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윤지영 기자] 1997년 경기도 양평군 창대리의 변수묘에서 출토된 옷이다. 변수는 공민왕 때 중국에서 노국공주를 따라 들어온 변안렬의 4세손이다. 변수는 세종 29년(1447)에태어나 중종반정(1506년)에 참여 정국공신이 되었으며, 가선대부(종2품)에 올랐고, 원천군으로 책봉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 그의 업적이 자세히 실려있어 유물의 중요성을 더해준다. ▲ 변수묘 출토 요선철릭(김경옥 전통복식연구원장) 제공 철릭(天翼)은 옷옷과아래옷을 따로 지어 허리에서 붙인특이한 형태로 지금의 두루마기 형태의 겉옷인 포의 하나이다. 조선시대 문무관리들이 외국사신으로 파견될 때, 국난을 당할 때, 임금을 궁궐밖에서 호위할 때 입었으며 단령 밑에 입는 받침옷으로 항상 입도록 하였다. 이 철릭 가운데 요선철릭은 허리부분에 여러 겹의 가로로된 바느질 선을 넣은 옷으로 참 아름답다. 복식 재현 : 김경옥 전통복식연구원장 옷감 : 명주, 기법 : 손바느질
[그린경제 = 최미현 기자] 보자기는 물건을 싸기 위해 쓰던 생활 용품이다. 그 이름이나 유래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지만 옛날에는 보(褓)라고 했으며 나중에 보자기(褓子器)로 바뀌어 지금의 보자기가 되었다고 한다. 이 보자기는 홑보라고 하는 한 겹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사(紗)나 모시 등 얇고 청량감이 있는 소재는 주로 여름에 사용되었다. 속이 비치는 소재이므로 시접이 두드러지지 않도록 좁은 시접을 서로 겹쳐서 잇대었다. ▲ 한땀 한땀 정성이 깃든 보자기 (교토 고려미술관 제공) 예전에 보자기는 옷을 싼다거나 반찬을 덮는 등 일상생활에서 폭 넓게 사용하였다. 점, 선, 면, 색채 등이 오늘날 그 어떤 세련된 디자인보다도 아름답게 조화를 이룬 보자기는 용도와 계급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만들었다. 작은 천 조각은 한복조각이나 오래된 옷가지를 활용한 것으로 여성들이 창의력을 발휘하여 아름다운 보자기로 승화시켰다. 지금 옛여인처럼 함초롬히 앉아서 한 땀 한 땀 바느질로 이렇게 아름다운 보자기를 만들 사람은 보기 어렵다. 옛 여인의 정성이 돋보이는 이 보자기는 조선시대 말기 작품으로 5455.3㎝의 작품이다. ▲ 한 땀 한 땀 정성이 깃든 조각보
[그린경제=이한영 기자] 오는 8월 16일부터 매주 토요일 저녁 7시, 동대문 롯데 피트인 5층을 찾으면 누구나 국내 유망 디자이너들의 실험적이면서 실용적인 패션쇼를 볼 수 있게 된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는 (사)한국패션디자이너연합회(회장 이상봉)와 함께 오는 8월 16일부터 내년 1월까지 6개월간 동대문 롯데 피트인 5층 런웨이에서 상설패션쇼를 한다고 밝혔다. 패션쇼도 보고, 한류스타도 만나고, 공연도 보는 1석 3조 패션쇼 디자이너와 함께하는 소소한 사치라는 주제 아래 진행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디자이너 패션의 대중화를 위한 첫 번째 프로젝트로서, 기존의 일부 패션인들을 위한 쇼에서 벗어나 디자이너, 소비자 모두를 위한 패션쇼를 지향한다. 우선 자칫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패션쇼에 한류스타, 인디음악, 비보이 등 동적이고 다양한 예술 공연을 더하여 보는 이의 시선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특히 행사 첫 날인 8월 16일에는 2AM의 슬옹이, 이틀째인 8월 17일에는 달샤벳의 수빈이 모델로 나서 패션쇼의 흥미를 더할 예정이다. 양일 패션쇼에는 국내 실력파 디자이너 브랜드인 슬링스톤(Sling Stone), 이머전시(EMERZENCY), 포스트바이
[그린경제 = 최미현 기자] 노리개는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의 일종으로 저고리의 겉고름에 매달던 꾸미개다. 조선시대 엄격한 유교사상 속에서는 옷차림에 대해서도 제한이 있어 여성들도 혼례 시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름답게 차려 입을 수 없었다. 그러나 노리개는 신분을 불문하고 몸에 지녔으며 소재와 형태는 장생, 벽사, 자손번영을 뜻하는 마음을 나타내면서 다양하게 발전해갔다. ▲ 노리개, 19세기 향갑 노리개 속에는 사향 등을 넣은 향낭이나 휴대용 응급약으로서 향과 약초를 섞은 한충향 등을 넣었다. 투호 노리개는 병속에 화살을 던져 넣는 궁중 놀이인 투호와 관련되어 병 뚜껑을 덮어서 액을 막는다는 뜻이 담겨있다. 호리병 모양의 침낭노리개는 뚜껑과 몸통 부분으로 나위어서 몸통에는 바늘이 녹슬지 않도록 머리카락을 채워 넣었다. 장도노리개는 정조를 지키는 의미가 있다.
