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3 (토)

  • 맑음동두천 -2.1℃
  • 흐림강릉 4.2℃
  • 맑음서울 1.6℃
  • 구름많음대전 0.1℃
  • 구름조금대구 0.7℃
  • 구름많음울산 5.6℃
  • 구름많음광주 2.9℃
  • 구름많음부산 8.8℃
  • 구름많음고창 -0.5℃
  • 구름많음제주 11.0℃
  • 구름조금강화 2.4℃
  • 구름많음보은 -2.4℃
  • 구름많음금산 -2.3℃
  • 구름많음강진군 2.9℃
  • 구름많음경주시 0.7℃
  • 구름많음거제 5.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안승열의 명리학 다가가기

전체기사 보기


인성별 오행은 무엇이 다른가?

1편 명리 입문 3장 오행 7절 인성의 오행 1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목(木) 3양 8음 봄, 온화함을 펼쳐 성장과 발육을 돕는 곧은 에너지이다. 땅에 뿌리를 내리고 뻗어 나가려는 활기찬 에너지. 뿌리를 땅에 내리고 뻗어가니 기본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명예를 추구한다. 봄에 나뭇가지가 사방으로 뻗어가지만, 근본인 뿌리를 땅에 단단히 내리고 자신을 지키며 안정을 기본으로 하고 목표를 추구해 나간다. 웬만한 장애에는 자신의 의지를 굽히지 않는다. 목은 기본에 충실하며 예절과 도덕을 지킬 줄 안다. 뻗어 나가서 목적을 성취하고자 노력하지만 명예욕이나 자존심은 잘 드러내지 않는다. 단순, 솔직하여 꼼꼼하거나 치밀함과 다소 거리가 있다. 매사에 앞장서고 진취적이고 적극적이며 먼저 시작하려 한다. 전체를 폭 넓게 보고 적재적소를 아는 지도자의 에너지이다. 화(火) 2음 7양 여름, 밝은 빛을 위로 위로 올리는 밝음의 에너지이다. 화기는 어떤 상황이든 분명하고 명확히 하려고한다. 명명백백함을 좋아한다. 옳고 그름을 정확히 판단한다. 불량한 사람을 그냥 보아 넘기지 않는다. 쓰는 말과 그 사람의 에너지는 비교적 일치하는데 갑목(천간이 ‘갑’이면서 ‘목’ 기운이 있는 것)이나 병화(천간이 ‘병’이면서 ‘화’ 기운

맛으로 구분하는 오행, 매운맛과 짠맛

1편 입문 3장 오행 6절 오행과 맛 3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金 : 4음(신맛+단맛)과 9양의 매운맛으로 완성된 에너지 금기의 신맛은 인체가 음액을 흡수 수렴하도록 돕고 휘발성이 강한 매운맛은 땀의 발산과 배변을 원활하게 하는 기운이다. 매운맛을 금기에 넣어둔 까닭은 금의 장기인 폐장, 대장 등이 버려야 할 변, 땀 등의 배출 활로를 열어주는 데 매운맛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탁기를 배설해야 순백의 금기가 완성된다. 금기의 대표 식품인 과일은 신맛과 강한 단맛의 양기가 조화를 이룬 새콤달콤한 맛이다. 매운 양기만으로 과육이 될 수 없다. 수분의 증발 발산을 저지하는 4음의 신맛이 양기를 감싸고 수렴해야 비로써 과육이 완숙된다. 신맛의 과일로 음기를 보충하면 간에 수분이 공급되며 눈의 충혈이 해소된다. 금의 음기인 신맛이 체내로 유입되면 온몸으로 퍼진다. 신맛은 어느 장부로 가든 음기의 작용인 흡수가 잘 일어나도록 촉촉한 접촉면을 만들어 준다. 기침을 캥캥 해대면 기관지가 마른 것이니 음기인 신맛을 공급, 코점막이나 기관지를 촉촉하게 만들어서 폐로 들어가는 해로운 물질을 걸러내야 한다. 사주에 금기가 약해서 이를 강화해야 한다면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까? 금기를 보충하기보다는 우선 금

