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신문 = 이윤옥] 아버지! 저희들과 이승에서의 인연의 끈을 놓은 지도 벌서 7년 가까이 되는 세월이 흘렀습니다. 저는 요즈음 아버지의 파란만장하셨던 일생의 삶을 작은 책으로 만들고자 남기고 가신 여러 자료들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체취가 느껴지는 유품을 일일이 다시 보면서 특히 젊은 시절 고향에 계실 때 사진이 남아 있지 않아서 아쉬운 마음이 듭니다. 그 당시 영양의 작은 산골에 사진기 있는 집이 있기는 과연 있었을까 하고 스스로 위안을 해봅니다. 하늘에 계신 아버지, 누구에게든 밤새워 자랑할 수 있을 만큼 떳떳하게 살아오신 훌륭한 아버님 유독 추운 겨울날이 되면 더욱 뵙고 싶은 아버지께 이렇게 편지로 인사를 드려 봅니다. 저의 기억 속에 당신께서는 언제나 자신과 가정보다는 국가를 먼저 생각하신 분이셨습니다. ▲ 독립기념관_본인 활동사진 앞에서 박종길 애국지사 당신께서는 젊은 시절 스무 살도 채 안되었을 때 내선일체를 강요하던 보통학교의 일본인 교관을 구타한 죄로 일경에 붙잡혀 고문과 갖은 고초를 겪으시고 그리고 일본군에 강제로 징집되어 머나먼 중국 땅으로 끌려가셨지만 애국과 독립정신으로 단단히 뭉쳐진 당신은 호남성 형양에서 일본군
[한국문화신문 = 정석현 기자]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다'라는 역사가 카(Edward Hallet Carr)의 말처럼 우리 역사 속의 인물과의 대화를 통해 한국의 역사와 인문정신문화를 바로 알고자 국회에서 준비한 국회 인문학 아카데미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 다시 시작된다. 이번에 진행되는 국회 인문학 아카데미 2코스 '한국의 개혁가에게 번뇌와 지혜를 듣다'에서는 역사 속에서 변혁과 변화를 만든 사람들의 번뇌와 고민 그리고 지혜를 배워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강연을 통해 만나볼 한국의 개혁가는 정도전을 시작으로 조광조, 김육, 유형원, 채제공, 박제가 등 6인으로 그들이 바라보았던 조선의 현실과 동시에 그들이 꿈꾸었던 이상세계를 알아보는 배움의 장을 열어보고자 한다. 첫 강좌 '정도전, 백성이 주인인 나라'에서는 건국의 이상향을 담고 있는 '조선경국전'을 중심으로 정도전의 고민 즉, 조선이란 정치공동체를 어떻게 만들어 가려고 했으며 그 시대의 정국운영 및 정치적 당면과제에 대한 인식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게 된다. 이번 과정에는 김영수 영남대학교 교수, 이배용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등 한국학 전문가들이 명강사 강연과 파노라마 강연 등으로 국
[한국문화신문 = 양인선 기자] 학살의 현장은 언제나 붉은 핏기운이 흐르고 억울하게 죽어간 영혼의 구슬픈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일제에 의해 저질러진 경기도 화성시 제암리교회 학살사건의 현장은 그래서 언제 봐도 가슴이 쓰라리고 아프다. 어제 3.1절을 맞아 화성시(시장 채인석)는제암리 학살 소식을 세계 만방에 전한 스코필드 박사를 기리기 위해스코필드 박사 동상제막식을 제암리에서 가졌다. ▲ 스코필드 박사 동상 캐나다 의사출신인 스코필드(한국명 석호필)박사 동상은 화성시가 제96주년 31절을 맞아스코필드 박사의 높은 뜻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스코필드 박사는 1919년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과 함께 34번째 민족대표로 불릴 만큼 조선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분이다. ▲ 동상 제막식 행사 스코필드 박사는 1959년 대한민국으로 영구 귀국해 보육원 후원과 흥국 직업학교를 돕는 등 사회봉사 활동에 헌신해 대한민국 문화훈장ㆍ건국공로훈장을 받았으며 1970년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묘역에 안장된 유일한 외국인이다. 화성시는 그동안 스코필드 박사의 넋을 기리고 제암리 사건을 재조명하기 위해 지난해 6월 문화재청의 승인을 받아 화성시, 국가보훈처 등의 기금으
