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서울공예박물관 `옻나무에서 옻칠까지` 다큐 첫 공개

4월 10일(월)부터 서울공예박물관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우리문화신문=전수희 기자]  서울공예박물관(관장 김수정)은 자연의 옻나무가 ‘나전칠기’에 쓰이는 공예재료로 변신하여 활약하는 과정에 주목한 미니 다큐 ‘옻나무에서 옻칠까지’ 9편을 제작하고 순차적으로 공개한다. 이번 미니 다큐는 서울공예박물관이 진행한 <공예 소재 기록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영상물로, 연구 성과물을 시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번 미니다큐의 주인공인 ‘옻칠’은 옻나무에서 채취한 진액으로, 한국에서는 기원전 1세기 원삼국시대부터 공예재료로 사용한 흔적이 확인된다. 특히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나전칠기가 국가의 공식 외교 답례품과 의례 공예품으로 제작되었기에 국가에서 옻칠의 생산을 전담하는 기구를 설치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앙시험소’에서 실시한 옻칠 분석시험에서 한반도 옻칠의 우수성이 입증되기도 했다. 이처럼 옻칠은 나전칠기로 대표되는 한국 ‘칠공예’의 핵심 역할을 수행해 왔다. 서울공예박물관은 공예재료로서의 ‘옻칠’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옻칠공예 소재 연구를 지난 2021년부터 2022년까지 2년 동안 진행했다.

 

 

 ‘공예 기록영상(SeMoCA Records) 옻칠공예편’ 시리즈는 4월 10일(월)부터 18일(화)까지 매일 12시에 서울공예박물관 유튜브(@SeMoCATV)를 통해 공개된다. 공예 기술 시연 과정과 함께 장인이 직접 들려주는 다양한 주제의 옻칠 이야기를 담았으며, 편당 15~20분 내외 길이이다.

 

 9편의 영상은 ▴옻칠 채취(1~3편) ▴옻칠 정제(4~6편) ▴옻칠 활용(7~8편) ▴원주칠공예주식회사(9편)를 주제로 구성되었다.  ‘옻칠 채취’를 주제로 한 세 편의 영상은 각각 원주의 ‘옻칠 채취’와 함양의 ‘화칠 채취’ 기술을 다룬다. 옻칠은 일제강점기까지 평북 태천과 강원도 원주 등 한반도 중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생산되었는데, 광복 이후 남북이 분단되면서 오늘날에는 강원도 원주가 유일하게 옻칠을 생산한다. 그러나 활동 중인 채취 종사자는 4명 남짓에 불과하다. 그중 김부노 옻칠채취장의 6월에서 9월까지의 채취 여정을 영상으로 기록하였다. 화칠은 조선시대부터 확인되는 한국의 전통 옻칠 채취 방식으로, 현재 경남 함양군 마천면에서 안재호 화칠채취장을 통해 전승되는 기술이 유일하다.

 

      *화칠(火漆) : 6~9월에 옻칠을 채취한 옻나무를 벌목한 뒤 불에 구워 표피 속에 남은 진액을 채취하는 방법이다. 예전에는 화칠을 목기에 칠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주로 약재 용도로 채취한다.

   

 그동안의 공예 연구에서는 나전칠기의 대중적 인기에도 불구하고 필수 재료인 옻칠에 주목한 적이 거의 없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옻칠 생산에 종사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소멸 위기에 처한 옻칠 생산업의 현황을 알리고, 옻칠이 공예 소재로서 지닌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한국 현대 옻칠공예의 역사에서 중요한 주축을 담당하는 원주칠공예주식회사의 주역들을 만나 인터뷰한 최초의 영상기록이라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서울공예박물관은 이번 <공예 소재 기록화 사업>에 이어 2023년에 옻칠공예를 주제로 ‘옻칠에서 공예품까지’ 재료와 제작과정을 시각적으로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실물 표본과 디지털 콘텐츠를 결합한 <한국공예상자(K-Craft Box)>를 제작할 계획이다. ‘옻나무에서 옻칠까지’ 과정을 기록한 이번 미니다큐 시리즈와 연계하여 공예품 제작의 전체 과정을 연결하고, 그동안 일반 시민들이 접근하기 어려웠던 연구성과를 이해하기 쉽게 풀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장은 “이번 미니다큐 시리즈를 통해 공예 소재로서의 ‘옻칠’이 대중적으로 주목되고 공예 생태계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서울공예박물관은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공예 이야기를 발굴하고 연구하여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콘텐츠로 보여드리고자 노력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