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올봄에는 비가 많이 와서 6월 말까지 서늘한 봄이 지속되다 7월 들어 여름이 시작되는 모양새이다. 이제 시작된 장마가 지나면 불볕더위의 여름이 예상되는데 이런 여름에 마스크를 쓴 상태에서 불볕더위를 맞이한다면 힘겨운 여름이 될 것이다. 여름에 더위를 몸이 견디지 못할 때 “더위를 먹었다”라고 하고 질병명으로는 ‘일사병’과 ‘열사병’이 있다. 1. 더위를 먹었을 때 생기는 증상들 일사병은 더운 공기와 강한 햇볕을 받고서 우리 몸이 체온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생기는 병이다. 땀이 많이 나다가 가슴이 답답해지고 어지럽다가 이러한 상황이 조절이 안 되면 두통, 피로, 무기력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여기까지는 적절한 외부의 온도조절, 시원한 물이나 이온음료 등을 마시면 회복할 수 있는 수준인데, 더 심각해지면 근육통, 저혈압, 빈맥(맥박의 횟수가 정상보다 많은 경우), 실신, 정신이상 등 특이증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 더위를 먹었을 때 드러나는 증상 ① 평소보다 더워하거나 땀을 지나치게 흘린다. ② 가슴이 답답하거나 갈증이 난다. ③ 기운이 달리고 움직이기 싫다 ④ 입맛이 없어지거나 속이 메스껍다. ⑤정신이 맑지 않고 머리가 아프다
[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우리 몸에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생리 작용 중 하나로 발한(發汗)이 있다. 곧 필요할 때 땀을 배출함으로써 체온을 유지하고 나아가서 생명을 유지하는 것이다. 곧 땀이란 남는 체열을 방출하여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어서 대부분 땀은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땀 또한 과할 때는 문제가 된다. 땀이 지나치게 배출되는 다한증(多汗症)에는, 덥지 않은 상황에서도 땀이 방출되는 자한증(自汗症)과 자는 중에 과도한 땀의 방출이 이루어지는 도한증(盜汗症)이 있다. 이렇듯 땀이란 체온조절을 위한 ‘적극적인 발한’과 체온조절을 못 하면서 드러나는 ‘이상 발한’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독특한 땀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식즉면한(食卽面汗)의 안면 다한증’이다. 곧 밥을 먹으면 얼굴에 땀이 나고 콧물이 나는 증상으로 불편하기도 하고, 지인들과 식사를 하다 보면 민망하기도 하다. 그러나 식후에 드러나는 땀은 대부분 바람직하고 적극적인 생리현상으로 반가운 현상이다. 곧 비염으로 고생하는 분들이 식후에 얼굴에 땀이 나고 콧물이 난다면 코를 한번 풀면 비염 증상이 현격히 개선되고, 피곤하고 머리가 무겁
[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한의사의 삶을 살아가다 보면 건강에 대하여 항상 귀를 열어놓게 된다. 그러다 보면 건강에 대한 고민이 어느 순간 해결되고 때로는 새로운 고민이 생겨나곤 한다. 이렇게 건강을 생각할 때 한의학의 기본적인 이론을 토대로 기준을 명확하게 설정하면 혼란 없이 꾸준한 방향성을 가지게 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인 건강한 삶을 위한 ‘바른 생활’을 환자들에게 말할 때 ‘우리들의 몸은 아직 원시인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라고하는 전제를 두고 있다. 이러한 전제의 큰 줄기는 먹고 자고 활동하는 것에 대한 원칙의 기준을 잡아주고 방향성을 제시해주기 때문에 여타의 주장이나 논란에 휩쓸리지 않고 바른길로 갈 수 있는 나침판이 되어 준다. 한의원 진료할 때나 환자들에게 운동을 추천할 때도 ‘원시인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라는 전제에 따라, 맨발로 걷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잠잘 때는 일찍 자는 것을 끊임없이 권하고 있다. 특히 먹는 것에 대해서는 신생아에서부터 영유아에 이르는 과정에서는 치아 발달에 따라 단계적으로 식사하도록 권하고, 저녁 식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원시인의 유전자의 개념은 한의대에 입학했을 당시의 생물학(지금은 생명공학)과
