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유시집(北遊詩集)》을 쓴 세심당 백홍인 선생(1874~1952) [그린경제/얼레빗=양승국 변호사] 중학 동창 백승천으로부터 시집을 하나 받았습니다. 자신의 할아버지 세심당 백홍인 선생(1874~1952)이 쓰신 한시 원문과 번역시가 실린 시집입니다. 북유시(北遊詩)라고 하니까, 세심당 선생이 북쪽 지방을 유람하며 쓴 시로 생각할지 모르겠습니다. 아닙니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었을 때, 세심당 선생은 의분을 참지 못하고 항일운동을 펼치기로 결심하고는, 경고서사(警告書社)를 써서 친지, 문하생들과 호남 각 군의 서사에 돌리며, 의거를 촉구하였습니다. 그리고 스승 최익현 선생을 뵙고 자신의 뜻을 밝히고자 1905. 11. 23. 고향 보성에서 길을 떠나 장흥, 곡성, 남원, 전주, 충주, 옥천, 공주, 청양 등의 유림과 친지를 순방하고, 면암 선생을 만나 가르침을 받고는 1905. 12. 30. 귀향합니다. 북유시는 이 순례 기간 동안 쓴 220여 편의 시로, 세심당 선생은 집으로 돌아와 그 동안 쓴 시를 정리, 편집하여 1906. 1. 12. 북유시집을 만듭니다. 그 동안 북유시집은 한시집으로만 남아있어 일반인들의 열람이 어렵다가, 1986년
[그린경제/얼레빗=양승국 변호사] 북한산 둘레길 1구간부터 4구간까지에는 애국지사들의 묘소가 많습니다. 1구간 소나무 숲길에는 손병희 선생의 묘소가 있습니다. 2구간 순례길에는 심산 김창숙, 초대 부통령 이시영 선생 등 애국열사 12분의 묘소가 있고, 또한 동방석, 김유신 등 광복군 18분이 한 묘소에 같이 잠들어 있네요. 뿐만 아니라 순례길을 가면서는 4・19 국립민주묘지도 만나볼 수 있군요. 그리고 2구간이 끝나고 3구간이 시작되는 곳에는 이준 열사의 묘가 있습니다. 이 묘소들 중에는 아무래도 천도교 3대 교주인 손병희 선생의 묘소가 제일 잘 단장되어 있고, 그 다음에는 우리에게 제일 많이 알려진 이준 열사의 묘가 잘 꾸며져 있습니다. ▲ 참 선비 심산 김창숙 선생 이분들 중에서 심산(心山) 김창숙(金昌淑) 선생(1879~1962)에 대해 얘기해보려 합니다. 김창숙 하면 탤런트 김창숙씨를 먼저 떠올릴 분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인터넷에서 김창숙을 검색하여도 탤런트 김창숙씨가 먼저 나오데요. 심산 김창숙 선생, 선생은 진짜 선비이셨지요. 단순히 옛것만 지키려는 보수적인 유학자가 아니라 새것도 받아들이려는 열린 유학자이셨습니다. 아마 조선이
[그린경제/얼레빗=양승국 변호사] 북한산 둘레길 2구간의 순례길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정규군인 광복군 18분이 함께 잠들어 있습니다. 헌법에 우리 대한민국은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하였으니까 저는 광복군을 대한민국 최초의 정규군이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그런데 왜 18분이 함께 잠들어 있을까요? 이들은 국내에 아무 친인척이 없는 분들이지요. 그나마 18분 가운데 한분은 이름도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 북한산 둘레길에 있는 광복군 무연고 18위 합동묘소 ⓒ 김영조 나라의 광복을 위해 싸우신 분들이지만 무연고로 돌보는 이 없다가 1967년 광복군 동지회에서 이곳에 합동묘소를 조성하였습니다. 이분들이 이곳에 잠든 후에도 후손이 없으니 찾는 이 별로 없는데 광복군동지회와 흥사단에서 제례를 지내주고 있습니다. 무덤 오른쪽에 서있는 비석에는 이렇게 쓰여 있습니다. 비바람도 찼어라! 나라 잃은 나그네야, 바친 길 비록 광복군이었으나 가시밭길 더욱 한이었다. 순국하고도 못 잊었을 조국이여! 꽃동산에 뼈나마 여기 묻히었으니 동지들아 편안히 잠드시라. 1967년 이곳에 합동묘소를 만들 때 생존하였던 광복군 동지가 쓰신 시입니다. 여기에 묻히신 이 가운데는 태항산에서 순
