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성제훈 기자]날씨가 무척 춥네요. 어제 한라산에 눈이 내렸다니 이제 곧 육지에도 눈이 내릴 것 같습니다.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저도 가을 외투를 벗고 두꺼운 겨울 외투를 꺼내입었습니다. 내일은 목도리도 겨울용으로 바꿔야 할 것 같습니다. '롱 패딩'이라고 아시나요? 먼저, 패딩은 padding으로 솜이나 오리털을 넣어 누비는 방식으로 옷을 만드는 것을 이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누비옷'으로 다듬었습니다. 롱은 long입니다. 그래서 '롱 패딩'은 '긴 누비옷'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 드리고 싶은 말씀은 '긴 누비옷'이라고 안 하고 왜 '롱 패딩'이라고 하냐는 게 아닙니다. 학생들이 롱 패딩을 좋아해서 부모 부담이 크다는 것을 기사로 내면서 '등골 브레이커'를 쓰는 것을 꼬집고자 합니다. 저는 '등골(을) 빨아먹다', '등골(을) 뽑다', '등골(이) 빠지다'는 말은 알고 있습니다. 이 말을 좀 세게 하고자 깬다는 뜻을 지닌 브레이크를 써서 '등골 브레이커'라는 낱말을 만든 것 같습니다. 누가 만들었을까요? 바로 언론이 만들었습니다. 조금 전에 검색해보니 이렇게 나오네요. 롱 패딩,‘등골 브레이커’ 등극…학부모 ‘한숨’ http:/
[우리문화신문=성제훈 기자]어제 어떤 분과 이야기를 나누다, 지진 때문에 수능시험을 미룬 것을 두고 우리나라 패러다임이 바뀌었다고 하더군요. 그동안은 다수와 효율성을 중시했는데, 이제는 소수나 약자와 안전을 더 중요하게 본다는 것이죠. 수능시험을 미룬 일 하나만 가지고 우리나라 패러다임이 바뀌었다고 보기는 좀 이르지만, 그분의 말씀에는 동의합니다. 당연히 그렇게 가야 한다고도 생각하고요. 패러다임은 paradigm입니다. "어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테두리로서의 인식의 체계. 또는 사물에 대한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를 뜻합니다. 딱히 우리말로 바꾸기가 마땅치 않아서 외래어를 그냥 쓰고 있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우리말로 바꿔 쓰려는 노력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패러다임을 어떤 한 낱말로 바꾸기보다는 풀어서 쓰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봅니다. '패러다임이 바뀌었다.' 보다는 '발상의 전환'이나 '시각의 변화' 정도가 어떨까 생각합니다. 아침에 KBS뉴스를 보는데 자막에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는 자막이 보였습니다. '더'는 동사 위에 얹혀서 '계속하여', '거듭하여'나 '그 위에 보태어'처럼 쓰는 부사입니다. '이상'
[우리문화신문=성제훈 기자]오늘 자 한 기사를 보니 '금도 넘지말라'는 제목이 있네요.http://www.fnnews.com/news/201711111423475954 제가 보기에 '금도'는 정치인과 이름 있는 학자들만 쓰는 낱말인 것 같습니다. 그것도 사전에 있는 풀이와 달리 잘못 쓰는 게 대부분입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금도'를 찾아보면 모두 다섯 가지 뜻이 나옵니다. 금도(金桃) 복숭아의 한 종류. 금도(金途) 돈줄. 금도(琴道) 거문고에 대한 이론과 연주법을 통틀어 이르는 말. 금도(禁盜) 도둑질하는 것을 금함. 금도(襟度) 다른 사람을 포용할 만한 도량. 사전에는 이 다섯 가지 뜻밖에 없습니다. 넘어서는 안 될 선이라는 뜻의 '금도(禁度)'는 사전에 없는 말입니다. '금도'를 정치인이나 학자들이 쓰시려면 "다른 사람을 포용할 만한 도량."이라는 뜻으로 써야 한다고 봅니다. 큰일을 하시는 분일수록 남을 감싸주고 안아줄 수 있어야 하잖아요. “병사들은 장군의 장수다운 배포와 금도에 감격하였다, 경선과정에서 말과 행동 모두 금도를 보여줘야 한다, 법관의 자리에 오른 사람의 금도가 이정도인가, 지도자로서 보여 줘야 할 금도이다“처럼 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