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 모루구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한여름, 맑은 하늘 한쪽에서 뭉게구름이 피어오르더니 이내 커다란 솜 뫼처럼 하늘 높이 솟구치는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힘차게 솟아오르던 그 구름이 더는 올라갈 곳이 없다는 듯, 맨 꼭대기에 이르러 넓고 고르게 쫙 퍼져나가는 모습은 보기 좋습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커다란 구름의 꼭대기를 가리키는 말, '모루구름'입니다. '모루구름'은 그 이름만 들어서는 어떤 모습일지 쉽게 어림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말을 어떻게 풀이하고 있을까요? 적란운의 윗부분에 나타나는 모루 또는 나팔꽃 모양의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풀이에 나오는 '적란운(積亂雲)'이라는 한자말이 조금 낯설지요? '적란운'은 우리가 흔히 '소나기구름'이나 '쌘비구름'이라고 부르는, 하늘 높이 솟아올라 굵은 비나 우박, 천둥과 번개를 몰고 오는 아주 크고 무서운 구름을 말합니다. 그러니 '모루구름'은, 이 커다란 소나기구름이 자랄 대로 자라 하늘 꼭대기에 다다랐을 때, 더는 위로 솟구치지 못하고 옆으로 넓게 퍼져나간 구름의 맨 윗부분을 가리키는 멋진 우리말입니다. 그렇다면 이 구름은 왜 '모루'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을까요? '모루'가 무엇인지 알면 그 모습을 바로 떠올릴 수 있습니다. '모루'는 대장간에서 불에 뜨겁게 달군 쇠를 올려놓고 망치로 꽝꽝 두드릴 때 받침으로 쓰는, 묵직하고 단단한 쇳덩이를 가리키는 우리말입니다. 이제 하늘에 뜬 '모루구름'을 다시 한번 떠올려 보세요. 하늘 높이 솟아오른 커다란 구름 기둥(소나기구름) 위에, 마치 칼로 자른 듯 평평하면서도 넓게 퍼져나간 구름의 모습이 대장간의 '모루'와 꼭 닮지 않았나요? 어쩌면 옛사람들은 그 거대한 구름 꼭대기를 바라보며, 하늘의 대장장이가 번갯불에 쇠를 달구어 저 '모루구름' 위에 올려놓고 천둥 망치로 두드려 비를 만들어낸다고 생각했는지도 모릅니다. 참으로 멋진 이름이 아닐 수 없습니다. '모루구름'은 아무 때나 볼 수 있는 구름은 아닙니다. 아주 크고 힘센 소나기구름이 만들어질 때만 볼 수 있지요. 그래서 '모루구름'이 보인다는 것은 곧 날씨가 크게 바뀔 낌새이기도 합니다. '모루구름'은 이럴 때 써보세요. 저 멀리 구름 꼭대기가 모루구름처럼 넓게 퍼진 걸 보니, 곧 소나기가 쏟아지겠어요. 저기 저 구름 좀 봐! 꼭대기가 대장간 '모루'처럼 평평하고 넓지? 저걸 모루구름이라고 부른단다. 하늘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가장 크고 굳센 바람빛(풍경) 가운데 하나인 '모루구름'. 그저 '비구름'이나 '소나기구름'이라고 뭉뚱그려 부르기 보다 그 커다란 구름의 꼭대기를 바라보며 '모루구름'이라고 힘주어 불러보면 어떨까요? 대장간의 '모루'가 뜨거운 쇠를 두드려 쓸모 있는 연장을 만들어내듯, 하늘의 '모루구름'은 메마른 땅을 적셔줄 세찬 비를 내릴 갖춤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하늘을 올려다보며 이 크디큰 이름을 가진 구름을 찾아보는 겨를을 내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 멋진 토박이말을 곁에 있는 분들에게 꼭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세상을 향한 통쾌한 한 방, K-영웅 홍길동 나가신다!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은 기획공연 마당놀이 <홍길동이 온다>를 오는 2025년 11월 28일(금)부터 2026년 1월 31일(토)까지 하늘극장에서 선보인다. 