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 월미공원사업소는 이용객 편의를 위해 양진당 전통의상 체험 진행을 자원봉사자에서 전문도우미로 개선한다고 밝혔다. 그동안은 자원봉사자로 운영되면서 이용객이 많은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오히려 이용이 어려웠던 것을 이번에 전통의상 체험 도우미를 직접 채용해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게 개선한 것이다. 우리 고유의 전통한복 입어보기 체험은 월미공원 내 양진당, 월미문화관(전통문화체험실, 궁중문화체험실)등 3곳에서 성인용 한복 32벌, 유치원생용 5벌을 준비하고 공원 이용객들에게 무료로 실시하고 있다. 월미공원사업소 관계자는 "이번 월미공원 내 한복 입어보기 무료체험을 통해 우리 전통문화와 인천의 월미공원을 홍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겠다."며 "월미공원 내 전통정원, 전망대를 둘러보고, 가족 간, 연인 간에 소중한 추억을 만들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월미공원은 이용객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지난해에는 국내외 관광객 230만 명(내국인 210만 명 외국인20만 명)이 방문한 바 있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고려가사 『정석가(鄭石歌)』에는 ‘무쇠로 철릭을 마라나난’이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싸움에 나가는 남편을 위해 철릭을 마름질하고 바느질한다는 내용입니다. 철릭은 고려 말에 원나라에서 전래된 옷으로 상의와 하의를 따로 재단하여 허리 부분에서 주름을 잡아 연결한 남자의 겉옷[袍]입니다. 몽고족이 입던 여러 형태의 옷 가운데 하나로 유목과 기마생활에 의해 형성된 것입니다. 문헌에서는 ‘天翼(천익)’, ‘帖裏(첩리)’, ‘帖裡(첩리)’ 등 다양한 한자로 나타납니다. 원래는 관리들이 나라가 위태로울 때 또는 왕의 궁궐 밖 거동을 호위할 때 착용하는 융복(戎服)이었으나, 점차 일상적으로 입는 평상복이 되었습니다. 철릭은 시대에 따라 상의와 하의의 비율, 주름을 처리하는 방법, 소매의 모양에 변화가 있었습니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상의와 하의의 비율이 1:1로 거의 같았으나 후기로 갈수록 하의 부분이 길어집니다. 또 임진왜란 이후에는 소매 폭이 점차 넓어지고 촘촘했던 허리 주름의 간격이 넓어졌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철릭의 제작 시기를 구분합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철릭은 조선시대 초기의 대표적인 형태와 무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실용과 맵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춘천박물관은 오는 10월 30일까지 중국 산둥박물관과의 교류 특별전 “중화복식예술전(中華服飾藝術展)”을 열고 있다. 국립춘천박물관과 중국 산둥박물관은 2014년 12월 학술・문화 교류 협정을 체결하고 두 박물관의 교류를 시작했다. 그 첫 번째 협력 사업이 교류 특별전인 “중화복식예술전”이다. 이번 전시에는 중국 산둥박물관 소장 명ㆍ청대 옷과 신발, 자수품, 장신구 등 54점이 새롭게 단장한 국립춘천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선보인다. “중화복식예술전”에서는 중국 산둥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복식을 전시하여 명(明, 1358-1644) · 청(淸, 1636~1911) 시대와 민국(民國, 1912~1949) 시대 복식의 유행, 발전, 변천을 소개한다. 전시는 모두 5부로 구성된다. 1 ~ 4부는 중국 산둥박물관 소장 복식 문화재, 5부는 명청 복식을 좀 더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국 소장 중국 문화재로 꾸몄다. 특히 1부는 고상하고 우아한 명대의 예복, 2부는 간편하고 편리한 대의 예복 , 3부는 만주족과 한족(漢族)의 전통이 조화를 이룬 청대의 민간 복식, 4부는 행복을 바라는 상서로운 문양이 들어간 장식품을 소개한다. 명대