맛으로 오행을 구분해보자

1편 입문 3장 오행 5절 오행과 맛 2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 火 2음 7양 : 쓴맛과 매운맛이 2:7이 되면 화가 된다 2음의 쓴맛이 7양을 다독여야 진정한 화기가 만들어진다. 화기가 약한 사람은 매운맛인 생강, 무, 대파, 양파, 초석잠(식물의 뿌리로 누에고치처럼 생겼음), 고추장, 후추, 겨자를 먹어야 한다. 그 성분 가운데 매운맛이 주종인 파, 마늘, 삼채, 쑥, 냉이, 달래, 당근 등도 화기가 충만한 식품이다. 매운맛은 장에서 수분을 그대로 배출되게 한다. 매운맛은 어떤 성분도 몸 안으로 들이기보다 내보내려 한다. 매운맛은 목기와 화기에 모두 있으니, 양기의 본질이다. 매운 고추를 먹으면 설사가 나고, 땀이 나고 심장 박동이 높아지며 날숨이 드세어진다. 생각이 너무 많아서 이를 확 날려버리고 싶을 땐 매운 떡볶이 먹는다. 양기로 음기의 잡생각을 발산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너무 과열이 되어서 진정이 필요하면 씁쓸한 씀바귀를 먹는다. 쓴맛은 생각만 해도 양기를 내린다, 입안에 돌던 양기로 가득한 침이 꿀꺽 넘어가 버리고 만다. 쓴맛이 화기를 풀썩 꺼지게 하는 것이다. 봄철에 이런저런 일로 신경을 많이 쓰다 보면 화기가 쌓여서 몸이 덩달아 과열되며 소화액이 마르고 단내가 나며 식욕

맛으로 오행을 구분하기

1편 입문 3장 오행 4절 오행과 맛 1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예로부터 음식을 그 맛에 따라 다섯 기운으로 구별하여 인체에 작용하는 기의 불균형을 해소하며, 건강을 도모하고 질병도 다스리려 했던바, 이는 명리학의 중요한 실용 중 하나였다. 그러나 같은 맛이라도 그 기가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인삼과 도라지는 모두 쓰지만 인삼은 화기, 도라지 금기로 분류되는 에너지를 갖고 있다. 또한 한 음식에 여러 가지 맛이 복합되어 있기도 하다. 예컨대, 양파는 화기, 토기에 금기까지 혼합된 식품이다. 이 같은 구별법은 화학적 물리적 분석에 의존하는 현대과학의 측면에서 보면 그 신뢰성이 다소 떨어지는 방법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이 같은 방법의 원론적인 부분만 다루기로 하였다. 지난 절에서 공부한 음양의 맛을 떠올리며 이 들이 다양한 비로 혼합된 오행의 맛을 알아보자. 음양이 1:2인 토기는 오행의 중심에서 그들을 조절하고 중화로 이끌고 있다. 요약 음양이 1:2인 토기는 오행의 중심에서 그들을 조절하고 중화로 이끌고 있다. 상 세 목(木) 3양 8음. 매운맛 3과 씁쓸한 맛 또는 신맛 8의 조화 목기는 처음 상승 발산 확장 소모하는 양기로 초록의 성장과 발육을 주도한다. 목기 맛은 식물

오행을 수량으로 논하다

1편 입문 3장 오행 3절 하도낙서(河圖洛書)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하도낙서가 주역에 근거한다거나 심지어 그 전설들이 실재했던 사실이라는 등 이설(異說)이 분분하나 오늘날 우리가 학습하는 하도낙서는 12세기 후반 남송의 대유학자로 음양오행에도 조예가 깊었던 주희(朱熹)가 그간의 이론과 자신의 궁리를 종합하여 완성하였다고 보는 견해가 정설이다. 아무튼, 명리학이 하도낙서를 중히 여기는 이유는 오행을 수량(數量)으로 정의하여 많은 학인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으며 오행을 사상적 근거로 하는 명리학을 차원 높은 철학으로 거듭나게 하였다는 데 있다. 주희는 행별 음기와 양기의 양을 수량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했을 것이다. ➀ 짝수는 음기로 홀수는 양기로 구별하기 ➁ 오행으로 구별한 삼라만상의 음기ㆍ양기를 추론하여 그 *대푯값을 정하기 ➂ ➁에서 얻은 음기ㆍ양기의 구성비를 1~10의 숫자로 단순화하기 *대푯값- 자료 전체의 성격을 대표하는 값. 현상계는 극단적일 수 있어서 전체 자료 모두를 참고하는 것이 대표성을 띠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극단적인 값은 버리고 일정 범위의 중앙값들로 평균값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론이지만, 상기 구성비를 ‘수화목금토’의 순으로 나열해 보면 그