[그린경제/얼레빗=양승국 변호사] 북한산 순례길을 걸을 때 단주(旦洲) 유림(柳林, 1898~1961) 선생의 묘소에 이르니 거북이 입을 꾹 다물고 선생의 비석을 등에 지고 있고, 민화에 나올 것 같은 호랑이 2마리가 양옆에서 선생을 지키고 있었습니다. 단주 유림 또한 아시는 분들이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1945. 12. 2. 임시정부 요인들이 오랜 망명 생활을 마치고 김포 비행장에 내렸을 때, 귀국한 임정 요인에 단주 유림도 있었습니다. ▲ 단주(旦洲) 유림(柳林, 1898~1961) 선생 그런데 유림은 아나키스트였습니다. 무정부주의자가 임시정부에 있었다니 좀 의아해하는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 일본 학자가 아나키스트를 무정부주의자로 번역하는 바람에 아나키스트 하면 굉장히 과격한 이미지를 떠올리는 사람도 있는데, 그렇지는 않습니다. 이에 대해 유림은 이렇게 얘기합니다. 무정부라는 말은 아나키즘을 일본 사람들이 악의로 번역해 정부를 부인한다는 의미로 통해왔으나, 안(an)은 없다의 뜻이고, 아르키(archi)'는 우두머리, 강제권력, 전제정치 따위를 가리키는 말로서 안아르키는 이런 것들을 배격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나는 강제권력을 배격하는 아나키스트
[그린경제/얼레빗=양승국 변호사] 전에 안중근 의사 의거 발자취를 따라서 하얼빈과 여순을 다녀오면서, 안의사 의거와 관련이 없지만은 하얼빈에서는 생체실험으로 악명 높은 731부대 유적지를 돌아보았습니다. 사람을 생체실험의 대상으로 삼은 731부대의 잔혹성에 대해서는 익히 알고 있었지만, 막상 그 현장을 방문하니까 일제의 잔혹함에 다시 치가 떨렸습니다. ▲ 하얼빈 731부대 유적지 표지석 ▲ 하얼빈 731부대 유적지의 생체주사 놓은 장면 731부대의 잔혹성에 대해서는 많이 들으셨겠지만, 몇 가지만 다시 얘기해볼까요? 먼저 그들은 원심분리기에 사람을 집어넣고 고속으로 회전시켜 눈・코・입・귀・항문으로 피가 나오는 과정을 살펴보는 실험 곧 “착혈실험”을 했으며, “동상실험”이라 하여 혹한의 날씨에 팔다리를 얼음물에 담가 얼렸다가 해동한다고 펄펄 끓는 물에 집어넣거나, 냉동실에서 손을 급속으로 얼려 망치로 깨어보기도 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사람을 한 줄로 세워놓고 맨 앞 사람 가슴에 총을 대고 발사하여 몇 사람까지 총알이 관통되나 알아보는 “총 성능 실험”, 망가진 전차 속에 사람을 가두어 놓고 화염방사기를 쏘아 얼마나 견디다 죽나 알아보는 “내열실험”, 동물의 피와
[그린경제/얼레빗=양승국 변호사]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랴오둥[遼東]반도 남단부에 있는 군항도시 여순에서 러일전쟁의 격전지 203 고지를 가보았습니다. 일본은 러시아 함대가 기항하고 있던 여순항을 기습공격하면서 러일전쟁을 도발하였지요. 그런데 러시아군의 완강한 저항으로 쉽게 여순항을 점령하지 못하자 여순항이 내려다보이는 203 고지 점령에 사활을 겁니다. 이 전투에서 일본은 만 명이 훨씬 넘는 전사자를 내고서 겨우 고지를 점령합니다. 그리고 고지에서 여순항의 러시아 함대를 향하여 맹포격을 가하여 함대를 격침하고서야 겨우 여순을 점령할 수 있었지요. 이 전투를 이끈 일본군 사령관이 노기 마레스케(乃木希典)입니다. 비록 전투에서 승리하긴 하였지만 너무 많은 일본군의 희생이 뒤따랐기에 노기 사령관에 대한 비난 여론도 잠깐 일었는데, 여순 공략전에서 노기의 두 아들도 전사하였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오히려 노기는 명장으로 성가가 올라가지요. 그런데 노기는 나중에 단순한 명장에서 군신(軍神)으로까지 추앙받습니다. 곧 1912년 명치 일왕이 사망하자 일왕 장례식 밤에 본인도 부인과 함께 할복자살하면서, 사람들은 노기를 군신으로 추앙하며 신사(神社)까지 세우지요. 부인과
▲ 나눔문화에서 전시회의 감동을 나누고자 전시회의 기록들을 정리한 책 표지《다른 길 열리다(회원용비매품)》 [그린경제/얼레빗=양승국 변호사] 지난 2월 5일부터 3월 3일까지 세종문화회관 전시관에서 박노해 시인의 사진전 다른 길이 열렸었지요? 따로 홍보도 하지 않고 기업체 등에 표를 뿌린 것이 아닌데도, 27일간 3만 5천여 명의 사람들이 전시장을 다녀갔습니다. 영화로 치면 1,000만 관객이 든 것입니다. 전시회가 끝난 후 전시회를 주최한 나눔문화에서 전시회의 감동을 나누고자 전시회의 기록들을 정리한 《다른 길 열리다(회원용비매품)》라는 책자를 냈습니다. 전시 코디네이터인 김예슬(김예슬은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고 선언하고는 다니던 고대를 자퇴한 당찬 의식 있는 여성)은 머리말에서 박노해 시인과 함께 천 일간의 준비, 27일간의 전시를 진행하며 감동의 순례 행렬 그 모든 순간들을 지켜봐온 코디네이터로서, 각자 나만의 다른 길을 찾아나서는 디딤돌로 삼기를 바라며 우리 시대 희망의 씨알 하나 남기고자 이 책을 펴낸다고 했습니다. 김예슬은 말합니다. 현대문명이 정점에 달한 시대에 박노해 시인의 사진은 우리가 돌아 나아가야 할 좋은 삶의 원형
