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나는 학살 현장인 사할린의 설원에 서게 되면 일본인이 저지른 뿌리 깊은 원죄를 뼈저리게 느낀다. 일본이 양심이 있다면 강제연행한 조선인을 맨 먼저 귀국시켜야 했다. 그런데 일본인만 후송하고 조선인은 내버려둔 것이다. 이렇게 비인간적인 행위가 용서될 수 있을 것인가?” 이는 일본인 하야시에이다이 씨의 격앙된 ‘일본사죄론’이다. 이 말은 비단 사할린에 국한된 이야기만은 아니며 2013년 현재 남아있는 60만 재일조선인과도 깊은 관련이 있는 말이다. 지난 2010년 8월 15일은 광복 65주년이었고 같은 해 8월 29일은 경술국치 100년을 맞았었다. 그래서 우리는 “경술국치 100년, 한일평화를 여는 역사기행” 답사단을 꾸려 조선인들의 강제노동 현장인 기타큐슈의 치쿠호 탄광을 시작으로 시모노세키, 오사카, 교토에 이어 도쿄의 야스쿠니 반대 행사가 있던 히비야공원까지 장장 1,200킬로 거리를 12일에 걸쳐 돌아보았다. 이 글은 그때의 기록이지만 현재의 상황이기도 하다. 올해 68주년 광복을 맞아조선인강제연행 궤적을 쫓아갔던 기록을 10회에 걸쳐 연재한다. -편집자 설명- 답사 마지막 코스인 도쿄 야스쿠니신사(이하 야스쿠니)로 가
[우리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일제강점기 일본의 탄광에서, 비행장 건설현장에서, 군수공장에서 힘겨운 노역을 하던 한국인들은 8월 15일 감격의 해방을 맞아 꿈에도 그리던 고국행 배에 올랐다. 한국인 7,000여 명은 해방되던 1945년 8월 22일 우키시마호(浮島丸)를 타고 일본 북동부의 아오모리현 오미나토항을 출발해 부산항으로 향했다. 그러나 돌연 이 배는 교토 앞바다 마이즈루항으로 기항을 시도했고 1945년 8월 24일 오후 5시20분 ‘우키시마호’는 폭침되고 말았다. 고향땅을 밟기도 전에 승선했던 수많은 조선인들이 불귀의 객이 되고 말았던 것이다. 진실로 참혹한 사건이지만 국내에는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 추모제날 살풀이 춤 (주일한국교육원제공) 당시 승선자 7,000여 명 중 4,000여 명이 교토 마이즈루항 앞바다에 수장 된 지 올해로 68년을 맞이한다. 사건 발생 1주일 만에 우키시마호의 도리우미 함장은 사건전모를 발표하고 조선인 3,735명 중 524명과 일본인 25명을 합해 총 549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승선장부가 없는 상황에서 일본측의 이런 숫자는 무의미한 것으로 아직 이 사건의 정확한 전모는 알 수 없다고
[그린경제=이규봉 교수] 난양은 매우 큰 도시이다. 시내 곳곳에는 높은 빌딩들이 숲을 이루어 있고 아파트도 참 많다. 쉬저우를 출발해 지금까지 보아온 중국은 도시와 농촌 할 것 없이 거의 모든 지역이 개발되고 있었다. 땅은 파헤쳐졌고 건물은 하늘로 치솟고 결과적으로 모든 화장실은 수세식일 수밖에 없다. 시골에서 간간히 보아온 그들의 화장실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지저분했지만 점차 재래식은 사라지고 대부분 수세식으로 바뀔 것이다. 그 많은 사람이 살 집이 모두 수세식으로 바뀐다면 화장실에서만 이용하는 물의 양 조차 엄청나게 많을 것이다. 그 많은 물을 어디서 공급할까? 화학비료의 공급으로 인분의 재활용은 줄어가는데 그 많은 인분을 다시 정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물과 화학물질을 생각하면, 비록 우리나라가 아니라 하더라도 엄청나게 큰 이웃한 나라임을 생각할 때 참으로 걱정되는 일이다. 이념을 초월한 이종인역사박물관 ▲ 배낭 뒤에 자전거 여행의 목적을 알리는 펼침막을 달았다. 난양에서 라오허커우(老河口)까지는 예상보다 훨씬 그 거리가 짧았다. 내가 받아 본 자료에 따르면 도중에 하루를 묵어야 할 정도로 먼 거리였으나 실제 거리는 120킬로미터 정도였다. 차