[우리문화신문=전수희 기자] 요즈음 경복궁 주변이라든지 인사동 거리에 다니다 보면 한복을 입은 젊은이들을 자주 만나게 된다. 더러는 한복을 갖춰 입은 남녀 커플도 보이고, 엄마와 딸의 모습 또는 무리지어 예쁜 한복을 입은 또래 친구들의 모습도 눈에 띈다. 기자는 도심 길거리에서 마주치는 한복 입은 사람들을 보고는 대관절 어디서 한복을 빌려 입은 걸까? 하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결코 자신의 소유는 아닐 듯싶어서였다. 그런데 며칠 전 드디어 한복을 빌려 주는 한 인사동 가게를 알게 되었다. 무작정 들어가 보니 바로 젊은이들이 한복을 빌려 입는 옷집 가운데 하나였다. 그리 크지는 않지만 아담한 한복집 안에는 색색깔의 한복이 깔끔하게 걸려있었다. 한복집 입구의 간판에는 ‘한복대여, 우리는 한복입고 논다. 한복을 즐기다’ 라는 글귀가 있었고 한복입고 고궁 무료입장, 한복입고 한옥마을 놀러 가기, 한복입고 친구들과 예쁜 사진, 추억 만들기, SNS에 한복 입은 사진 자랑하기’ 따위의 흥미로운 프로그램이 소개되어 있다. 한복 대여점인 ‘우리美’ 대표는 “8월 24일 일본 NHK에서 우리집 촬영이 예정되어 있다. 요즈음 눈살 찌푸리는 퓨전한복도 많이 보이는데 우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광주광역시 동구에 한복을 직접 입어보고 전통놀이도 체험할 수 있는 한복체험관이 문을 열어 눈길을 끌고 있다. 한복입기 대중화를 위해 한복소공인특화지원센터가 최근 개소해 운영 중인 한복체험관이 그 곳. 한복체험관에는 전통한복과 현대한복 등 다양한 한복을 직접 입어볼 수 있는 것은 물론 입는 방법을 배우고 '트릭아트 포토존'에서 재미있는 포즈로 사진도 찍어볼 수 있다. 더불어 전통소품 만들기와 제기차기, 윷놀이, 공기놀이 등을 즐길 수 있는 '전통놀이마당'이 마련돼 있다. 한복체험관은 한복소공인특화지원센터(동구 금남로239 한국투자신탁증권 3층) 안에 있으며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문을 연다. 동구 관계자는 한복체험관이 광주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찾는 국내외 관광객과 시민들에게 한국의 미를 알리고 한복의 아름다움을 직접 체험해보는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한복체험관을 비롯해 다양한 전통문화예술 프로그램을 통해 유익한 교육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데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6월 개소한 한복 소공인특화지원센터는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한국문화센터 사당지부는 2016년 원숭이해를 맞아 다양한 색상과 문양의 양말을 활용한 양말 인형 만들기 일일특강을 진행한다. 양말 하나로 머리부터 발끝까지 하나의 인형을 만들 수 있는 양말 인형 공예는 초보자도 쉽게 배우고 몇 시간 안에 완성할 수 있어 손바느질을 체험할 수 있는 좋은 종목이다. 수업내용은 기본적인 바느질 방법과 인형 도안 제작 방법 등을 포함하므로 손재주가 있는 분들은 이를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수강료는 재료비 포함 2만 원이며 매주 화요일에 수시접수, 개인지도로 한국문화센터 사당지부에서 수업을 받을 수 있다. 교육문의는 한국문화센터 사당지부 누리집(www.esadang.co.kr)나 전화(02-593-5551)로 하면 된다. 탐고로 한국문화센터는 2000년 설립되어 전국 100여 개 지부를 가진 전국연합 공예전문 사회교육기관으로 꽃꽂이(플라워디자인), 홈패션(양재), 종이공예, 응용미술, 미용, 조형공예 등 다양한 공예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개강일정이나 정해진 모집인원 없이 수시접수개인지도로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토요일 문의 후 가능
[그린경제/얼레빗=윤지영 기자] 보성군 복내면 유정리에서는 지난 23일 장마철임에도 지역의 대표 특산품인 보성삼베의 원료로 쓰이는 삼(대마)을 수확해 쪄서 껍질을 벗겨 말리는 작업이 한창이다. ▲ 삼 수확 후 껍질 벗겨 말리는 모습(보성군청 제공) 보성삼베는 34월경에 삼 씨앗을 뿌려 6월 중순부터 7월 중순에 수확을 하며 줄기째 삶은 후 껍질 벗기기, 삼 째기, 삼 삼기, 물레 돌리기, 돌 것에 올리기, 베올 나르기, 베 메기, 꾸리 감기, 베 짜기 등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보성삼베는 조선시대부터 보성포라 불릴 만큼 지역의 토산품으로 알려졌고, 지리적 표시 제45호로 등록되어 있으며, 까다로운 전통 삼베 제조기법 그대로 원단을 만들고, 모든 제품을 손으로 직접 가공 생산하여 보성삼베의 브랜드가치를 높여가고 있다.