오행은 원운동으로 순환한다

1편 명리 입문 3장 오행 2절 오행의 순환력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원운동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 오행론의 핵심인 오행의 조화로운 원운동 순환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원운동에 어떤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는지부터 알아보자. 아래 왼쪽 그림과 같은 종이 접시 위를 원운동 하던 구슬이 접시가 잘린 부분을 통과하면서 직선운동 하게 되는데 이 운동에 작용하는 힘을 직각력이라고 하면 원운동에는 구심력, 원심력 그리고 직각력이라는 세 가지 물리적인 힘 작용한다고 말할 수 있다. 생력과 극력으로 원운동 하는 오행 오행론은 원운동을 물리학과는 달리 두 가지 힘의 작용으로 서술하였다. 각 행이 자신의 기를 키우며 동시에 바로 이웃한 행을 돕는 생력(生力) 그리고 생력과 같은 방향으로 두 번째 이웃한 행을 끌어당겨서 약화하는 극력(剋力)이 그것이다. 생력은 목이 화를 생하는 목생화와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의 힘이며 극력은 목이 토를 극하는 목극토와 화극금, 토극수, 금극목, 수극화의 힘을 말한다. 위 오른쪽 그림에서 목행에 작용하는 생력과 극력을 분석해 보자. ①목의 생력은 직각력에 다름 아니고 ②목이 토를 끌어 당기는 목극토의 힘은 벡터적으로 분해하면 목행의 원심력과 토행의 구심력이 되며 같은 방식으로

왜 오기론이 아니고 오행론인가

1편 명리 입문 3장 오행 1절 삼라만상의 오행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삼라만상의 씨앗에서 분화된 개개의 존재 속에는 음양이 존재하며 그들의 함량비가 제각각 다양하다. 이들 만상의 에너지를 음양만으로 분별하기보다 좀 더 현실적으로 그들의 구성비도 살펴 다섯 종의 에너지(목기, 화기, 토기, 금기, 수기)로 “생기고 머물다 변하며 사라지는” 세상의 뭇 존재를 이해하고자 하였으니 이 같은 이론적 체계를 ‘오행론’이라 하였다. 그런데 왜 오기라 하지 않고 오행이라 했을까. 행(行)에는 “돌아다닌다”라는 뜻이 있어서 기의 순환을 표현하기 적당한 말이다. 행을 순환하는 가상의 공간이라고 생각하고 여기에 힘(목, 화, 토, 금, 수)이 실리고 그 힘이 원운동 순환(거리 이동)하여 에너지 (목기, 화기, 토기, 금기, 수기)가 된다고 3자의 관계를 정립하자. 자연계의 오행 인간계의 오행 간지의 오행 음기, 양기라는 표현과 별개로 영역이라는 표현을 쓸 때 목행ㆍ화행에 속하는 간지는 양의 영역에 있다하고 토행은 중의 영역, 금행ㆍ수행은 음의 영역에 있다고 말한다. 또한 같은 행에 속하는 천간과 지지를 좀 더 양적인 양간/양지와 음적인 음간/음지로 구별하기도 한다. 천간 지지가 상징하는 바는 고정불변이 아니다. 시

만성 병증은 기의 분리로 실체를 알 수 있다

1편 입문 2장 음양 6절 ‘병증의 음양’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병증에도 음양이 있다. 음과 양이 같은 힘으로 맞물리지 못하고 어느 한 편으로 치우칠 때 병이 난다. *음액(陰液 한의학에서 인체를 순환하는 정, 혈, 진액 등의 체액을 음기로 보고 한꺼번에 음액이라고 부른다. 양의학적으로는 혈액, 림프액, 정액 등에 해당한다. 영양제나 한의가 쓰는 보약은 음액을 보강하는 약이다. 음액이 고갈되면 음액으로 활동하는 양이 허해지고 양의 허한 상태가 지속되면 음액을 생성하지 못하니 결국 음과 양이 모두 허해진다. 따라서 음병이 지나치면 양병이 되고, 양병이 더 세지면 음병이 된다. 그 시작이 음양 어느 것인지를 가려서 부족한 것부터 채우는 것이 음양병 치료의 대원칙이다. 일반 증세 겉으로 보이는 몸의 위쪽 (윗입술~등~항문전)에 나타나는 것은 양증이고 아래쪽 (아랫입술~ 배~항문)에 나타나는 것은 음증이다. 두통, 감기, 해소, 각혈 등은 양증이고, *각기, 설사, 탈핵 등은 음증이다. 열이 위로 올라와 가슴이 답답하고 눈이 붉어지고 귀가 울리는 것은 양증이고 열이 부족하여 복통 설사 요통 등 아래쪽에 증세가 나타나는 것은 음증이다. 급성 만성 급성병은 대부분 양병이라 밖으로 증세가 드러난다.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