윤은화 양금ㆍ운라 연주의 ‘오로라(Aurora)’,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국악기 가운데 양금(洋琴)은 18세기 영조 임금 때 유럽에서 청나라를 통해 들어온 악기로 “구라철사금(歐邏鐵絲琴)”, “구라철현금(歐羅鐵絃琴)”이라고도 불렀던 것인데 지금은 다른 국악기에 견줘 연주를 볼 기회가 많지 않다. 하지만, 한국양금협회 윤은화 대표가 산조, 다스름, 시나위는 물론 서양 클래식. 대중음악까지 다양하고 폭넓은 활발한 활동을 펼치면서 많은 양금 애호가가 생겼음은 물론 세계 양금계가 주목하고 있다. 그 윤은화 대표의 한국양금협회가 지난해에 이어 오는 8월 29일부터 30일까지 서울 명동 눈스퀘어 4층에서 “아시아 양금으로 하나 되다”라는 구호로 화려한 <한국양금축제>를 연다. 이번 공연 <아시아, 양금으로 하나 되다!>는 한국양금협회가 주최하고, 서울시 민간축제지원사업으로 뽑혀 아시아 각국의 다양한 양금 연주를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이번 축제에서는 한국, 중국, 베트남 등의 ‘아시아 양금 한눈에 톺아보기’와 양금 직접 연주해보기(체험)도 할 예정이어서 관객들의 큰 호응을 기대한다. 이번 축제에 함께 하는 연주자들은 한국의 양금 연주자들의 모임인 ‘한국양금앙상블(안진, 이원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나는 한 개의 얼굴을 하고 있을까? 아니면 두 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을까? 우리는 영국의 작가 R. L. B. 스티븐슨의 중편소설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를 알고 있다. 그 소설은 2002년에 <지킬 박사와 하이드>란 제목으로 영화화되기도 했다. 원래 지킬 박사와 하이드는 한 사람이다. 둘은 정반대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서 낮에는 ‘지킬’의 신사와 같은 행동거지를 보이지만 밤에 ‘하이드’가 되면 온갖 범죄를 저지르고 다닌다. 그런데 어제 11월 26일 서울 마포구 ‘신한 플레이 스퀘어라이브홀’에서는 한국양금협회 윤은화 대표의 “두 얼굴(2FACE)” 공연이 열렸다. 윤은화의 전통음악이 가진 차분한 내면과 강렬한 헤비메탈 연주자의 모습을 동시에 한 자리서 본 것이다. 물론 공연의 시작은 그야말로 전통음악 ‘양금산조’로 시작한다. 윤은화 대표가 직접 구성한 ‘윤은화류 양금산조’를 안진의 장구 반주로 열었다. 그동안 양금은 농현이 잘 안된다는 까닭으로 산조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았지만, 윤은화는 4년여의 노력 끝에 양금산조를 내놓은 것이다. 윤은화의 ‘양금산조’는 농현을 표현하는 것과 동시에 뮤트, 트레몰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