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과 덕수궁관리소(소장 권점수)는 오는 10월 5일(목)부터 7일(토)까지 날마다 저녁 7시 고궁 공연 ‘덕수궁 야연(夜宴)’을 덕수궁 정관헌에서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가을로 접어드는 10월, 고즈넉한 고궁의 저녁에 어울릴 다양한 전통국악으로 궁의 정취를 한껏 만끽하고 분주한 도심의 시간 속, 삶의 여유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했다. 모두 6가지 공연 프로그램으로 구성한 이번 공연은 우리 전통과 서양의 건축 양식이 절충된 독특한 양식으로 고종황제의 연유(宴遊) 장소로 지어진 ‘정관헌’을 무대로 펼쳐진다. 아정한 선율로 고궁의 멋을 더할 정악과 품격 있는 궁중정재를 비롯해 구성진 서도소리와 아리랑, 부채산조춤, 판소리 등을 선보인다. 정악으로는 ’물속의 용이 읊조린다.‘는 뜻을 가진 <수룡음>과 궁의 가을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음악곡으로 조선후기 선비들이 즐기던 <영산회상>을 국립국악원 정악단이 연주한다. 국립국악원 무용단은 신라인들이 관창의 충성심과 넋을 기리기 위해 추었던 <검기무>와 가야금 산조와 부채춤이 어우러져 단아하면서도 격조 있는 춤사위의 <부채산조춤>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9월 15일 아침 10시 30분 대전 천연기념물센터(대전 서구)에서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의 자연유산 지정 기념행사를 연다.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은 높이 10.2m, 폭이 0.9~1.3m의 규모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나무화석 가운데 가장 크며, 보존상태도 좋아 나라 밖 중요 나무화석들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2009년 포항 금광리에서 도로 공사 중 발견된 이후 발굴과 보존처리 등의 과정을 거쳐 지금은 국립문화재연구원 천연기념물센터에서 보관ㆍ관리 중이다. 다수의 옹이와 나뭇결, 나이테 등이 거의 원형대로 잘 보존된 상태로 목재의 탄화, 규화의 화석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는 등 높은 학술적, 대표적 값어치를 인정받아 올해 1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바 있다. 지정 기념행사는 ▲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 소개영상 상영, ▲ ‘나무화석 지정의 의미와 가치’ 전문가 특강, ▲ 나무화석을 포함한 동산형 지질유산*의 천연기념물 지정경과와 보존ㆍ활용 보고, ▲ 유공자 표창 등으로 진행된다. * 신안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둥지 화석(’12년), 화성 뿔공룡(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 골격 화석(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수원시 선경도서관이 9월 24일까지 도서관 1층 중앙홀에서 배성주 침선(針線) 명인의 전통복식전 ‘진찬연(進饌宴)’을 연다. 이번 전시회에는 정조대왕의 친모 혜경궁 홍씨의 회갑 진찬연 자리를 꾸몄던 복식ㆍ소품이 전시된다. 홍곤룡포(紅袞龍袍), 적의(敵意), 방령(方領), 도포 등의 6가지 복식과 익선관(翼善冠), 주립(朱笠), 옥대(玉帶) 등의 소품을 볼 수 있다. 9월 16일에는 도서관 1층 강의실에서 비단을 이용해 조선시대 때 차고 다녔던 귀주머니를 축소해 향낭(향을 넣는 주머니) 만들어 보는 일일강좌가 운영된다. 수원시도서관 관계자는 “추석 명절이 있는 9월에 전통복식전을 열어 우리 전통 한복의 멋과 아름다움을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애령)은 오는 9월 15일(금)부터 12월 10일(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고 허민수 기증 특별전 ‘애중(愛重), 아끼고 사랑한 그림 이야기’를 연다. 국립광주박물관(이하 박물관)은 지난 3월 미국에서 소중한 조선 후기 미공개 서화 4건 12점을 기증받았다.(2023. 4. 4. 보도자료 참고) 이 작품들은 미국인 게일 허Gail Ellis Huh 여사(85살)의 소장품으로, 시아버지 고 허민수(1897~1972) 선생이 아들 내외에게 준 선물이었다. 