[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아이의 건강을 얘기할 때 잘 먹고 잘 자고 잘 노는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란다고 무심히 말하게 되는데 이때 “잘”이란 단어는 곱씹으면 씹을수록 오묘한 말이라는 생각이 든다. ‘밥을 잘 먹는 아이가 건강하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상식이고 사실인데, 너무나 쉬울 것 같은 잘 먹는 것이 누구에는 무척 어려운 일인 경우가 있다. 그리고 ‘잘 먹는다는 것’이 ‘많이 먹는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선입관 때문에 오히려 식사에 부담을 주는 경우가 많다. ‘잘 먹는다’라는 말의 가장 단편적이고 우선적인 이미지로 ‘많이 먹는 모습’을 떠 올리게 되는데, ‘잘 먹는다’라는 말을 곱씹어 보면 많이 먹는 모습과는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곧 ‘잘 먹는다’라는 말에 몇 가지 모습이 있는데 첫째로는 때가 되면 배고픔이 느껴져 먹는 것이다. 흔히 만화에서 표현하는 것처럼 배에서 꼬르륵거리는 소리가 나거나 위장에서 보내는 신호, 입에서 군침이 고이는 모습 등이다. 이러한 상태의 반대 모습은 배가 전혀 고프지 않은데 때가 되었다고 억지로 먹는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둘째로는 음식을 먹을 때 오래 씹어 먹는 모습것이다. 특히 음식을 먹을 때 씹는 행위
[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어린아이들의 똥 누는 형태 중에 특별히 병이 아닌 것 같지만 ‘식즉변’이라는 상태가 있다. 곧 밥만 먹으면 변의가 느껴져 곧바로 화장실을 가고, 어떤 때는 밥을 먹다가 도중에 똥을 누러 가는 것이다. 밥을 먹다 화장실을 가는 것은 생리현상이니 뭐라 나무랄 수도 없지만 본인에게나 주위사람에게 밥맛을 떨어뜨리게 되므로 그냥 놔두기도 어정쩡하다. 1. 위대장 반사라는 생리작용 이러한 식즉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소화기 장관의 특성과 우리 몸의 대소변의 목적과 인간의 리듬을 알아야 한다. 기본적으로 소화기 장관의 운동은 평상시의 모습과 음식을 먹었을 때의 두 가지 모습이 있다. 음식을 먹지 않은 평상시에는 위장을 중심으로 자신의 존재를 유지할 정도의 운동을 하는데 1분에 5~8회 정도의 연동운동이다. 이는 자동차 공회전과 같은데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 상태에서는 일정한 운동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자신의 리듬에 따라 이렇게 1분에 5~8회 운동을 해야만 하지만, 만일 일정한 리듬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태가 발생하면 생명을 유지하는데 비상등이 켜진 상태가 되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증상이 드러난다. 가장 기본적인 먹고자
[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요즘 같은 시기에 열이 나거나 기침을 하게 되면 스스로는 주위를 신경 쓰게 된다. 타인에게 증상이 보이면 한번 돌아보고 될 수 있으면 거리를 두려 한다. 더구나 아이가 기침하면 가슴이 철렁하게 되고 그것도 얕은 기침도 아니고 얼굴이 빨개지도록 기침하는 아이를 보면 속상하고 겁이 난다. 감기, 또는 코로나에 걸렸나 싶어서 진료를 보면 기관지 천식이라는 진단을 받기도 한다. 천식이라는 말에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이 겁부터 난다고 한다. 천식이라는 질병은 폭넓게 보면 기관지가 좁아진 상태이고, 세부적으로 보면 기관지를 구성하는 연골링이 위축되어 좁아진 상태이다. 따라서 어린이들에게 연골링이 위축되는 때는 없으므로 진정한 의미의 천식은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어린이 천식 환자들을 종종 접하게 되는데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눠볼 수 있고 천식에 준하는 치료를 하게 된다. 첫 번째 어린이 천식의 유형은 코에서 출발하여 기관지까지 이르는 호흡기 통로가 좁은 경우이다. 우리나라 어린이들은 호흡기 통로가 좁게 태어나 만7~8살 무렵에 정상적인 크기를 확보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상대적으로 더 좁게 태어난 아이들의 경우 호흡기 통로가 조금만
[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성장이란 기본적으로 잘 먹고, 잘 자고, 열심히 활동 하는 중에 이루어지는 결과물이다. 현재 어린이 세대와 부모 세대, 할아버지의 세대를 비교해 보았을 때, 먹는 것에 대해서는 비약적인 개선과 증진이 이루어졌지만 자는 것에 대해서는 후퇴가 발생하였고 잘 노는 것(운동 포함)에 대해서는 개인차가 심하게 발생하였다. 건강과 온전한 성장을 위해서는 먼저 기본을 잘 지켜야 한다. 곧 잘 먹는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하고, 잘 먹을 수 있는 아이가 되도록 도와주면 된다. 또한 잘 자는 것의 기반이 되는, 일찍 자는 것이 왜 필수 요소인지에 관해서 이해하고 확고한 의지로 실천해야 하며, 건강한 성장을 위해 운동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바른 생활을 하는데도 아이의 성장이 부진하거나 불균형의 요소가 발생 되었다면 한의사와 함께 원인을 찾아보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다 보면 성장이라는 과정이 인간의 완성 과정이라는 것을 알아차리게 될 것이다. ① 대장환경의 도움으로 뼈 성장의 재료를 채운다. 과거에는 먹지 못해서 못 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요즘에는 먹는 것이 부실해서 재료가 부족한 경우는 많지 않다. 뼈를 기준으로 한 ‘재료’를 좌
