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1 (화)

  • 맑음동두천 8.6℃
  • 구름많음강릉 9.8℃
  • 맑음서울 10.0℃
  • 맑음대전 11.0℃
  • 맑음대구 10.8℃
  • 맑음울산 7.9℃
  • 맑음광주 10.1℃
  • 맑음부산 8.9℃
  • 맑음고창 5.5℃
  • 맑음제주 10.4℃
  • 맑음강화 3.0℃
  • 맑음보은 7.2℃
  • 맑음금산 8.7℃
  • 맑음강진군 7.4℃
  • 맑음경주시 5.9℃
  • 맑음거제 9.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잔치 그리고 행사

국가유산 수리 장인(匠人) 향한 첫걸음

전통문화교육원 ‘2025년도 국가유산수리기능인 양성과정’ 101명 입교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원장 김용구)은 3월 10일 낮 2시 전통문화교육원 대강당(충남 부여군)에서 ‘2025년도 국가유산수리기능인 양성과정’의 출발을 알리는 입교식을 연다.

 

이날 입교식에는 ▲ 미술공예분야 기초과정 6개 전공(옻칠, 단청, 배첩, 도금, 철물, 모사) 52명, 심화과정 6개 전공(옻칠, 단청, 장석, 대장간, 배첩, 모사) 27명, ▲ 건축분야 기초과정 2개 전공(대목(드잡이), 소목) 9명, 심화과정 3개 전공(소목, 번와와공, 한식미장) 13명까지 모두 101명의 교육생과 객원교수, 교직원 등이 참석한다.

* 배첩: 그림이나 글씨 등 서화류에 종이나 비단을 덧붙여 족자, 병풍, 전적 등의 형태로 꾸며 기록물의 보존성을 높이는 기술

* 모사: 서화류의 소실·훼손 등에 대비해 그림이나 글씨 등을 같게 옮겨 그리는 기술

* 드잡이: 기울거나 내려앉은 구조물을 해체하지 않고 도구 등을 이용하여 바로잡는 일

* 번와와공: 기와를 해체하거나 이는 사람

 

 

이번에 입교하는 교육생은 올해 12월까지 심도 있는 기능 숙련 과정을 거쳐 전국의 국가유산 수리 현장 등에서 일하게 된다. 특히, 올해는 건축분야 기초과정의 실기교육을 위한 교재와 ‘국가유산수리실습장’이 새롭게 마련되어, 더욱더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교육과정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2012년 처음 개설된 ‘국가유산수리기능인 양성과정’은 첫 해 37명의 교육생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모두 1,343명의 수료생을 배출하였다. 이 중 지난해 말 기준으로, 452명이 국가유산수리기능자 국가자격증을 취득하였고, 832명이 국가유산 수리 현장(공방) 등 전공 관련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