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안동립 기자] # 열하일기를 따라서, 답사 6일 차 일자 : 2025년 4월 23일(목요일), 이동 거리 383km 숙박 : 북경금봉대주점(北京金凤大酒店 010-8459-6363) 우리가 묵은 리조트식 호텔은 북대하(베이다이허) 지역으로, 해변이 은모래로 발해만에 길게 뻗어 있는 중국 가장 큰 여름 휴양지이며, 해마다 베이다이허에서 양회와 같은 정치 행위가 열리는 곳입니다. 식사 뒤 호텔 부근 해변에 있는 진시황이 방문했던 작은 포구를 찾아갔습니다. 소문대로 아름다운 해변이 펼쳐져 있었는데, 저는 늦잠을 자서 해변 산책을 하지 못해 아쉬웠습니다. 만리장성의 동쪽 끝, 노룡두와 산해관 노룡두(老龙头)는 발해만으로 연결되는 만리장성 끝으로, 바다와 어우러져 멋진 풍광을 자랑합니다. 산해관 장성(山海关长城)을 찾아갔습니다. 이곳부터 관외 지역과 관내 지역으로 나뉘며, 북경까지 순탄한 도로가 건설되었습니다. 당 태종은 안시성에서 양만춘이 쏜 화살을 눈에 맞고 도망쳐 이곳에 와서야 안심했다고 전해집니다. 작년 실크로드 답사 때 장성의 서쪽 끝 가욕관(광화문)을 찾았는데, 올해 동쪽 끝인 산해관을 답사하니 감격스러웠습니다. 중국 최대 관광지답게 인산인해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가을 오는 소리 가을은 남자 계절이라 했나 (돌) 뿌린 것이 있어야 거둘텐데 (달) 산과 들길에 열매 익는 소리 (심) 툭툭 밤송이 떨어지는 소리 (빛) ... 25.8..23. 불한시사 합작시 시가 쓰일 만한 세월이 아니라서 그런가. 써놓고 보니 시 같지도 않고 더욱이 가을의 맛도 우러나지 않는다. 꼭 아람이 벌어지지 않고 떨어져 있는 빈 밤송이들 같다. 시란 작자의 심정을 반영한다. 우리가 당면한 이 기후 변화가 얼마나 삶을 황폐하게 할지, 이 삶의 예측못할 혼란들이 또 얼마나 우리들 마음을 흐트러 놓을지. 처서가 지나가는 이 시절에도 이 가을은 노래가 되지 않는구나. (옥광) ㆍ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의 불한티산방에서 만나는 시벗들의 모임이다. 여러 해 전부터 카톡을 주고받으며 화답시(和答詩)와 합작시(合作詩)를 써 왔다. 합작시의 형식은 손말틀(휴대폰) 화면에 맞도록 1행에 11자씩 기승전결의 모두 4행 44자로 정착되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정형시운동으로 싯구를 주고받던 옛선비들의 전통을 잇고 있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광통방(廣通坊, 현재 중구 서린동 근처) 부근에 있던 큰 다리 대광통교(大廣通橋)를 건너면 육주비전(六注比廛)이라 하여 나라로부터 독점적 상업권을 부여받고 나라가 필요로 하는 수요품을 조달하던 시전(市廛)이 있었습니다. 이 육주비전에는 “여리꾼(列立軍)” 곧 거간꾼들이 있었는데 “여리꾼”이란 “남는 이익(餘利)을 얻는다는 뜻”과 함께 종로 거리에 열 지어 서 있다가 손님이 나타나면 흥정을 붙인다는 뜻의 열립꾼(列立軍)인데 요즘 말로 하면 호객꾼이고, 일본말에 뿌리를 둔 삐끼라고 쓰는 사람도 있지요. 토박이말로는 '주릅'이라고도 합니다. 당시 조선시대 시전상인은 대개 한 평 남짓한 좁은 터에 최소한의 상품을 진열한 데다가 다닥다닥 붙은 가게들은 간판도 없었고, 심지어 값도 써 붙이지 않았습니다. 그러기에 손님은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쉽게 찾을 수가 없었는데 이때 상인과 손님의 틈새를 파고든 것이 바로 여리꾼인 것입니다. 여리꾼은 값을 비싸게 부른 다음 흥정을 붙이고 값을 조정한 뒤 상인이 원했던 것보다 높은 값을 받아서 그 차액을 챙겼던 것이지요. 이 여리꾼 가운데는 쌀 거래를 하는 감고(監考)가 있었고, 집이나 땅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이재필)는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이귀영)과 함께 9월 17일부터 26일까지 경복궁 소주방 권역(서울 종로구)에서 2025년 하반기 「수라간 시식공감」을 연다. 「수라간 시식공감」은 경복궁의 부엌인 소주방 권역에서 궁중음식과 전통공연ㆍ놀이 등 다양한 체험을 하는 궁중문화 복합 체험 행사로, 궁중음식 시식과 자유 체험으로 구성된다. * 기간 중 9.22.(월), 9.23.(화) 미운영 궁중음식 시식은 생물방에서 궁중다과를 즐기는 ‘다담(茶談)-시식공감’과 외소주방에서 궁중음식을 맛보는 ‘식도락(食道樂)-시식공감’으로 진행되며, 참가자는 1개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체험한다. 