[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태어나서 자라는 모습을 우리는 성장이라 하며 먼저 외형의 키가 크는 것을 첫 번째로 본다. 최근 성장이 부진한 경우 성장판 검사와 성장호르몬 검사를 통하여 성장치를 예측하고 부족함을 채우려는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아이들의 성장을 도와주는데 애로 사항은 ‘비교 대상이 없다’라는 것이다. 곧 어떤 아이가 한의원을 방문하였을 때 다른 또래들에 비하여 키가 작아서 왔는데 본인은 정상적으로 키가 쑥쑥 컸는데도 키가 작은지, 어떠한 연유로 키가 크지 않았는지를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부모는 아이가 평균보다 크기를 원하지만 현실은 안 크는 것인지 못 크는 것인지를 모른다. 그러면 한의사는 어떠한 근거를 가지고 아이의 성장을 바라볼까? 크게 보면 2가지 근거로 성장을 도와주고 있다. 하나는 ‘성장이란 아이가 잘 먹고, 잘 자고, 잘 논(운동 포함) 결과물’이라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아이의 상태를 살펴보아 먹고, 자고, 노는 것에 미진함이 있는지를 살펴 도와주는 것이 하나이다. 다른 하나는 ‘성장이란 완성의 과정’이며 완성은 균형과 조화를 동반한다는 관점이다. 곧 성장의 과정 중에 ‘불균형’으로 드러날 수 있는 요소와 ‘부조화’로 드러
[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이 세상의 모든 동식물과 인간은 왜 태어났고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와 같은 고차원적인 의문을 지닌 채 살아가는 한편, 존재하기 위하여 치열하게 노력한다. 이는 생명체의 특징이 아니라 모든 존재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데 작게는 가정이나 회사, 넓게는 국가와 지구라는 유무형의 모든 존재가 이를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인간이 존재를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행위를 하고 이를 위한 의식적, 무의식적 행동과 각인이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가장 핵심적인 요인은 먹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생존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0순위의 행위를 숨을 쉬는 것, 잠을 자는 것, 먹는 것이라고 할 때, 인간이 의식, 무의식적으로 치열하게 갈구하는 행위가 먹기 위한 노력이다. 이러한 노력은 인간의 구조와 성장 과정에서도 드러나는데 인간의 오장육부의 절반 이상이 먹기 위한 구조이며, 인간의 성장 과정이 소화기능을 완성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성장과 완성은 치아 발달과 같이 이루어진다. 우리가 보편적으로 의미를 공유하는 고사성어(故事成語) 가운데 환골탈태(換骨奪胎)라는 것이 있다. 뼈대를 바꿔 끼고 태(胎)를 빼앗는다는 뜻으로
[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최근 호흡기 감염질환으로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리고 전 국민, 전 세계인들이 예방을 위한 사회적 노력을 하고 있다. 코로나 이전의 호흡기 질환 대부분은 감기와 비염, 천식 등이 차지하고 있었으나 우리가 흔히 말하는 폐의 대표적인 질환으로 폐병은 폐결핵을 의미하였다. 대부분의 사람이 우리나라에서 결핵이 더는 문제가 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고 실제로 많이 줄었지만 부끄럽게도 사정은 그렇지 않다. 1995년에 실시한 결핵 실태조사에 따르면 폐결핵의 발병률은 1.0%로, 우리나라 국민 100명당 1명꼴로 폐결핵을 앓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 성인의 경우 대개 어릴 때 결핵균에 한 번쯤은 감염되어 약하게 앓고 지나가기 때문에 면역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몸이 약해지거나, 과로, 수면 부족, 면역이 떨어지면 몸에 잠재해 있던 결핵균이 다시 활동을 시작하여 결핵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결핵을 앓고 완치 판정을 받은 경우에도 재발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재발이 아니어도 결핵의 후유증으로 삶의 질이 떨어진 분들이 많이 있다. 폐결핵(肺結核)은 ‘마이코박테리움 투버큘로시스’라는 결핵균에 의해 공기로 전염되는 질환이다. 결핵은 호흡기 분비물로 옮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