[그린경제/얼레빗=양승국 변호사] 누드 크로키전을 보러 안나비니 갤러리 갈 때에 정릉 골짜기 건너편의 경국사도 가보았습니다. 경국사는 고종의 왕위 등극 축하 재가 열렸던 절로 고려 충숙왕 때 자정율사에 의해 창건되었습니다. 원래 청봉(靑峰) 아래에 있다고 하여 청암사(靑巖寺)라고 하였는데, 조선 명종 때 문정왕후가 나라에 경사가 끊이지 말라는 바램을 담아 경국사(慶國寺)라고 하였다는군요. 임진왜란 때는 서산대사와 사명대사가 승병을 이끌고 이곳에 머무르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정릉천을 건너 일주문 안으로 들어가니 경국사도 어김없이 부도밭이 나옵니다. 그런데 이곳에서는 다른 절에서는 볼 수 없는 큰 책을 펼쳐놓은 모습의 돌조각이 보입니다. 불교백과사전인 불교 대사림 편찬 발원문이라는데, 2012년 1월에 이곳 경국사에서 입적하신 전 조계종 총무원장 지관스님이 조성한 것입니다. 동국대 총장을 역임한 대표적 학승(學僧)이라 여기에 이런 발원문도 남기신 것이겠지요. 실제로 지관스님은 작년까지 총 12권의 불교 대사림을 편찬하였다고 합니다. ▲ 정릉 경국사, 가운데 가람이 극락보전 부도밭을 지나 오르니 관음전이 나타납니다. 문화재 설명판을 보니 이곳 관음전에는 숙종
[그린경제/얼레빗=양승국 변호사]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올라오다 보면 마지막으로 들르는 휴게소가 죽전 휴게소이지 않습니까? 얼마 전에 올라오다가 오래간만에 죽전 휴게소에 들르니 죽전의 유래에 대한 안내문을 붙여놓았더군요. 바람직한 일입니다. 안내문을 읽어보니 죽전이 포은 정몽주 선생과 관계가 있더군요. 포은이 개성 선죽교에서 이방원에게 피살되었지요. 포은의 주검은 처음에 개성 근처 풍덕이라는 곳에 모셨다고 합니다. 그 후 1411년 포은의 주검을 고향인 경북 영천으로 이장하기로 했는데 주검을 모시고 가던 중 죽전 서쪽의 풍덕천에 이르렀을 때, 갑자기 돌풍이 불어 영정이 날아올라 떨어졌습니다. 사람들이 영정이 떨어진 곳을 쫓아 가 주위 형세를 보니 명당자리였다는군요. 그래서 굳이 고향까지 가지 않고 영정이 떨어진 곳에 무덤을 썼답니다. 포은의 무덤이 죽전에 있게 된 데에는 그런 사연이 있었습니다. ▲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1337~1392) 영정 사람들은 포은의 무덤을 그곳에 쓴 후, 그곳 지명을 죽절(竹節)이라 불렀습니다. 대나무와 같이 굳은 절개의 인물이라, 그 인물이 묻힌 곳을 죽절이라 바꿔 부른 것이겠지요. 포은이 피살된 선죽교도 원래 선지교라
[그린경제/얼레빗=양승국 변호사] 수원 월드컵 경기장 고개를 넘어 영동고속도로 쪽으로 내려가면 고속도로 밑에 심온 선생의 무덤이 있습니다.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심온은 세종의 장인입니다. 얼마 전에 수원 재판 갔다가 고속도로를 타고 다시 서울로 올라오기 전에 잠깐 심온 선생의 무덤에 들렀습니다. ▲ 태종에게 사약을 받은 세종 장인 심온 무덤 전경 한 나라 대왕의 장인이면 그 위세나 권세가 대단했겠지요. 그래서 왕의 장인은 국구(國舅)라고 하여 존경의 표현을 쓰지요. 특히 조선시대 최고의 대왕이라 불리는 세종의 장인이었으니, 그 위세가 더했겠지요? 심온이 1418년에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가기 위해 한양을 출발할 때에는 왕의 행차에 버금갈 정도로 위세가 대단하였답니다. 그런데 심온은 돌아오는 길에 압록강을 건너자마자 의주에서 체포되어 수원으로 압송되어 사약을 내렸습니다. 아니? 심온이 명나라 간 사이에 무슨 일이 벌어졌기에 심온이 국경을 건너 돌아오자마자 체포하였다는 말입니까? 설마 세종이 자기 장인을 체포하였을까요? 태종이 한 짓입니다. 당시 태종은 세종에게 왕위를 내주고 상왕으로 내려앉았지만, 병권만은 그대로 자기가 쥐고 있었습니다. 태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