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유산

국립고궁박물관, ‘이달(3월)의 추천 유물’로 ‘난도(鑾刀)’ 소개

종묘제사에 올리는 짐승 ‘희생(犧牲)’을 잡을 때 쓴 칼(온라인 동시 공개)/ 3.2.~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인규)은 ‘난도(鑾刀)’를 3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정해 국립고궁박물관 지하층 상설전시장 ’왕실의례실‘에서 소개하고, 3월 2일부터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로 온라인 공개한다.

* 문화재청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luvu

*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난도는 종묘 등 나라 제사에 올리는 짐승을 잡을 때 사용하던 칼이다. ‘난’은 방울이라는 뜻으로,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등의 그림에서 칼 손잡이 부분에 세 개의 방울이, 칼등과 칼코에 각 한 개씩 방울이 달려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난도 두 점은 방울이 남아 있지 않지만, 방울이 매달려 있던 구멍은 확인할 수 있다. 철로 만들어졌는데, 두 점 가운데 한 점에는 칼날과 손잡이 연결 부위, 손잡이에 은으로 무늬를 새겨 넣었다.

 

종묘제사에는 소ㆍ돼지ㆍ양을 잡아 각 짐승의 털과 피, 간과 창자 사이 기름 등을 제사상에 올렸다. 이렇게 올리는 짐승을 희생(犧牲)이라고 하는데, 임금이 직접 제사를 지낼 때는 그 상태를 직접 점검할 정도로 중요하게 여겼다. 희생을 잡을 때도 정해진 절차와 형식을 엄격히 따랐는데, 이때 사용하던 칼이 바로 난도다. 칼에 달린 다섯 개의 방울은 고대로부터 사용하던 다섯 가지 음계(궁ㆍ상ㆍ각ㆍ치ㆍ우)를 나타낸다. 난도를 흔들어 방울을 울리게 하며, 이때 음의 조화를 이룬 뒤에야 고기를 잘랐다고 한다.

 

 

잡은 희생의 털과 피는 넓은 쟁반 모양의 ‘모혈반(毛血槃)’이라는 제기에 담고, 간과 창자 기름은 ‘간료등’이라는 그릇에 담는데, 이때 간은 ‘울창(鬱鬯)’이라는 제사용 술로 씻었다. 제사상에 올리고 남은 털과 피는 깨끗한 그릇에 담아두었다가 제사가 끝나면 땅에 잘 묻었다. 난도는 제사를 지낼 때 배향자에 대한 극진한 예우와 후손의 공경심을 드러내는 도구였다.

* 울창(鬱鬯): 튤립을 넣어 만든 자줏빛 술

 

전시는 관람인원을 제한하지 않지만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가운데 진행된다. 또한,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국민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gogung.go.kr)과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에서 국ㆍ영문 자막과 함께 해설영상도 공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