[우리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나는 학살 현장인 사할린의 설원에 서게 되면 일본인이 저지른 뿌리 깊은 원죄를 뼈저리게 느낀다. 일본이 양심이 있다면 강제연행한 조선인을 맨 먼저 귀국시켜야 했다. 그런데 일본인만 후송하고 조선인은 내버려둔 것이다. 이렇게 비인간적인 행위가 용서될 수 있을 것인가?” 이는 일본인 하야시에이다이 씨의 격앙된 ‘일본사죄론’이다. 이 말은 비단 사할린에 국한된 이야기만은 아니며 2013년 현재 남아있는 60만 재일조선인과도 깊은 관련이 있는 말이다. 지난 2010년 8월 15일은 광복 65주년이었고 같은 해 8월 29일은 경술국치 100년을 맞았었다. 그래서 우리는 “경술국치 100년, 한일평화를 여는 역사기행” 답사단을 꾸려 조선인들의 강제노동 현장인 기타큐슈의 치쿠호 탄광을 시작으로 시모노세키, 오사카, 교토에 이어 도쿄의 야스쿠니 반대 행사가 있던 히비야공원까지 장장 1,200킬로 거리를 12일에 걸쳐 돌아보았다. 이 글은 그때의 기록이지만 현재의 상황이기도 하다. 올해 68주년 광복을 맞아조선인강제연행 궤적을 쫓아갔던 기록을 10회에 걸쳐 연재한다. -편집자 설명- “흰 목련꽃 나무 아래 / 나란히 누워 잠든 그대들 누구인
[그린경제 = 이나미 기자] 100년 편지에 대하여..... 100년 편지는 대한민국임시정부 100년(2019년)을 맞아 쓰는 편지입니다. 내가 안중근의사에게 편지를 쓰거나 내가 김구가 되어 편지를 쓸 수 있습니다. 100년이라는 시간과 공간을 넘나드는 역사와 상상이 조우하고 회동하는 100년 편지는 편지이자 편지로 쓰는 칼럼입니다. 100년 편지는 2010년 4월 13일에 시작해서 2019년 4월 13일까지 계속됩니다. 독자 여러분도 100년 편지에 동참해보시지 않겠습니까? 앞으로 매주 화요일 100년 편지를 소개합니다. -편집자- 문의: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02-3210-0411 나의 동생 조소앙을 그리며, 제65주년 제헌절에 쓴다 -서희경- 소앙, 나의 동생. 맏형 용하(趙鏞夏)다. 너와 나는 한 부모 몸에서 난 형제지만, 또한 평생 뜻을 같이 한 동지이다. 우리만 아니라 남동생 용주용한용원, 여동생 용제도 모두 나라를 위해 몸 바친 동지들이다. 우리가 이름 모를 이역만리를 떠돌며 풍찬노숙할 때, 우리 아버지, 어머니는 얼마나 숱한 밤을 가슴 졸이며 지새웠을까. 저희 불효자들을 용서해 주십시오. 대한민국임시헌장 1919.4.11 이제 얼
[그린경제=이규봉 기자] 1944년 11월 30일 오후 1시 김학규와 함께 남아서 공작대 임무를 수행할 13명의 동지의 전송을 받으며 6명의 여인과 3명의 아이를 포함한 53명은 눈보라가 휘날리는 속에 중경을 향해 린취안을 떠났다. 약간의 식량과 용돈을 갖고 겨울옷도 아닌 여름용 중국군복을 입고 그들은 한파를 뚫고 걸어야 했다. 문제는 이들이 가는 길에 베이핑(北平)과 한커우(漢口)를 연결하는 남북으로 가로지른 평한선이 있다는 것이다. 일본군에 식량을 공급하는 작전상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이 철도를 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철도 못 미쳐 있는 한 마을에 당도했을 때 다행히도 이 마을에는 중국 정규군 1개 사단의 군인들이 모여 있었다. 이들은 일본군에 쫓기고 있는 중이었다. 일본군과 중국군의 암묵적인 타협으로 이들은 일본군의 묵인 아래 철도를 건너려 하는 것이었다. 물론 서로 간에 주고받는 것이 있으리라. 적군과의 타협이라! 후퇴하는 중에도 중국군은 사단장의 가족들과 처첩들을 가마에 태우고 가고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정신상태를 갖고 있으니 일본군에게 안 쫓길 수 있나. 이들 중국군에 섞여 장준하 일행은 평한선을 넘었다. 이때의 긴박한
[그린경제=이규봉 기자]호텔에서 묵었건만 닭 울음소리에 일찍 잠을 깼다. 닭 울음소리를 들을 때마다 시끄럽다는 생각보다는 뭔가 향수에 젖게 된다. 아침을 먹고 출발하기 위해 호텔 주차장으로 갔다. 어제는 해가 떨어진 다음에 호텔에 도착해서 잘 못 보았지만 자전거가 아주 엉망이었다. 어제 공사 중인 비포장도로를 빗속에서 달렸기 때문이다. 주변을 살펴보니 가까이에 수도가 있었다. 출발을 잠시 미루고 세차부터 해야 했다. 호텔 관계자가 부탁하지도 않았는데 고맙게도 호스를 갖다 주었다. 내 것 네 것 할 것 없이 함께 여섯 대의 자전거를 깨끗이 청소하고 기름칠도 다시 했다. 그러고 나니 출발이 너무 늦어졌다. 갈 길이 먼데 늦게 도착할 것 같아 걱정이 앞섰다. 중국군 장교로 임관하다 린취안에 도착한 장준하 일행은 중국군 중앙군관학교 린취안분교 간부훈련반에 소속된 한국광복군훈련반(이하 한광반)에 입소한다. 한광반은 일본군에 징병되어 중국으로 오는 조선 청년들의 수가 많아진다는 정보에 따라 이들의 탈출을 염두에 두고 장준하 일행이 도착하기 4개월 전에 설치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광복군 총사령부의 명을 받은 김학규가 정식으로 린취안분교에 한국 청년들의 군사훈련을
