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 넓게 보기

옛 기록이 만들어내는 무한한 이야기 창작의 힘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국학자료, K콘텐츠의 기반이 되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역사콘텐츠에 대한 대중들의 반응이 뜨겁다. 지난해 7월 개봉한〈한산: 용의 출현〉(감독: 김한민)은 관객수 700만 명을 돌파했으며, 얼마 전 개봉한〈올빼미〉, 〈탄생〉 등 역사 소재 영화들도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텔레비전과 OTT 드라마에서도 〈옷소매 붉은 끝동〉, 〈파친코〉, 〈슈룹〉 등 역사 소재를 활용한 작품들이 흥행에 성공하였다. 역사콘텐츠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가는 지금, 옛 기록이 가지는 콘텐츠로서의 힘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

 

옛사람들의 기록, 과거와 현재의 징검다리가 되다

 

옛 기록에서 찾아낸 K-콘텐츠의 값어치는 바로 시대를 뛰어넘는 유대감이다. 과거의 어느 일상을 기록한 한 줄의 기록에서 우리는 그들과의 동질감을 느끼고 용기와 위로도 얻는다. 특히 민간의 기록인 옛사람들의 일기는 전통 시대의 현실적인 생활상과 가치관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또 일기는 과거를 통해 현재를 읽을 수 있는 K-콘텐츠 소재로서 큰 장점을 갖고 있다. 관에서 펴낸 사료에서 담지 못한 개인의 일상에 대한 생동감 있는 기록은 과거와 현재의 징검다리가 되어 오늘날 창작자들에 의해 무한한 상상의 힘으로 발현된다.

 

 

 

국학자료 60만 점, 드라마보다 생생한 옛 기록의 현장

 

한류 드라마의 출발인 〈대장금〉은 조선왕조실록의 기록 한 줄에서 시작되었고, 전 세계를 사로잡은 〈킹덤〉도 “괴질에 걸려 몇천, 몇만 명의 백성들이 죽었다”라는 실록의 문구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 이때 극의 전반을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시대에 대한 고증이 꼭 필요하다. 이에 대한 해답 역시 옛 기록이다. 민간의 국학자료를 기탁받아 관리하고 있는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작년 국내 처음으로 국학자료 소장 60만 점을 돌파했다. 이 자료의 상당수는 조선시대 민간 생활상을 살필 수 있는 일기류ㆍ고문서 등이다. 여기에는 드라마보다 생생한 옛사람들의 삶의 현장이 담겨있다.

 

역사콘텐츠 창작자들의 놀이터 ‘한국국학진흥원 스토리테마파크’

 

옛 문헌은 한문으로 기록된 탓에 접근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국학진흥원에서는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중가운데 ‘스토리테마파크(http://story.ugyo.net)’가 주목된다. 스토리테마파크는 선인들의 일기에서 찾아낸 흥미로운 이야기를 사건 중심으로 풀어내고 있으며, 다양한 관련 정보를 알기 쉽게 제공하고 있다. 수년 동안 한국국학진흥원에서는 전통 기록자료를 활용한 대학생 콘텐츠 공모전과 영화 시나리오 공모전을 통해 창작자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기관의 연구자들은 최근 개봉한 김대건 신부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 〈탄생〉(감독: 박흥식) 등 영화의 역사적 고증을 위한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하루하루를 써 내려간 옛사람들의 일기는 지금 우리의 일상과도 같은 모습이다. 과거와의 동질감은 우리에게 큰 위로가 되며, 세계인들까지 공감할 수 있는 보편성을 가지고 있다. 옛 기록이 만들어내는 스토리 창작의 무한한 힘은 바로 빼곡하게 써 내려간 기록의 힘, 우리만이 갖는 ‘오리지널리티(Originality)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