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얼레빗 = 양승국 변호사] 이성계 일파가 조선을 건국하였을 때, 전 왕조의 임금을 그대로 두면 아무래도 뭔가 목에 걸린 듯 불편하겠지요? 그래서 그들은 후환을 없애고자 공양왕을 살해하였다고 합니다. 공양왕뿐만 아니라 고려 왕족들을 거제도로 데려간다며 배에 태워 가다가, 일부러 배에 구멍을 내어 고려 왕족들을 통째로 수장시켰다고도 하지요. 이걸로도 모자라 왕씨들을 강화도와 거제도로 몰아넣고 더 죽이려고 하자, 왕(王)씨들이 성을 전(全)씨, 옥(玉)씨 등으로 바꾸고 산속으로 숨어들어 목숨을 부지했다는 얘기도 있더군요. 그리고 조선 건국에 협조를 거부하고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소재 광덕산 서쪽 골짜기의 두문동으로 들어간 고려 유신 72명이 - 정확하게 72명은 아니었을 텐데, 공자의 72 제자에 맞추어 72명으로 한 듯 - 계속 회유해도 나오지 않자 불을 질러 죽었다고 하지요. 일부러 죽이려고 한 것은 아니고, 불을 지르면 살려고 나올 줄 알았는데, 아무도 안 나오고 죽음을 택했답니다. 그래서 여기서 두문불출(杜門不出)이란 말이 생겼다고 하지요. 글쎄요, 죽일 생각이 없었다면 이들이 나오지 않을 때 얼른 불을 꺼야 할 텐데, 그대로 불과 연기에 죽게
[그린경제/얼레빗 = 양승국 변호사] 얼마 전에 고양 갔다가 원당동에 고려의 마지막 임금 공양왕의 무덤이 있다는 얘기를 듣고 찾아가보았습니다. 공양왕릉은 왕릉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초라한 무덤이었습니다. 아무리 쓰러진 왕조의 마지막 임금의 무덤이라고는 하지만, 조선의 고관대작의 무덤보다 못하다는 것은 너무한 것 아닌가요? 무덤 앞 안내문의 제목은 공양왕은 왕이 되고 싶지 않았다.입니다. 이성계가 압록강의 위하도에서 회군한 이후 고려의 실권은 이미 이성계에게 넘어와 있었지요. 그리하여 이성계는 우왕과 창왕을 신돈의 아들, 손자로 몰아 쫒아내고는 다시 만만한 인물을 찾다가 제20대 신종의 6대손인 왕요(王瑤)를 왕에 앉히니, 이가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입니다. 공양왕은 임금이 될 때에 이미 나이가 45살이었답니다. 안내문에는 왕요가 이런 말을 했다고 적어놓았군요. 나는 평생 동안 먹는 것, 입는 것이 풍족했고 시중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런데 이 나이에 왜 내가 이런 큰일을 맡아야 한단 말인가! ▲ 경기도 고양시의 고양왕릉 결국 공양왕은 2년 8개월 만에 이성계에게 임금 자리를 넘깁니다. 그리고 아내 노씨와 세자였던 아들 석(奭)과 세 딸,
[그린경제/얼레빗 = 양승국 변호사] 춘천에 가면 바로 소양강 강가에 우두산(牛頭山)이라고 있습니다. 춘천 사시는 분들이야 잘 아시겠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은 처음 들어보시는 분들도 많을 것입니다. 지난번에 춘천 갔다가 우두산에 들렀습니다. 우두산에 들렀다고 하니까 등산했구나 생각하시겠지요? 후후! 겨우 134m 밖에 안 되는 산인데다가, 꼭대기 충렬탑까지 난 길로 차로 꼭대기까지 올라갔습니다. 제가 그런 산을 갔다는 것은 우두산에 뭔가 재미있는 이야깃거리가 있다는 것이지요. 전에 한림대 전신재 교수의 춘천 우두산 전설과 신화적 성격 논문을 읽고 흥미를 느꼈는데, 마침 춘천을 가게 되어 우두산에도 들른 것입니다. 우두산(牛頭山) - 소머리산이라... 산 이름이 재미있네요. ▲ 우두산 위성 지도 그런데 소머리는 산의 이름일 뿐만 아니라 춘천의 옛 이름이기도 합니다. 춘천이란 이름은 1413년(태종 13)에 처음 사용된 것이고, 그전에는 춘주, 광해, 수주 등 다양하게 불렸습니다. 그중에서 제일 오래된 이름은 637년에 사용된 것이 보이는 우수/우두입니다. 우수(牛首)나 우두(牛頭)나 둘 다 소머리를 말하는 것이므로, 원래 이름은 소머리인데 이를 한자로 표기