[우리문화신문= 이윤옥기자] “나는 학살 현장인 사할린의 설원에 서게 되면 일본인이 저지른 뿌리 깊은 원죄를 뼈저리게 느낀다. 일본이 양심이 있다면 강제연행한 조선인을 맨 먼저 귀국시켜야 했다. 그런데 일본인만 후송하고 조선인은 내버려둔 것이다. 이렇게 비인간적인 행위가 용서될 수 있을 것인가?” 이는 일본인 하야시에이다이 씨의 격앙된 ‘일본사죄론’이다. 이 말은 비단 사할린에 국한된 이야기만은 아니며 2013년 현재 남아있는 60만 재일조선인과도 깊은 관련이 있는 말이다. 지난 2010년 8월 15일은 광복 65주년이었고 같은 해 8월 29일은 경술국치 100년을 맞았었다. 그래서 우리는 “경술국치 100년, 한일평화를 여는 역사기행” 답사단을 꾸려 조선인들의 강제노동 현장인 기타큐슈의 치쿠호 탄광을 시작으로 시모노세키, 오사카, 교토에 이어 도쿄의 야스쿠니 반대 행사가 있던 히비야공원까지 장장 1,200킬로 거리를 12일에 걸쳐 돌아보았다. 이 글은 그때의 기록이지만 현재의 상황이기도 하다. 올해 68주년 광복을 맞아조선인강제연행 궤적을 쫓아갔던 기록을 10회에 걸쳐 연재한다. -편집자 설명- 도쿄도 스미다구 야히로 6번지(墨田区 八廣6-31-8)에는 ‘
[그린경제 = 윤지영 기자] ▲ 명성황후가 손수 쓴 편지 글씨 현대어역 글씨 보고 밤사이에 아무 탈 없이 지낸 일 든든하며 여기는 주상전하의 문안도 아주 평안하시고 동궁(東宮)의 정황도 편안하시니 축수(祝手)하며 나는 한결 같다. 오늘도 두통으로 괴로우며 일기는 매우 화창하다. 김문제가 난리에 국도(國盜)를 제지하는 곳에 가서 수치가 되었으니 어찌 아직 풀리겠느냐 하시오니 못한다. 판서 편지 지난번에 들어 온 것 보낸다. 더보기 명성황후는 황후이기 이전에 아내였고 어머니였다. 명성황후는 4남 1녀를 낳았지만 모두 단명했고 둘째 아들 척만 살아남아 왕위(순종)에 올랐다. 본인 자신도 1남 3녀 있으나 모두 죽고 외동딸로 자랐으며 9살 때 아버지 민치록이 죽고 16살에 왕비 간택이 있기까지 어머니와 둘이서 살아야 했다. 명성황후는 110점의 편지에서 왕과 왕세자의 안위를 자주 묻고 있는 것으로 보아 가족에 대한 남다른 사랑을 엿볼 수 있다. ▲ 편지봉투 현재 명성황후의 한글 편지는 모두 180통으로 추정되며 국립고궁박물관에 122통이 소장되어 있다. 《명성황후 한글 편지와 조선 왕실의 시전지》, 국립고궁박물관 지음 참조
[그린경제 = 황명하 호주광복회장] 지난 8월 15일 호주 시드니에서는 제68주년 광복절 기념식이 있었다. 뜻 깊은 광복절 기념식장에서 황명하 호주광복회장은 박유철 광복회장의 기념사를 대신 읽었다. 기념사에 앞서 황 회장은 호주의 광복절 기념행사에 대한 우려의 마음을 표했다. 우려의 마음이란 다름 아닌 호주 한인회장 이취임 행사와 광복절 행사를 함께 치름으로써 광복절 행사가 들러리 행사로 전락 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였다. 힘겨운 이민사회 속에서도 광복회를 조직하여 일제의 국권침탈기에 살신성인 정신으로 나라를 구한 독립운동가들을 기리는 일에 몰두하고 있는 황 회장으로서는 어쩜 당연한 목소리이기도 하다. 아니 황 회장이 아니면 감히 그 어느 누구도 지적 할 수 없는 일이라고 본다. 황 회장으로부터 광복절 기념식전에서 낭독한 광복절 유감 글을 받아 그 전문을 싣는다. 이러한 황 회장의 우국충정 어린 마음은 국내외에서 퇴색해가는 광복의 의미를 다시 되새기게 하는 소중한 일침으로 생각한다. 황 회장의 '광복절 유감'과 박유철 광복회장의 '기념사'를함께 싣는다. -편집자 주- 존경하는 내빈 여러분 ! 기념사에 앞서 국가 최고 원로단체로서 독립운동 유관단체 대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