허민수 선생은 전남 진도 출신의 은행가이자 호남화단의 거장 소치 허련(1808∼1893) 가문의 후손이다. 며느리 게일 허 여사는 시아버지 허민수 선생의 고향인 진도와 가까운 박물관에 존경하는 시아버지 이름으로 작품을 기증하였다. 이번 특별전은 게일 허 여사의 뜻깊은 기증을 기리기 위해 기획된 전시로, 고 허민수 기증 서화와 관련 작품 모두 46건 83점을 모아 함께 선보인다. 기록만 전해지던 《석농화원》 속 미공개 작품 처음 공개 기증 서화 가운데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은 17세기 문인 서화가 죽천(竹泉) 김진규(金鎭圭, 1658~1716)의 <묵매도(墨梅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안형순)은 9월 19일 전북맹아학교(전북 익산시)와 21일 전북푸른학교(전북 완주군)를 찾아가 ‘60만 번의 손길, 화문석 공예’를 주제로 박윤환 공예가의 특별강연 「찾아가는 무형유산」을 진행한다. 이번 강연은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운영 중인 <책마루 인문학 강연>의 하나로 시각장애 교육기관인 전북맹아학교와 지체장애 특수학교인 전북푸른학교를 직접 찾아가 진행하는 인문학 강연이다. 강연과 체험활동을 함께 진행하여 평소 접하기 어려운 무형유산을 경험해 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박윤환 공예가는 강화 화문석(꽃무늬 등을 짜 넣은 돗자리)을 상표화하여 화문석의 아름다움과 쓰임을 나라 안팎에 알리고 있는 공예가로, 강연을 통해 화문석만이 가지고 있는 뛰어난 값어치와 아름다운 예술성, 그리고 우리나라의 전통공예기술에 대해 들려줄 예정이다. 강연한 뒤 체험활동 시간에는 색색의 왕골을 이용하여 나만의 ‘소원발 만들기(전북맹아학교)’와 ‘컵받침 만들기(전북푸른학교)’를 진행할 예정이다. 왕골 하나하나를 직접 엮어 나만의 소원발과 컵받침을 만들어 봄으로써 화문석의 제작 과정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안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이 근현대문화유산을 보다 체계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보존ㆍ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한 「근현대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이하 근현대문화유산법)이 9월 14일 공포되었다. * 2021. 11. 24. 이병훈 의원(더불어민주당) 대표발의, 2023. 8. 24. 본회의 통과 근현대문화유산은 개항기 전후부터 현재에 이르는 동안 형성된 문화유산 가운데 값어치가 인정되어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부동산과 동산유산을 의미하며, 문화재청은 2001년부터 국가등록문화유산 제도를 도입하여 구 서울특별시청사,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등 956건을 등록하여 관리하고 있다. 근현대문화유산법은 문화재청 소관 국정과제(미래지향적 국가유산 관리체계 마련)의 하나로서, 원형유지를 원칙으로 하고 강력한 주변규제가 있는 지정문화유산 중심의 「문화재보호법」 체계를 벗어나, 소유자의 자발적 보존의지를 기반으로 더욱 유연하고 지속할 수 있는 보존ㆍ활용을 추구하도록 등록문화유산 제도를 확장 운영하기 위해 동 제정법을 마련하게 되었다. 근현대문화유산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근현대문화유산을 ‘개항기 전후부터 현재에 이
[우리문화신문=김광옥 수원대학교 명예교수] 정도전 (1342, 충혜왕 복위 3~ 1398, 태조 7) -② 정도전은 조선전기 정치인이자 학자이다. 조선의 정신적 기틀을 세운 인물이다. 호는 삼봉(三峰)이다 활동사항 정도전은 문인이면서 동시에 무(武)를 겸비했고, 성격이 호방해 혁명가적 소질을 지녔으며,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의론(議論)이 정연했다고 한다. 그는 오랫동안 유배ㆍ유랑 생활을 보내면서 곤궁에 시달렸다. 더욱이, 부계혈통은 향리(鄕吏)의 후예로서 어머니와 아내가 모두 연안 차씨(延安車氏) 공윤(公胤)의 외가 쪽의 서자였다. 특히 모계에 노비의 피가 섞여 있었다. 이러한 혈통 때문에 권문세족이나 명분을 중요시하는 성리학자들로부터 백안시당하는 경우가 많았고, 조선시대에도 3대 종 집안의 하나라는 세인의 평을 받았다. 