자유 체험으로는 내소주방에서 ‘복 북어 만들기’와 ‘율란 만들기’가 진행되며, 행랑채 ‘주방골목’에서는 만두과, 곶감오림, 포계 등 전통 간식을 맛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전통놀이 체험 공간과 쉼터도 마련되어 가을밤 경복궁을 여유롭게 즐길 수 있다. * ‘다담-시식공감’과 ‘식도락-시식공감’은 2개조 동시 운영: (1회차) 18:00~19:00, (2회차) 19:30~20:30 * 자유 체험(만들기 체험, 주방골목 등) 운영: 18:0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원장 임종덕)은 광복 80돌을 기려, 9월 15일 낮 2시 덕수궁 돈덕전(서울 중구)에서 국가지정유산 보물로 지정된 항일애국지사 황현(黃玹, 1855~1910) 선생의 초상화와 사진 실물을 공개하는 특별 강연 「초상화와 사진의 만남: 보물 ‘황현 초상 및 사진’」을 열며, 이 특별한 행사에 참여할 국민 40명을 모집한다. 황현 선생은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정승 황희(黃喜, 1363~1452)의 후손으로, 1888년에 장원으로 관직에 들어갔으나, 혼란한 정치상황으로 귀향한 뒤 연구와 저술에 매진해 국가등록문화유산인 《매천야록(梅泉野錄)》, 《오하기문(梧下記聞)》 등을 남겼다. 1910년에 우리나라가 국권을 상실하자 자결하였고,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되었다. 보물 「황현 초상 및 사진」은 조선 말기에서 근대기에 활동한 대표적인 초상화가 채용신(蔡龍臣, 1850~1941)의 작품으로, 채용신은 황현 선생이 자결한 다음 해인 1911년 5월에 황현 선생의 사진을 토대로 초상화를 그렸다. 초상화와 함께 보물로 지정된 사진은 김규진(金圭鎭, 1868~1933)이 세운 천연당사진관에서 1909년에 촬영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서울옥션은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이자 전위예술의 선구자 백남준의 타계 20주기를 앞두고 특별전 <위대한 통찰력: 백남준과 시대의 작가들>을 오는 29일부터 9월 25일까지 서울 강남구 신사동 서울옥션 강남센터에서 연다. 전시에는 백남준을 비롯해 시대를 꿰뚫는 통찰력을 보인 작가 6명의 작품 25점이 출품될 예정이다. "예술은 미래를 사유하는 것"이라는 핵심 철학을 바탕으로 예술과 기술, 그리고 인간의 관계를 조명한 백남준의 작업을 이번 특별전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 백남준은 기술은 인간을 지배하는 장치가 아니라 창조와 사유의 도구로 활용했다. 이러한 작품세계는 인공지능(AI)으로 대표되는 첨단기술이 시대의 화두로 떠오른 오늘날 새로운 사유의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 백남준이 동서양의 위대한 인물들에게 헌정한 로봇 초상 시리즈가 눈길을 끈다. 각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명과 진보를 이룬 선구자들의 모습을 단순히 회화나 조각이 아닌 가장 현대적인 형태인 로봇으로 담아낸 모습에서 작가의 철학적 깊이를 엿볼 수 있다. <에디슨>은 ‘발명왕’ 에디슨의 발명품을 연상시키는 전구, 스피커, 텔레비전 모니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서산시(시장 이완섭)는 오는 8월 30일(토) 저녁 5시 30분부터 9시 30분까지 인지면에 있는 송곡서원과 천연기념물 향나무 일원에서 ‘2025 송곡서원 별 이야기 음악회’를 연다. 이번 행사는 서산시가 주최하고 문화예술감성단체 여민(與民)이 주관하며, 국가유산청과 충청남도가 후원한다. 송곡서원 별 이야기 음악회는 평소 닫혀 있던 서원의 문을 활짝 열고,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통해 송곡서원을 사람과 이야기로 가득한 공간, 그리고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인문정신의 장으로 재조명하고자 기획됐다. 행사는 △전통문화예술 체험 △스토리텔링 음악회 △별자리 관측 순으로 이어진다. 먼저 저녁 5시 30분부터 문자도 부채ㆍ사군자 책갈피ㆍ나의 전통별자리 28수 슈링클(수축 플라스틱) 열쇠고리ㆍ향나무 목걸이 만들기, 유생복 입기 등 다채로운 전통문화 체험이 진행되며, 참여자에게는 소정의 기념품도 준다. 