[그린경제/얼레빗 = 양승국 변호사] 세월호 침몰 사건으로 제주로 수학여행 가던 단원고등학교 학생들이 너무 많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채 피어나지도 못한 어린 학생들이 물이 쏟아져 들어오는 선실에서 몸부림치다 숨지고, 용케 공기 주머니(에어 포켓) 속에 들어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서서히 사라져가는 산소로 점점 숨이 막혀올 뿐만 아니라, 마실 물이 없어 타는 목마름 속에 죽어갔을 것을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아려옵니다. 또한 학생들이 선실에서 탈출하겠다고 꽉 닫힌 문을 열려고 젖 먹던 힘까지 다하다 보니, 하나 같이 손가락이 골절되고 피부가 닳아 없어졌다는 뉴스를 볼 때에는 왈칵 쏟아지는 눈물을 참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단원고등학교의 단원이 무슨 뜻인지를 아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단원고등학교는 안산시 단원구에 있기 때문에 단원고등학교라고 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 단원이 바로 조선의 천재 화가 김홍도의 호 檀園, 바로 그 단원입니다. 이러면 언뜻 단원 김홍도가 안산시 단원구에서 태어났겠구나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사실 단원의 출생지는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 단원 김홍도 주상관매도(舟上觀梅圖), 종이에 수묵담채, 164x76cm
▲ 《서간도에 들꽃 피다》 4권 표지 ⓒ 도서출판 얼레빗 [그린경제/얼레빗 = 양승국 변호사] 얼마 전에 이윤옥 시인이 《서간도에 들꽃 피다》 4권을 냈습니다. 이시인은 그동안 스무 명씩 여성 독립운동가의 삶을 재조명하는 시집을 내어 왔으니까, 이번 4권으로 80분의 여성 독립운동가의 삶을 우리 앞에 보여주었네요. 책을 펼치니 제일 먼저 나오는 글귀는 이 한 권의 책을 이 땅의 모든 남성들에게 바칩니다.입니다. 으~음~~ 여성 독립운동가에 무관심한 남성들로 하여금 각성하라는 소리로 들리는군요. 사실 독립운동으로 서훈을 받은 여성은 작년 말 현재 234명에 불과한데, 우리가 좀 더 관심을 갖고 조사해보면 우리가 알지 못했던 많은 여성독립운동가들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제가 전에 하얼빈의 중국 동북지방 열사기념관에 들렀을 때에도 제가 알지 못했던 많은 한국 독립운동가들이 있었고, 그중에는 여성들도 있었습니다. 중국이 한국 독립운동가들을 따로 기념관에 전시해주는 것은 아니고, 항일 전쟁 당시 중국인들과 같이 항일 활동을 하거나 중국군에 들어가 항일 전쟁을 한 만주의 한국인들을 자기네 독립운동가들에 같이 포함시켜 전시하고 있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같이 갔던
[그린경제/얼레빗 = 양승국 변호사] 얼마 전에 일산지원 재판 갔다가 고양시 덕양구 신원동에 있는 조그마한 송강마을에 잠시 들렀습니다. 송강마을이라 마을 안에는 송강문학관도 있지요. ▲ 송강 정철의 영정 그런데 송강 정철의 고향도 아닌 이곳에 왜 송강마을이 있는 것일까요? 마을 바로 뒤편 산기슭에 송강 정철의 부모 묘가 있는데, 송강은 35살에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3년간 시묘(侍墓) 살이를 하고, 이어서 38살에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또 3년간 시묘살이를 한다고 이곳에 6년간 머물렀던 것입니다. 그리고 그 후에도 대사헌으로 있다가 탄핵되었을 때, 4년간 이곳에 머물렀을 뿐만 아니라, 송강이 죽었을 때에도 처음에는 부모님을 따라 이곳에 묻혔었구요. 마을 앞에 도착하여 차에서 내리니 바로 앞에는 송강 정철 시비(詩碑)들이 늘어서 있습니다. 그중에 정철이 강원도 관찰사로 있을 때 지었다는 훈민가(訓民歌)가 눈에 띕니다. ▲ 송강 정철 시비 아하! 송강이 이런 시조를 지었으니, 자기 자신도 계속하여 6년간 시묘살이를 한 것이군요. 훈민가를 보면서 마음에 드는 것은 한글을 무시하고 한시만 짓던 당시 양반들과 달리 송강은 이렇게 한글 시도 지었다는 것입니다
[그린경제/얼레빗 = 양승국 변호사] 얼마 전에 조소현 변호사가 출판기념회를 한다고 하여 참석하였습니다. 조소현 변호사는 저하고는 사법연수원 동기이고, 또 이비엠 포럼에서 같은 자문위원으로 있습니다. 또한 조변호사의 아내는 현재 청주지방법원장인데, 저하고는 또 예전에 북부지원(현 북부지방법원)과 수원지방법원에서 같이 근무를 했지요. 그리고 무엇보다도 바로 이웃이지요. 바로 제 아파트 옆 동에 살거든요. ▲ 조소현 변호사의 《법치 대한민국의 조건》 출판기념회에 가니 당연히 출판한 책을 받지 않겠습니까? 책의 제목은 법치 대한민국의 조건입니다. 책에서 조변호사는 평소 자신이 생각하던 법치(法治)에 대한 생각을 잘 풀어놓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걸어온 길도 이야기 해주고 있네요. 읽어보니 제가 모르던 조변호사의 삶도 들어있군요. 조변호사의 고향이 강릉시 유산동인데, 유산동의 원래 이름은 어리뫼라는군요. 강릉의 안산인 모산봉에서 내려온 어머니가 모래재를 거쳐 이곳에 와서 아이를 낳았다고 하여 어리뫼라고 하였는데, 일제강점기 한자로 바꾸면서 유산동(幼山洞)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럼 모산봉도 어머니산이 모산봉(母山峰)으로 바뀌었을 것 같은데요? 하여튼 전국의 땅