[한국문화신문 = 진용옥 명예교수] 지금까지 현대판 1자 눈섶에 흑관홍적의 살꽂이 솔의 도상학적 검토를 했다. 그러나 솔포나 솔판이 오래기간 동안의 역사적 산물이므로 이에 대한 상징적 의미도 살펴야 한다. 동양에서는 활과 살꽂이에는 난생설화와 조류 토템 설화가 내재되어있다. 삼족오작[三足烏雀]과 주모대왕[주몽]의 전설 고구려 무덤의 씨름 벽화와 5호분 5호묘 벽화에는 세발 달린 검은 새가 나온다. 보통 까마귀로 보아 삼족오라 하지만 머리에 공작처럼 둥글게 말린 볏이 있고 목과 부리가 3가지로 뻗어 나가 있으며 날개가 셋 달린 검은 새이므로. 이런 모습은 까마귀로 보기가 어렵고 주작이나 봉황의 모습에 더 가깝다. 볏은 국가 통치 조직에서 나랏일을 담당하는 직위나 직무를 상징한다. 그러므로 까마귀보다는 삼족오작이라 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현대 살받이 솔의 단적홍심은 일장기보다는 태양의 문양이고 이는 동원 동이족의 태양숭배 사상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특히 고구려에서는 삼족오작이 들어 있는 태양이 다른 지역과 다른 게 특이한 구조의 표상을 하고 있다. 대륙과 반도의 동원에 살고 있던 민족 신화에는 삼족오작이 태양의 흑점 구도와 연계되고 동원동이족 신궁의
[한국문화신문 = 정석현 기자] 어제 25일 오후 1시 30분부터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통일의 길, 한국여성독립운동에서 찾다' 라는 주제로 대토론회가 열었다. 500명 수용의 대회의실을 가득 메운 청중들의 열기는 그간 알려지지 않은 여성독립운동가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그대로 보여주는 뜻깊은 행사였다. 이번 심포지움은 국회의원 황인자 의원과 국가보훈처가 주최한 행사로 개회식은 황인자 의원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시작 되었다. 황 의원은 박화성 작가의 말을 빌려 값진 보석은 때의 고금이나 세계의 동서를 막론하고 언제든지 빛나고 귀중하다 면서 그간 알려지지 않은 여성독립운동가를 보석에 견주어 개회사를 했고 이어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최고위원의 축사와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의 환영사가 있었다. ▲ 통일의 길, 한국여성독립운동에서 찾다 대토론회 모습 1 ▲ 통일의 길, 한국여성독립운동에서 찾다 대토론회 모습 ▲ 개회사를 하는 황인자 국회의원, 축사를 하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환영사를 하는 박승춘 국가보훈처장, 기조강연을 하는 이배용 한국학중앙연구원장(왼쪽부터) 인사말씀이 끝난 다음 이배용 한국학중앙연구원장의 통일의 길, 한국여성독립운동가에서 찾다라는 주제
[한국문화신문 = 전수희 기자]올해는 광복 70년, 분단 70년을 맞는 해이다. 기미년 만세운동으로부터는 96돌을 맞는 해이기도 하다.이러한 뜻 깊은 해에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는 2월 25일(수) 오후 1시 30분부터 '통일의 길, 한국여성독립운동에서 찾다' 라는 주제로 대토론회를 연다. 국회의원 황인자 의원과 국가보훈처 주최로 열리는 이번 대토론회는 교육부,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한국여성사학회, 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 등 많은 기관이 후원 한다. 토론회의 좌장은 박용옥 성신여대명예교수가 맡으며 심옥주(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장), 신영숙(이화여대 이화사학연구소 연구원), 윤정란(서강대 종교연구소 연구원, 이방원(한국사회복지역사문화연구소장), 이윤옥(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 김정아(국가보훈처 전문관), 오일환(보훈교육연구원장)이 전문가 패널로 참여한다. 또한, 김채운,나한석(경신고), 주윤희,현지윤,박은빈(덕성여대), 최소연(세화여중), 황유진(춘천여고), 이예지(정신여고), 김동근(경희대) 학생이 청소년 패널로 참여하여 여성독립운동가에 대한 토론을 나눈다. 그간 남성에 견주어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조명을 받지 못했던 여성독립운동가에 관한 심도 있는 뜻 깊
[우리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벼룩이자리꽃”이라고 하면 “무슨 꽃?” 이라고 반문할 사람이 많을 것 같다. 사전에서는 ‘한해살이풀’이라고 풀이하고 있는 이 풀(꽃)은 피어있는 모습이 앙증맞고 매우 귀엽다. 이 꽃을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석죽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0~25cm 정도이고 가늘며, 뿌리에서 뭉쳐나고 잘게 여러 갈래로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달걀 모양이다. 4~5월에 흰색 오판화(五瓣花)가 취산(聚繖) 화서로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밭이나 들에 나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일본말에서 유래한다는 말도 없을뿐더러 실물을 보지 않고 국립국어원의 사전풀이를 읽어 보면 언뜻 무슨 풀(꽃) 인지 상상이 가질 않는다. 특히 “오판화(五瓣花)”니, “취산(聚繖)화서”니, 열매가 “삭과(蒴果)”로 맺는다느니 하는 말들은 어른이 봐도 무슨 소리인지 모를 정도로 어렵다. 하물며 아이들이 이 사전을 본다면 어떠할까? ▲ 일본말 '벼룩이자리'라는 이름 말고 어여쁜 우리말 이름은 없을까?("이명호의 야생화" 누리집 제공) 식물의 이름과 그것을