[그린경제/얼레빗=김영조 기자] 독하고 도도한 여성들을 아는가? 다음에 12만 명이 넘는 회원을 거느린 독하고 도도한 여성들이란 카페, 일명 독도카페(카페지기 샤넬) 회원들이 어제(7월 20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한복, 걷기 행사를 열었다. 이들은 한복과 특별한 인연이 있는 것도 아니고, 카페 활성화를 위해서 택한 것이 한복 자랑하기였고,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한복의 일상화란다. 한복이 국민들의 시선에서 멀어져 가고 있을 때 20~30대의 젊은 여성들이 관심을 가져준다는 것은 얼마나 기쁜 일인가? ▲ 독하고 도도한 여성들 카페에서 준비한 한복을 입고 자랑을 하는 한 중국 여성 ▲ 한복을 입어보려는 시민들과 외국인들이 접수마당에 몰려 있다. 오늘족에는 보통날에도 사랑해주세요라는 펼침막을 세워놓고 한복의 생활화를 주문한다. 많은 사람들은 한복이 입기 불편하고 값이 비싸서 입지 않는다.고 말한다. 하지만 일본 기모노는 한복에 견주면 훨씬 입기 어려운 옷임은 물론 값도 거의 10배가 넘는다. 그래도 일본 가정 대부분 그 비싼 기모노 몇 벌은 가지고 있으며 축제나 행사 때는 물론 평상시도 자주 입고 자랑스럽게 나들이를 한다. 그런 점에서 이제라도 우리의 한복에
[그린경제/얼레빗=이나미 기자] 회원 수 12만 명인 다음 카페 독하고 도도한 여성들(http://cafe.daum.net/zzzzzzaaaasasa) 회원들이 우리 전통 의상 '한복의 상용화'를 위해 자발적으로 뭉쳤다. 잊혀 가는 한복의 소중함을 널리 알리고 '한복은 불편하다'는 인식을 개선하고자 직접 부스를 마련해 시민 참여 행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다음 독하고 도도한 여성들 카페의 한복 행사는 오는 20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서울 청계광장에서 진행된다. 부스를 방문하는 시민 누구나 한복을 직접 입어 볼 수 있다. 부스에는 윷놀이, 투호, 땅 따먹기 등의 전통놀이와 서예를 체험하는 공간도 마련된다. 가족이나 연인, 친구와 함께 방문해 한복을 입어보고, 다양한 체험을 하며 한복과 전통문화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서울 외 지역에 거주하거나 행사 당일 부스를 방문하지 못하는 카페 회원들의 참여도 눈에 띈다. 지난 7일부터 17일까지, 카페 내에서 회원들이 직접 한복을 입고 찍은 사진과 '독도'를 주제로 한 캘리그라피, 시, 그림 등을 응모 받았다. 이중 당첨된 사진과 창작물들이 20일, 청계광장 행사장에 전시될 예정이다.
[그린경제/얼레빗 = 윤지영 기자] 1969년대 그때는 양복보 라는 것이 있었다. 양복이 흔치 않아서였을까? 아내들은 남편의 양복을 잘 보관하기 위해 알뜰한 수를 놓아 보기 좋은 양복보를 만들었다. 대개 춘추복 한 벌, 동복 한 벌이 고작이던 시절 겨울옷 철이면 가을 옷은 얌전히 아내가 한 올 한 올 수놓아 만든 양복보 속에서 편안한 겨울잠을 잤다. ▲ 1969년 작,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에서 찍음 지금은 양복을 맞추거나 산 곳에서 주는 부직포나 비닐로 된 양복보가 흔할뿐더러 양복보에 곱게 모셔둘 만큼 귀한 양복도 없다. 기성복이 흔하다 보니 옷장에는 입지 않는 양복이 넘쳐나는 시대다. 이 양복보는 광목에 자수, 가로 74㎝, 세로 102㎝로 1969년에 만든 것으로 이영자 님이 인천의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에 기증한 것이다. 어머니의 손바느질을 엿볼 수 있는 곳은 인천 수도국달동네박물관 기획 전시실이다. 2014년 4월 30일까지 전시된다. ▲ 어머니의 손바늘질 전시 홍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