[그린경제/얼레빗 = 양승국 변호사] 지난해 연말 코엑스에서 대한민국 화폐 박람회가 열렸습니다. 부제는 돈의 비밀이라고 되어 있었습니다. 박람회는 우리나라 화폐를 중심으로 외국 화폐도 조금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박람회장을 따라 다니는 화폐 수집판매상들도 박람회장 한쪽을 차지하고 있고, 또 한쪽에서는 다양한 디자인의 세계 각국의 돈을 조합하여 만든 작품 전시회도 열리고 있더군요. 세계의 화폐를 비교하면서 보니 재미있는 것을 알게 됩니다. 우리나라 화폐에는 다 역사상 유명한 인물과 그 인물에 관련된 것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처럼 역사가 길지 않은 나라의 경우에는 정치가나 나라를 빛낸 운동선수가, 관광으로 먹고 사는 아프리카 나라는 동‧식물이, 산업이나 과학을 중시하는 나라는 핵심 산업시설이나 과학시설을 많이 넣더군요. 수리남의 경우에는 엔터니 네스티(1967년생)라는 수영선수가, 스코틀랜드에서는 유명한 골프 선수 잭 니클라우스가 화폐에 들어가 있습니다. 엔터니 네스티는 88 올림픽 때 남자 나비헤엄 100m에서 금메달을 딴 수리남의 국민적 영웅이라 화폐에 들어갔나 봅니다. 한편 유로화의 경우에는 EU 가입한 나라들의 소통을 강조하
[그린경제/얼레빗 = 양승국 변호사] 솔 그늘 아래서 솔방울로 차 달이며 솔뿌리에 걸터앉아 솔바람 소리 듣노라 솔바람 소리가 본래 솔가지에서 나더니 홀연 선생의 돌솥 속으로 들어가네 강항(1567~1618)의 문집인 수은집 1권에 나오는 소나무 아래서 차를 달이며(松下煎茶)란 시입니다. 강항은 찻물 끓는 소리를 솔바람에 비유했네요. 솔바람 소리가 홀연 차가 끓고 있는 돌솥 속으로 들어간다는 표현이 재미납니다. 저야 한시를 잘 모르니까 더 이상 시 감상을 적을 수는 없고, 강항이 겪은 인생 역정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 있듯이 강항은 포로로 일본에 끌려갔다가 돌아온 유학자이지요. ▲ 강항의 ≪간양록(看羊錄)≫, 정유재란 때 일본군에 포로가 되었던 강항(姜沆)의 기록을 모은 책 표지(왼쪽)와 내용 강희맹의 5대손인 강항은 임진왜란 발발 다음해인 1593년 별시 문과에 급제합니다. 전란 중에도 인재는 필요한 것이니 과거는 봤군요. 형조좌랑이던 강항이 1597년 휴가를 얻어 고향 영광에 내려갔을 때 정유재란이 일어납니다.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강항은 참판 이광정 밑에 배속되어 남원 일대에서 군량 운반을 관리하였습니다. 그러나 남원성이 함락되면
[그린경제/얼레빗 = 양승국 변호사] 4월 2일은 유엔이 정한 세계 자폐인의 날입니다. 원래 자폐인의 날은 1989년 9월 9일부터 시작되었는데, 유엔은 2008년에 정식으로 매년 4월 2일을 자폐인의 날로 정하였습니다. 혹시 유엔에서 굳이 그런 날까지 지정하냐고 의아해 하실 분들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 자폐인은 등록 자폐인 수만도 2000년도 1,514명에서 2012년에 16,906명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자폐인 등록이 늦게 시작된 관계로 이미 다른 장애로 등록되어 있는 숫자와 자폐 등록을 꺼려서 등록하지 않은 숫자까지 합하면 대략 4만 명의 자폐인이 있다고 합니다. 제 주위에도 꽤 많은 분들이 자폐인을 자녀로 두고 있습니다. 더구나 미국 오티즘 스피크스(Autism Speaks)의 연구에 의하면 미국 기준으로 할 때에 전 세계 평균 아동 100명중 1명이 자폐성 장애로 출현한다는데, 이런 점이 유엔에서 자폐인의 날을 정식으로 지정하게 된 계기가 된 모양입니다. 자폐인의 날을 맞이하여 남산N타워에서는 기념식이 있었습니다. 남산 꼭대기에서 기념식을 한다는 것에 또 의아해 하실 분들이 있겠지요? 남산N타워에서 푸른등 점등식이 있기 때문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