국립극장 마당놀이는 2014년 <심청이 온다>를 시작으로 <춘향이 온다>(2015), <놀보가 온다>(2016), <춘풍이 온다>(2018~2020), 10돌 기념작 <마당놀이 모듬전>(2024)에 이르기까지 누적 관객 23만여 명을 기록한 국립극장의 대표 흥행 공연이다. 이번 작품은 극단 미추의 <홍길동전>을 바탕으로 오늘날 시대 정서를 반영해 새롭게 각색한 버전이다. <홍길동이 온다>는 조선시대 대표 영웅 서사인 《홍길동전》을 마당놀이 특유의 풍자와 유머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는” 홍길동이 겪었던 불합리한 세상을 청년실업ㆍ사회적 단절ㆍ불평등 등 오늘날의 현실 문제들과 교차시켜 풀어내며, 시대를 관통하는 메시지를 전한다. 웃음과 흥 속에서 정의와 연대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이 작품은 마당놀이 특유의 활기찬 에너지로 오늘의 관객에게 공감과 울림을 전한다. 과거 ‘마당놀이 홍길동’의 전설적 주인공 김성녀의 뒤를 이어, 이번 작품에서는 국립창극단의 간판스타 이소연과 국악그룹 ‘우리소리 바라지’의 김율희가 홍길동 역을 맡아 세대교체를 예고한다. 두 소리꾼은 대표 여성 소리꾼으로서 ‘젠더 프리(Gender-Free)’ 홍길동을 연기하며, 기존 영웅상에 새로운 시각을 더한다. 또한 원작에는 없던 여성 활빈당원 ‘삼충’ 캐릭터가 새롭게 등장한다. 홍길동을 동경하는 여성 활빈당원으로 조유아ㆍ홍승희가 이중 배역이 되어 유쾌한 매력을 선보인다. 국립창극단에서 30여 년 동안 활약한 김학용과 창작집단 ‘깍두기’ 대표 추현종이 홍길동의 동료 ‘자바리’ 역으로 출연하며, ‘꼭두쇠’ 역은 정준태가 맡아 맛깔스러운 연기와 노래로 무대를 채운다. ‘한국형 히어로’ 홍길동과 활빈당의 활약은 공중 활공(플라잉), 마술, 곡예(아크로바틱) 등 역동적인 무대와 함께 생생하게 펼쳐진다. 홍길동의 신묘한 능력을 관객 가까이에서 체험하게 해주는 마술 장면을 비롯해 홍길동이 적과 대결하는 매달기(플라잉) 연출 등이 극의 박진감을 더한다. 50여 명의 배우ㆍ무용수ㆍ연주자들이 무대를 가득 채우고, 노래와 연기, 곡예, 롤러스케이트 예술 행위까지 어우러져 시종일관 눈을 뗄 수 없는 장관을 연출한다. 이번 공연에도 마당놀이의 원조 제작진도 다시 뭉쳤다. 연출 손진책, 작곡 박범훈, 안무 국수호, 연희감독 김성녀 등 원년 제작진이 ‘홍길동전’의 재탄생을 준비 중이다. 이번에는 국악 작곡가 김성국이 새롭게 합류해 완성도 높은 음악을 선보인다. 기존 음악 창작 동기에 신곡 6곡이 더해져, 전통적인 가락에 현대적 리듬과 감각을 입힌 세련된 음악의 향연을 만들어낸다. 이 밖에도 무대디자이너 박동우, 조명디자이너 김창기, 의상ㆍ장신구디자이너 한진국, 소품디자이너 김상희가 합류해, 밤하늘을 형상화한 무대와 해학이 녹아든 의상·소품으로 마당놀이 특유의 흥과 멋을 극대화한다. 마당놀이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관객 참여의 즐거움도 이어진다. 공연 전 엿을 나누는 작은 풍습부터, 돼지머리에 돈을 꽂으며 새해 복을 비는 고사, 공연 중 추임새와 뒤풀이 춤판까지 다양한 관객 참여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해학과 풍자, 신명과 소통이 어우러진 이번 마당놀이는 연말연시를 대표하는 ‘한국형 송구영신(送舊迎新)’ 공연으로, 웃음과 감동을 동시에 선사할 예정이다. <홍길동이 온다>는 지난 7월 2025년 공연(12월 31일까지) 입장권을 1차로 팔았으며, 11월 18일(화) 낮 2시부터 2026년 1월 공연 입장권을 추가로 판다. 예매ㆍ문의 국립극장 누리집(www.ntok.go.kr) 또는 전화(02-2280-4114)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먼지구름](http://www.koya-culture.com/data/cache/public/photos/20251044/art_17616992954008_d6aaf3_90x60_c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