[그린경제=윤지영 기자] ▲ 복온공주 활옷 재현(김경옥 전통복식연구원장) 순조임금의 둘째딸인 복온공주((福溫公主, 1818~1832)가 혼례 때 입은 활옷 서민용과는 달리 매우 화려하고 우아하다. 무늬는 연꽃, 모란, 국화, 불로초 따위 무늬가 보인다. 복식 재현 : 김경옥 전통복식연구원장 옷감 : 본견, 기법 : 전통기법
[그린경제=김영조 기자] 자라포(헌천화복식) ▲ 자라포(헌천화복식) 재현 : 김경옥 전통복식연구원장 무동과 여령의 복식에는 검기무(劍器舞), 선유락(船遊樂), 춘앵전(春鶯轉), 공막무(公莫舞), 헌천화(獻天花) 등이 있다. 이 가운데 헌천화(獻天花)는 선녀가 하늘의 꽃을 왕에게 바치는 내용의 춤으로 효명세자가 부왕을 위해 만든 춤이다. 이 자라포(헌천화복식)는 이 헌천화(獻天花)를 출 때 입는 옷이다. 효명세자(1809~1830)조선 제23대 왕 순조의 세자로 순조 27년 이후 약 3년 동안 대리 청정을 하였으며 정재(궁중무용)를 집대성하는 데 큰 공헌을 남겼다. 복식 재현 : 김경옥 전통복식연구원장
[그린경제=김영조 기자] 도포(道袍)는 선비들이 평상시에 입던 겉옷이다. 조선 중기 이후 많이 입었으며, 관리들도 관청에 나아갈 때를 빼고는 사사로이 나들이를 할 때에는 대개 도포를 입었다. 도포의 기원에 대하여 ≪성호사설≫과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는 도교나 불교에서 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남당초고 南塘草稿≫에서는 관복인 직령공복을 일상복으로 할 수 없어 그것을 본떠 약간 변경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고구려의 포가 고려의 백저포가 되었고, 백저포는 명나라 제도의 영향을 받아 조선의 직령포가 되었으며, 직령포는 다시 도포로 변하였다고 보기도 한다. ▲ 조선시대 선비들이 나들이 할 때 입었던 겉옷 ≪선조실록≫에 이홍망(李弘望)이 초록겹도포를 입었다는 내용이 도포 입기에 관한 맨 처음 기록이다. 또 ≪효종실록≫에는 도포를 입는 제도를 임진왜란 이후부터라고 하였다. 또 ≪순조실록≫의 기록을 보면 옛날에는 사대부의 편복으로 직령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근세에는 도포를 많이 사용한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순조 이후에는 도포가 직령 대신 일반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포는 원래 양반만 입도록 하였으나 조선 말기에는 백성들도 도포를 입었다. 도포의 깃섶고름
[그린경제=김영조 기자] 궁중에서 잔치가 있을 때 비빈이 입었던 예복. 후에 민가에서도 녹원삼을 입었으나 금박을 핮하지않았으며, 소매에 색동 길이 많아 궁중 원삼과 구별이 된다. (김경옥 전통복식연구원장 제공) ▲ 직금녹원삼
[그린경제=윤지영 기자] 여름철 에너지절약 및 업무효율 향상을 위한 반바지 등 시원차림 에 대한 스타일링 방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패션쇼와 실내외 시원차림 착용시 유의사항 교육 프로그램과 패션쇼, 적정 실내온도(26~28℃) 유지를 위한 1인 1부채 만들기 등의 시민 참여 프로그램을 7월 5일(금) 서울시청 활짝라운지에서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는 여름철 멋지고 시원하게 입을 수 있는 센스있는 시원차림에 대한 교육과 패션쇼가 열린다. ▷시원차림 교육(16:30~17:10) 박연주(사단법인 한국패션디자이너연합회 사무국장) ․ 2013년 패션트렌드를 통해 본 시원차림의 스타일링 방법 ․ 실내외 시원차림 착용시 유의사항 등 ▷박원순 시장 인사 및 시원차림 패션쇼(17:10~17:30) ․ 시민모델과 시직원 모델, 총 15명이 참여 ․ 오피스룩과 스쿨룩, 레저룩 등 다양한 시원차림 맵시 선보여 이밖에도 생활 속 소음 등을 재미있는 퍼포먼스로 표현하는 부추라마팀의 환경공연 등이 준비되어 있다. 참가자들에게는 선착순으로 이상봉 디자이너와 정고암 새김예술가가 재능기부한 디자인으로 제작된 부채를 1,000명에게제공한다. 문의:
[그린경제=김영조 기자] 백관들의 근무복이었으나 백성들의 혼례복으로도 허용되었으며, 요즘도 전통혼례에서 신랑이 사모에 청단령을 입는다. (김경옥 전통복식연구원장 제공) ▲ 청단령에 쓰는 사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