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전수희 기자] 밤 고요하자 산도 흔들림 없고 나 한가로워 진리의 정 펴나니 그 중에서도 뛰어난 멋은 백옥의 폭포 구슬 소리 날리다 – 월파대사, 산경치를 즉석에서 읊다- 월파대사(月波大師,1695~?)는 속성이 김씨이고, 15살에 출가했다. 부모의 만류에도 뿌리치고 묘향산으로 들어가 삼변(三卞) 스승을 은사로 삼았다. 그러나 1년이 채 안돼 아버지 상을 당해 귀가했다가 다시 산문으로 들어가 운봉화상(雲峰和尙)에게서 구족계를 받았다. 그 뒤 운봉, 혜월, 운파, 환암 스님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아 이름을 날렸으며 30여 년간 교화에 힘썼다. 그러나 제자는 많이 두지 못했는데 이를 두고 “씨 뿌린 것은 많으나 거둬드릴 곡식이 적다. 이 또한 분수이니 한스러워해 무엇하랴”라는 뜻을 자신의 행장(行狀)에 남기고 있다. 월파대사는 월파집<月波集>을 남겼는데 이 문집에는 시 125편이 전해지고 있다. 힘겹게 오른 신선의 경계 자연풍경 어찌 쉽게 거두랴 언덕머리에 봄 그림자도 사라지고 하늘 끝에는 햇살이 떠 있다 –상원사의 경치 가운데- 동서남북으로 담담히 노니는 나그네 이름난 산 천만 층을 다 밟았다 종일토록 진경 찾아 돌아오는 길 훌
[우리문화신문=전수희 기자] 큰 바다 동해로 끝나고 층층의 봉우리 북극까지 닿다 굽어보는 성 밑 물에는 거울 속 다리를 건너는 사람 -낙민가- 조용히 푸른 산 마주하고 앉으니 산은 백발이 왔다고 싫어하나 바위 앞 한 떨기 꽃은 나를 위로해 늦봄에 피었구나 –괴정에서 우연히 읊다- 천경대사(天鏡大師, 1691~1770)는 이름이 해원(海源)이고, 호는 함월(涵月)이다. 속성은 이씨이며 이태조의 고조인 목조의 후손이다. 어머니 조 씨가 꿈에 바닷물을 긷다가 큰 물고기를 얻어 대사를 잉태했다는 이야기가 전하며 이름 해원(海源)은 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세 살 때 어머니를 여의고 14살 때 도창사(道昌寺)에서 석단(釋丹)스님에게 출가한 뒤, 능허영지(凌虛英智)대사에게 구족계를 받았다. 그 뒤 환성(喚醒)화상에게 귀의하여 6년을 모시면서 득도하였다. 평소의 마음가짐은 사람들이 친함과 관계없이 주리거나 추위에 떨면 자신이 춥고 배고파도 옷과 밥을 서슴없이 내주어천경대사를 불심(佛心)이라 불렀다. 몸은 구름과 함께 환상계로 왔다가 마음은 달을 따라 어디로 가나 살아오고 죽어감 오직 구름과 달이니 구름 절로 흩어지고 달은 절로 밝아 이는 천경
[우리문화신문=전수희 기자] 오래도록 암자에서 괴로운 생각에 묶였다가 가을바람에 시냇가 나앉다 맑은 노을 두어 쪽이 솔잎 섞여 씹히니 내 앞에 신선 길 있음 비로소 알겠다 늙음에 이미 온갖 병 깊이 얽매이니 때때로 지난날의 먼 나들이 생각나다 도반에 억지로 끌려 가을산 오르니 끝없는 흰구름 무릎 앞에 둘리네 이는 해봉대사(海峯大師,1707~1785)의 ‘을미년 가을 놀이’로 69살 때 지은 시다. 해봉대사의 글은 <호은집> 4권이 전하고 있는데 그는 머리말에 쓰길 ‘누구의 퇴고를 받는다든가 문인들의 수집도 바라지 않는다’ 고 했다. 그만큼 해봉대사의 글쓰기는 누구에게 보이기 위한 것이 아니요, 오로지 자신의 느낌을 붓가는 대로 걸림 없이 쓴 것임을 알 수 있다. 시냇물 입가심, 정신도 맑고 잣잎따서 요기하니 기운이 평안하다 세상에 만족함 아는 것보다 더한 것 없으니 어찌 명예나 이욕으로 남은 해 마치랴 -‘무진년 9월 9일 대견사 옛터에 올라’ 4수 가운데 1수- 욕심 없는 해봉대사의 맑고 투명한 삶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홍류동 바위에 고운의 시가 천년 가야산 전각에 해봉의 진영이 한 폭 시와 진영 무엇이 오래이고 무엇이 짧은가 신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