그가 청ㆍ장년의 시기를 맞았던 고려 말기는 밖으로 왜구ㆍ홍건적의 노략질로 나라 안이 어수선했고, 안으로는 권문세족의 횡포로 정치기강이 무너지고 민생이 몹시 고단하였다. 이러한 때에 9년 동안의 시련에 찬 유배ㆍ유랑 생활은 그에게 나라를 사랑하고 백성 사랑 의식을 깊게 만들었으며, 그의 역성혁명(왕조가 바뀌는 일) 운동은 이러한 개혁의지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우리는 59번 도로를 따라 계속 걸어갔다. 오대천은 길 왼쪽으로 흐른다. 이 구간 오대천의 바위와 물길이 아름답다. 펜션이나 집도 보이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하천 모습이 잘 유지되고 있다. 이 구간에서 사진을 여러 장 찍었다. 조금 더 내려가자 숙암주유소가 왼쪽에 나타났다. 주유소를 지나 조금 더 내려가자 숙암쉼터가 나타났다. 시계를 보니 4시 10분이다. 휴게소 건물 옆에서 오대천을 바라보며 10분 동안 쉬었다. 서인수 회장은 신발이 불편하고, 은곡은 다리가 아파서 더 이상 걷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되었다. 나는 두 분에게 저녁식사를 예약해 둔 대화면의 호남가든으로 먼저 가서 기다리라고 말했다. 은곡이 트럭을 운전하여 떠나고 나머지 일행은 4시 20분에 다시 걷기를 시작하였다. 저녁 5시에 백석폭포에 도착하였다. 앞산 봉우리에서 물이 가늘게 쏟아져 내려온다. 오대천의 물을 끌어 올려서 우리나라 최대 인공폭포(높이 119m)를 2009년 2월 정선문화원에서 만들었다. 수량은 많지 않았지만 보기에 근사하였다. 바라보기만 해도 시원한 느낌을 준다. 백석폭포의 백석이라는 이름은 뒤편의 산봉우리 이름, 백석봉(고도, 1234m)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이 동유럽 국가를 무대로 종묘제례악 알리기에 앞장선다. 오는 9월 21일(목) 19시(현지시각) 헝가리 에르켈 극장과 9월 25일(월) 19시(현지시각) 폴란드 바르샤바필하모닉홀에서 종묘제례악 전막을 공연하고 국악 특강과 종묘제례악 복식 시연회 및 특별 전시 등을 연다. 이번 순회 공연은 첨단산업을 포함하여 경제, 안보 등 다방면에서 협력자로 자리매김한 폴란드와 지난해 70억 달러 규모로 사상 가장 많은 양국 교역을 기록한 헝가리 등 활발한 교류가 이어지고 있는 동유럽권에 한국 전통음악을 통한 문화적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예와 악으로 통치하는 것을 으뜸 값어치로 여겼던 조선왕조 500년. 종묘제례는 나라의 태평과 백성의 안위를 기원하던 조선 왕실의 가장 큰 행사였다. 그 종묘제례를 올릴 때 연주했던 <종묘제례악>은 세종대왕이 직접 작곡한 음악으로 왕실 음악기관인 장악원 악공들이 연주하던 전통을 국립국악원이 계승하고 있는데 보태평(保太平)과 정대업(定大業)이라는 음악을 중심으로 연주한다. 그런데 이 제례악들에는 민속악에서 쓰지 않는 특별한 악
[우리문화신문= 금나래 기자]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은 ‘제17회 도서관 혁신 아이디어 및 우수 현장사례’공모전을 개최하고, 인천광역시 율목도서관의 특화사업인 ‘나를 더 나답게 바른생활 독서루틴 만들기, 독서트라이애슬론’운영사례 등 총 8편을 최종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초개인화 시대, 맞춤형 도서관 서비스’를 주제로 한 이번 공모전에는 전국의 사서, 도서관‧문화기관 종사자,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이 총 37편의 아이디어와 현장사례들을 응모했다. 최우수상으로 선정된 율목도서관의 독서트라이애슬론은 철인 3종 경기인 트라이애슬론을 독서와 접목시킨 독서루틴 형성 챌린지 프로그램으로, 대상을 세분화하여 독서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특강, 독서습관 형성을 위한 챌린지, 리워드 제공의 3단계 과정으로 21일 동안 운영된다. 참여 인원이 1,900여 명에 달할 정도로 호응도가 높았고, 꾸준한 독서 생활 습관을 자발적으로 형성해나갈 수 있는 맞춤형서비스라는 점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우수상 2편에는 도서관을 거점으로 지역 내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과학특화서비스를 운영한 인천광역시 수봉도서관의‘과학, 과해도 괜찮아! 사이브러리(SCIence+liBRARY)’와 전주시 도서