[한국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아직 추운 겨울이지만 한라산에서는 복수초가 피어났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2월 18일치 <온라인한라일보>에 “최근 제주시 절물자연휴양림에 '봄의 전령사'인 복수초가 노랗게 하나 둘씩 피어 방문객을 반기고 있다. 새봄을 알리는 복수초는 '얼음새꽃' '설연화' '원일초' 등의 아름다운 이름을 가지고 있다. 복과 장수를 의미하는 한자어로 구성된 복수초의 꽃말은 '영원한 행복' '슬픈 추억'이다. ”라며 복수초 소식을 전하고 있다. 이름만 들어서는 무슨 원한 관계에 있는 꽃인가 싶지만 여기서 말하는 복수초(福寿草)는 복수(復讐)와는 전혀 다른 꽃이다. 노란 햇병아리 같은 어여쁜 꽃 이름이 왜 하필 복수초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복수초(福寿草, フクジュソウ, 후쿠쥬소-)란 이름은 일본에서 부르는 이름을 한자말로 우리가 따다 부르는 것이다. ▲ 눈을 뚫고 올라와 핀 얼음새꽃(국립공원관리공단 제공)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사람은 없다.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복수초” 풀이가 있지만 어디에고 꽃이름의 유래는 없다. 풀이를 보자.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5~3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세
[한국문화신문 = 진용옥 명예교수] 1702년(숙종28) 제주목사 겸 병마수군절제사 이형상이 관내 순시와 한 해 동안 거행했던 행사 장면을 제주목 화공 김남길로 하여금 40폭의 채색도로 그리게 한 화첩이다. 매 화폭의 아래에 간결한 설명을 적고, 호연금서(19번)라는 이름의 그림 한 폭을 곁들여 총 41폭이다.당시 제주 관아, 성읍, 군사 등의 시설과 지형, 풍물 등을 기록화로 남겼으며 유일하게 현존하고 있다. (보물 652-6호) 탐라순력도 14번 째 그림에는 2종 3개의 살꽂이 솔이 있다. 1자눈섶과 훅관정곡의 살꽂이소을 두 개가 있는 데 1자 논섶은 숫자로 기재되어 있다/ 이로선 1자 눈썹은 살꽂이 소의 개수구분 기호임을 알 수 있다. 탐라순력도에서 솔포나 솔판 그림은 제주목에 10군데. 정의현과 대정현에 11군데 등 모두 21곳에서 나온다 아래 그림은 24번째 그림 명월사회(斜會)에 나오는 과녁의 부분도이다. 솔포에 물림대와 조절끈으로 세워져 있으며 일자 눈썹은 태극이괘, 그리고 흑단정곡과 백적벡심으로 되어있다. 눈섶 부분에 왜 태극 이괘가 그려져 있는지는 알 수 없다. 주역에서 남쪽이고 헛개 태양을 상징할 수도 있어 두 개의 태양
[한국문화신문 = 이나미 기자]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조선희)은 2월 17일부터 3월 1일(일)까지 서울에 대한 시민들의 기억을 수집하고 기록하는 '메모리인서울프로젝트' 3기 기억수집가 20여 명을 모집한다. 2013년 시작해 올해 3회를 맞는 '메모리인[人]서울프로젝트'는 서울에 대한 시민들의 다양한 기억을 수집하고 기록해 사장될 수 있는 서울 고유의 미시사적 이야기를 발굴하는 사업이다. 사업 시작 이후 현재까지 846명의 시민이 참여해 1,369개의 일화가 수집되었으며 음성으로 채집된 이 기억들은 현재 메모리인서울프로젝트 누리집과 서울도서관 메모리스튜디오에서 들을 수 있다. 기억수집가들은 녹음장비를 들고 서울 곳곳을 찾아가 시민들을 직접 인터뷰하고 서울에 대한 기억을 채록하게 된다. 또 서울도서관 메모리스튜디오를 거점으로 그동안 수집된 이야기들을 시민들에게 소개하고 즉석에서 기억 제공을 이끌어내는 역할도 맡는다. 기억수집가로 선정되면 10주간의 소양 교육을 거친 후 주제별 실행공동체(COP) 활동 등을 병행하며 11월 말까지 기억수집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2013년부터 50명의 시민들이 기억수집가로 활약해 왔다. 기억수집가 선발은 서류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