이어 저녁 7시에는 송곡서원 배향 인물인 금헌 류방택과 국보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天象列次分野之圖 刻石)’을 주제로 한 스토리텔링 음악회가 열린다. 판소리, 힙합 랩, 무용, 국악기와 클래식 악기가 어우러진 특색 있는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진주박물관(관장 장용준)은 관람객에게 다양한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확대를 위하여 ‘국립진주박물관과 함께하는 공감(共感)’ 행사(이하 공감(共感) 행사)를 연다. 공감(共感) 행사는 8월부터 10월까지 월 1회, 모두 3회 진행된다. 8월 30일(토) 낮 1시부터 개최되는 첫 번째 공감(共感) 행사는 국가유산청ㆍ경상남도ㆍ진주시가 주최하는 ‘2025 진주 국가유산 야행’(8월 29일 ~8월 31일) 행사와 연계하여 박물관 개관시간을 18시부터 22시까지 연장한다. * 박물관 연장개관: 2025.8.29.(금)∼8.31.(일) 18시∼22시까지 이번 공감(共感) 행사는 사전예약 없이 현장참여로 이루어진다. 참여자들이 각자 하나씩 채색한 1,000개의 조각을 행사장 벽면에 이어 붙여 진주성 전투 장면 그림을 완성해 가는 공동 작업으로써 진주성 전투의 역사적 의미를 다 함께 되새겨 보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아울러, 박물관을 찾는 관람객에게 즐거운 문화유산 관람과 야행의 추억을 빛내 줄 수 있는 기념품으로 LED 머리핀을 선착순 1,000명에게 준다. 국립진주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박물관과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성인 영화계를 뒤흔든 영화 <젊은엄마>, <친구엄마>의 공자관 감독이 연극 제작자로 변신, 대학로에 파격적인 도전장을 내민다. 공자관 감독이 총괄, 뻥튀기 프로덕션에서 선보이는 19금 성인 블랙코미디<내가 하면 로맨스>가 오는 9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대학로 한성아트홀 제2관에서 막을 올린다. '내가 하면 로맨스'는 현실 부부의 사랑과 욕망을 솔직하게 그려낸 웰메이드(완성도가 높은 작품) 성인극이다. 단순한 자극을 넘어 탄탄한 극작과 연출력으로 무장한 이 작품은 '대학로 19금 최고 수위'라는 도발적 캐치프레이즈 이면에 깊이 있는 서사와 감정적 몰입을 균형감 있게 담아냈다. 실제 눈앞에서 펼쳐지는 수위 높은 장면들은 관객들에게 숨 막히는 긴장감을 선사하며, 예측 불가한 이야기 전개로 객석을 뜨겁게 달굴 예정이다. 연극 무대만이 가진 생생한 현장감과 배우들의 사실적인 연기가 관객들을 무대 속으로 끌어들인다. 공자관 총괄 프로듀서는 "서사가 인물을 이끌어가야 한다는 원칙으로 작품을 만들었다"라며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자연스럽게 뜨거워지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어 "연극 무대만이 줄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인천(仁川)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서도 소리꾼 유춘랑 명창이 그의 제자들과 함께한 2025년 정례 《서도소리 발표회》 관련 이야기를 하였다, <서도 소리>란 말에서 <서도(西道)>는 우리나라 서쪽 38 이북의 서해안 지대를 의미하는 황해도와 평안남북도를 포함한 지역의 개념이고, <소리>는 가악(歌樂), 또는 성악(聲樂)이란 의미를 지닌 순수 우리말의 통칭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서쪽 지역에서 불러온 황해도나 평안도 지방의 노래’를 뜻하는 말이 된다. 지역의 노래로는 서울, 경기, 충청남북도 일부를 포함하는 <경기소리>도 있고, 호남의 <남도소리>도 있으며,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하는 <동부소리>, 그리고 <제주소리>도 있다. 이들 각 지역의 노래들은 그들의 독특한 언어를 구사하며 그 위에 가락이나 창법, 표현법, 장단, 멋스러움 등을 표출해 온 것이다. 오래전부터 인천시와 인근의 도서지방은 서도소리를 잘하는 소리꾼들이 많았다. 그러한 영향으로 인해 서도의 한(恨) 많은 소리를 좋아하는 애호가층도 다른 어느 지방, 어느 도시보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